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국새 대군주보와 효종어보, 환수하다
조선왕조 국새 대군주보와 효종어보, 환수하다
  • 이인호 기자
  • 승인 2020.02.19 10: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미교포 이대수씨 기증…20일부터 3월 8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서 특별 공개

 

고종이 1882(고종 19)에 제작한 국새 대군주보(大君主寶)’와 효종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740(영조 16)에 제작한 효종어보(孝宗御寶)’가 재미교포의 기증을 받아 국내에 들어왔다.

국새는 국권을 상징하는 것으로 외교문서나 행정문서 등 공문서에 사용된 도장이며, 어보는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의례용 도장으로, 왕이나 왕비의 덕을 기리거나 죽은 후의 업적을 찬양하기 위해 제작해 국가에서 관리하는 도장이다.

대군주보는 높이 7.9cm, 길이 12.7cm 크기로 은색의 거북이 모양 손잡이(龜紐)와 인판(印板, 도장 몸체)으로 구성되어 있고, <고종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등에 외교관련 업무를 위해 고종의 명에 따라 1882년에 제작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전까지 조선은 명과 청에서 조선국왕지인(朝鮮國王之印)’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국새를 받아 사용했으나, 고종의 명으로 ()조선국대군주(大君主)’라는 글씨를 새긴 대군주보를 새롭게 만들어 사용하게 되었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고종이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1882) 등의 당시 조선의 정세 변화에 발맞추어 중국 중심의 사대적 외교관계를 청산하고 독립된 주권국가로의 전환을 꾀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국새 대군주보’‧‘효종어보’ /문화재청
국새 대군주보’‧‘효종어보’ /문화재청

 

세부 자료 조사 결과, 대군주보의 공식적인 사용 시기는 1882년 제작 이후 1897년까지로 파악되었으며, 외국과의 통상조약 업무를 담당하는 전권대신(全權大臣)을 임명하는 문서(1883)에 실제 날인된 예가 확인되었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에 새롭게 제정된 공문서 제도를 바탕으로 대군주(국왕)의 명의로 반포되는 법률, 칙령(勅令), 조칙(詔勅)과 관료의 임명문서 등에 사용되었다.

 

효종어보는 높이 8.4cm, 길이 12.6cm 크기로 역시 거북이 모양 손잡이에 금색을 띠고 있으며, 영조 16(1740)에 효종에게 명의정덕(明義正德)’이라는 존호를 올리며 제작된 것이다. 효종 승하 직후인 1659(현종 즉위년)에 시호를 올렸고, 1740(영조 16)1900(광무 4)에 존호를 올렸으며 이때마다 어보가 제작되었다. 현재까지 효종어보 3점 중 1900년에 제작한 어보(국립고궁박물관 소장)만 전해오고 있었는데 이번에 1740년 제작 어보를 환수함에 따라 이제 1659년에 제작된 어보를 제외하고는 효종과 관련된 어보 2점은 모두 국립고궁박물관에 무사히 보관할 수 있게 되었다.

 

국새 대군주보(왼쪽)와 효종어보(오른쪽)의 단면 /문화재청
국새 대군주보(왼쪽)와 효종어보(오른쪽)의 단면 /문화재청

 

기증자인 재미교포 재미교포 이대수(Lee Dae Soo, 84) 씨는 1960년대 미국으로 유학 후 줄곧 미국에 거주하면서 한국문화재에 관심이 많아 틈틈이 경매 등을 통해 문화재들을 매입하던 중 1990년대 후반에 이 두 유물들을 매입했다. 이씨는 최근 국새어보가 대한민국 정부의 소중한 재산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어 고국에 돌려보내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해 기증을 결심했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미주현대불교 발행인 김형근(64) 씨와 경북 구미의 한국국외문화재연구원 전 사무처장 신영근(71) 씨는 기증자와 문화재청 사이에서 국새어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증의 방법과 형식, 시기 등을 조율하는 등 조력자 역할을 원만히 수행하여 두 유물이 돌아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국새 대군주보(왼쪽)와 효종어보(오른쪽)로 찍은 도장 /문화재청
국새 대군주보(왼쪽)와 효종어보(오른쪽)로 찍은 도장 /문화재청

 

조선 시대(대한제국기 포함) 국새와 어보는 총 412점이 제작되었으며, 이번에 돌아온 2점을 제외하고도 아직 73점은 행방불명 상태다. 국새·어보는 대한민국 정부의 재산으로 소지 자체가 불법인 유물로서, 유네스코 123개 회원국을 비롯해 인터폴과 미국 국토안보수사국 등에 행방불명 상태인 유물 목록이 공유되어 있다. 이런 이유로 그동안 국새나 어보의 환수는 주로 압수나 수사와 같은 강제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지만, 이번 환수는 제3자의 도움과 소유자 스스로의 결심으로 이루어 낸 기증이라는 형식의 우호적 환수가 이뤄졌다.

이번에 돌아온 대군주보와 효종어보는 20일부터 38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2조선의 국왕실에서 일반 관람객에게도 공개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