청불전쟁 나자 제일 먼저 도망간 중국 주전론자
청불전쟁 나자 제일 먼저 도망간 중국 주전론자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0.02.01 15: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홍장 등 주화파, 주전파에 밀려 개전…자강운동 실패 인정, 중화주의 붕괴

 

1884~1885년에 베트남을 놓고 청나라와 프랑스 사이에 전쟁(청불전쟁)이 벌어졌다. 결과적으로 보면, 청나라가 패배해 조공국이었던 베트남이 프랑스의 보호령으로 떨어진다. 이로 인해 수천년동안 동아시아를 지배해온 중국 중심의 질서, 즉 중화주의가 무너지는 시초가 된다.

 

베트남 응우엔() 왕조의 시조 푹 아인(阮福映)은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1802년 황제에 올랐다. 폭 아인은 왕조 창건에 도움을 준 프랑스인들을 궁정에 두었고, 카톨릭에 대해서도 관용적인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그의 후계자들은 보수적으로 돌아서 유교주의에 입각해 서양 문물을 배척했다. 푹 아인을 이은 2대 민 망(明命), 3대 티에우 찌(紹治), 4대 뜨 득(嗣德) 황제는 카톨릭을 무섭도록 탄압하고 서양을 적으로 돌리는 쇄국정책을 썼다.

베트남엔 17세기부터 카톨릭이 전파됐다. 1833년 프랑스 신부의 교사로 일어난 레반코이 반란세력은 카톨릭 황제를 세운다는 명분으로 사이공(쟈 딘)을 점령했다. 2대 민 망 황제는 반란을 진압한 후 프랑스 선교사들을 처형하고 신자들을 탄압했다. 응우옌 왕조의 카톨릭 탄압은 프랑스에 침공 명분을 만들어 줬다.

프랑스가 베트남을 욕심 낸 것은 카톨릭 탄압 때문만은 아니다. 그것은 명분일뿐, 실제는 인도차이나에 대한 식민지 팽창이 목적이었다. 프랑스는 중국으로 진입하는 교두보를 베트남에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1851년 프랑스 황제가 된 나폴레옹 3세는 "프랑스가 동아시아에 세력을 확장하지 않으며, 2류 국가로 전락할지도 모른다"는 강박관념에 빠져 있었다. 그러던 중 스페인 출신의 신부가 베트남에서 순교하자, 나폴레옹 3세는 스페인과 연합해 베트남에 전쟁을 선포했다. 프랑스 해군은 1858에 다낭, 1859년에 사이공을 점령했다. 프랑스 식민지화의 서막이 오른 것이다. 1861년에도 프랑스는 베트남에 대대적으로 침공했다. 이듬해인 1862년 베트남의 뜨 득 황제는 항복했다.

프랑스와 베트남 간에는 불평등 내용을 담은 사이공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에 따라 베트남은 1862년 남부의 주를 프랑스에 할양했다. 프랑스는 할양받은 남부를 코친차이나(Cochinchina)라 이름 지어 직접 지배했다.

 

1866~68년, 프랑스 메콩탐험대의 경로 /위키피디아
1866~68년, 프랑스 메콩탐험대의 경로 /위키피디아

 

프랑스인들은 코친차이나를 거점으로 인도차이나 반도와 중국 남부 윈난(雲南)을 지배하는 계획을 세운다. 그 첫 번째 활동이 메콩탐사반의 파견이다. 그들은 메콩강(Mekong)을 거슬러 올라가면 중국 윈난성에 도착할 것이라고 믿었다. 윈난성은 유명한 차 생산지인데, 그곳에 전설적인 왕국이 있다는 소문이 프랑스인들을 자극했다.

1866년 에르네스테 데 라그레(Ernest Doudard de Lagrée) 대위를 대장으로 하는 프랑스 원정대가 쟈 딘(사이공)을 출발해 메콩강을 거슬러갔다. 프란시스 가르니에(Francis Garnier)라는 젊은 장교도 참여했다. 원정대는 캄보디아와 라오스를 거치면서 실망했다. 물길이 급류를 이루었고, 폭포가 나타났다. 그들은 증기선으로 메콩강을 올라갈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원정대는 윈난의 대리(大理), 곤명(昆明)을 거쳐 양쯔강을 따라 상하이에 들렀다가 1868년 사이공으로 돌아왔다. 이들은 유럽인으로 최초로 메콩강을 탐사했다.

프랑스인들은 2년에 걸친 탐험 결과, 메콩강이 수운(水運)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것을 발견하고, 윈난성으로 가는 또다른 강을 찾았다. 장 뒤푸이(Jean Dupuis)라는 프랑스인은 이집트와 중국에서 무기를 팔던 상인이었는데, 중국 윈난의 전설적 왕국에 매혹되어 1871년에 베트남 하노이와 하이퐁을 흐르는 홍강(紅江)을 탐험하게 되었다. 그는 홍강이 윈난성 대리와도 연결되어 있고, 수운으로 활용하기도 용이하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뒤푸이는 코친차이나의 프랑스 당국으로부터 홍강 입구를 개척하라는 허락을 얻어냈다. 그는 베트남 당국에 홍강 입구를 열어달라고 요구했다. 응우엔 왕조는 중부 후에(順化)를 수도로 삼았지만 하노이는 고대 이래 베트남의 수도였고 방어상 요지였기에 프랑스 무기상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게다가 뒤푸이가 무기를 팔려는 대상은 청조에 반기를 든 윈난 이슬람세력이어서 청조에 조공을 하는 응우옌 왕조로서는 불가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

프랑스 당국은 홍강 개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콩원정대에 참여한 적이 있는 가르니에를 홍강 입구의 통킹만(Tongking Bay)에 파견했다. 1873년 가르니에는 몇주만에 소규모의 군대로 통킹의 수도 하노이를 함락시키고, 홍강 삼각주 대부분의 성들을 점령했다.

응우옌 왕조는 중국 남쪽에 진을 치고 있던 유영복(劉永福)의 흑기군(黑旗軍) 파견을 요청했다. 흑기군은 태평천국의 난에 참가했던 비밀결사조직 천지회(天地會)의 잔당으로 베트남과 운남성 국경지대를 정악하고 있었다.

18731221, 유영복은 검은 깃발을 휘날리며 600명 정도의 흑기군을 하노이에 접근시켰다. 그 뒤로는 베트남군이 따랐다. 이 전투에서 가르니에는 사망하고 프랑스군의 첫 통킹만 지배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

 

장 뒤푸이 /위키피디아
장 뒤푸이 /위키피디아

 

8년후인 1881년말 프랑스 해군장교 앙리 리비에르(Henri Rivière)는 프랑스 상인에 대한 분쟁을 조사하기 위해 소규모의 군대를 데리고 하노이로 찾아갔다. 그는 상관의 명령을 무시하고 독단으로 하노이 성을 점령했다. 한 장교에 의한 일방적 하노이 점령에 분노한 응우옌 정권은 상국(上國)인 청나라에 지원을 요청했다. 흑기군은 이미 내려와 프랑스군에 대항해 참전하고 있었다.

청조의 쯔리(直隸) 총독으로 군권을 쥐고 있던 이홍장(李鴻章)은 해군 건설과 해안 방어가 완성되기 전에 프랑스와 전쟁을 벌이는 것을 반대했다. 자강운동의 지도자인 그는 현실주의자였다. 지금 힘이 없기 때문에 프랑스와 전쟁을 벌이면 오히려 화를 초래하며, 중국이 공격받기 전에는 응전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1883년 흑기군의 매복 /위키피디아
1883년 흑기군의 매복 /위키피디아

 

이홍장의 실용주의 노선에 책만 파먹던 젊은 샌님들이 벌떼처럼 들고 일어났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장지동(張之洞)과 장패륜(張佩綸)이었다. 이들은 깨끗한 척하며 청류당(淸流黨)의 패당을 만들이 이홍장을 공격했다. 두 장씨는 프랑스를 이미 쇠약한 대국이라고 경멸하고, 이홍장을 회유주의자, 패배주의자로 몰아붙였다. 장가들은 한없는 욕심을 가진 적들에게 한번 밀리면 일본은 조선에서, 러시아는 만주에서, 영국은 미얀마에서 모험적인 행동을 할 것이라며 주전론을 펼쳤다.

이홍장도 주전파에게 밀렸다. 청국은 임오군란(1882)으로 조선에도 파병한 상태여서 해외 출병 여력이 부족했지만, 결국은 제국으로서의 위엄을 유지하기 위해 번국의 전쟁에 개입하게 된다.

 

1884년 8월 23일 프랑스 해군의 푸조우 포격 /위키피디아
1884년 8월 23일 프랑스 해군의 푸조우 포격 /위키피디아

 

청은 주전론자인 청류당 사람들을 지휘관으로 임명했다. 장지동은 양광총독에, 장패륜은 푸젠성 해안 방어를 맡았다.

선제공격은 프랑스가 했다. 1884823일 프랑스 군함 12척이 푸저우 앞바다에 나타나 한시간만에 중국함선 11척을 격침시키고 프랑스의 도움으로 건설한 마웨이 조선소를 파괴해 버렸다.

장패륜은 산꼭대기에서 이 모습을 보고 제일 먼저 도주해 버렸다. 그러는 그는 화려한 궤변으로 사실을 왜곡하며 해전에서 승리했다고 베이징에 보고했다. 그러나 며칠후 진상이 밝혀지면서 장패륜은 변방으로 추방되었다. (장패륜은 유배생활을 한 후 이홍장의 사위가 되어 청말기에 고관대작으로 살아 남는다.)

본토를 공격받은 청은 18848월 정식으로 프랑스에 선전포고를 한다. 청군은 정작 베트남에 진입하지도 못했다. 베트남에서 싸운 중국인들은 청조의 반란세력인 흑기군이었다. 전쟁은 타이완의 지룽(基隆)과 남해안 일대 등 중국에서 벌어졌다.

 

청불 전쟁 때 프랑스 해군의 공격로 /위키피디아
청불 전쟁 때 프랑스 해군의 공격로 /위키피디아

 

서태후는 처음에 프랑스와의 전쟁을 지지했다. 하지만 청군은 5만명의 병력을 투입해 16천명의 프랑스군에게 참패했다. 프랑스는 양쯔강과 대운하의 요새를 봉쇄함으로써 중국 남방에서 올라오는 조운(漕運) 길을 막아 세수의 흐름을 차단했다. 이 소식을 들은 서태후는 공친왕을 해임하고 이홍장에게 협상 교섭대표를 맡겼다. 프랑스 정부도 지구 반대편에서 전쟁을 장기화하는 것을 힘들어 했다.

18856월 이홍장과 중국주재 프랑스 공사 사이에 종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협정에 따라 중국은 프랑스와 베트남이 체결한 조약을 모두 승인하고, 프랑스는 타이완과 펑후(澎湖) 열도에 주둔한 군대를 모두 철수하기로 했다.

이로써 청나라는 1천년 이상 이어온 베트남에 대한 종주권을 상실하고, 20년간 추진해온 양무운동을 실패로 돌아갔음을 절감하게 되었다. 이후 영국은 중국에 조공하던 미얀마에 군대를 파했고, 청은 1886년 미얀마를 영국의 보호국으로 인정했다. 또 중국이 가장 우선시했던 조공국 조선도 위태롭게 되었다.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지배 /위키피디아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지배 /위키피디아

 

 


<참고 목록>

<근현대 중국사(상권)-제국의 영광과 해체>, 이매뉴얼 C.Y. , 2013, 까치, p401~408

<淸史>, 임계순, 신서원, 2000, p501~505

Wikipedia, Sino-French War

Wikipedia, Mekong expedition of 18661868

Wikipedia, Jean Dupuis

Wikipedia, Cochinchina

Wikipedia, Francis Garnie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