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의 정혼녀 민갑완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의 정혼녀 민갑완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0.03.02 1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파혼당한후 상해로 망명…평생 결혼 않고 한 많은 삶 살은 비운의 여인

 

민갑완(閔甲完)이란 여인이 있었다. 조선 왕실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英親王)의 비()로 간택되었지만, 일제의 방해로 끝내 결혼하지 못한 인물이다.

구한말에 비극적인 삶을 산 여인들이 많았다. 덕혜옹주가 그런 인물이고, 민갑완은 그보다 더 슬픈 삶을 산 여인이다.

 

영친왕은 18971020일은 영친왕이 태어난 날이다. 대한제국이 선포되고 고종이 황제로 오른 18971012일에서 8일 지난 날이었다. 러시아 공사관에 피신해(아관파천) 1년을 보내면서 고종과 엄 귀비 사이에 아이가 들어선 것이다.

같은 날 영국영사를 지낸 여흥 민씨(驪興 閔氏) 집안의 민영돈의 집에서도 딸아이의 울음소리가 들렸다. 여흥 민씨 가문은 명성황후를 비롯해 조선시대 8명의 왕후를 배출한 조선시대 대표적인 명문가이다. 영친왕과 같은 날에 태어난 민갑완, 이 아기는 앞으로 자기에게 펼쳐질 인생의 험하고 아픈 일들을 짐작이나 했을까?

 

영친왕이 일본에 볼모로 잡혀가던 1907년의 봄, 영친왕의 나이는 10살이었다. 경운궁(덕수궁)에는 영친왕의 배필을 맞기 위해 바쁘게 움직였다. 영친왕의 친모 엄 귀비가 영친왕의 배필을 구하기 위해 조선의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간택령을 내렸다.

조선 왕가에서 왕세자의 배필을 구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행사였다. 간택의 첫 단계는 전국에 결혼을 금한다는 금혼령이다. 왕은 나라의 모든 처녀를 배필로 삼을 수 있다는 얘기이다. 그러면 딸을 둔 집안에서는 처녀의 사주단자를 왕실에 보낸다. 그렇다고 전국 모든 처녀의 사주단자가 오는 것은 아니다. 주로 왕비가 되고 싶어 하는 명문가 규수의 사주단자가 온다. 그 중에서 3간택의 절차, 3번의 심사를 통해 왕세자의 배필을 최종 낙점하는 것이다.

 

민갑완 /한선생 제공
민갑완 /한선생 제공

 

엄격한 심사와 정치적 상황을 고려해 영친왕과 같은 날 태어난 이쁘고 똑똑한 아가씨, 민갑완이 배필로 정해졌다.

민갑완은 왕실의 여러 어른들에게 인사를 드리고 정혼을 약속하는 신물(信物)인 가락지를 받았다. 이제 궁궐에서 가례(嘉禮)일을 받아 예식만 치러지면 순종의 뒤를 이어 조선의 왕으로 등극할 영친왕의 비, 조선의 국모가 되는 것이다.

190712월 영친왕이 일본에 유학을 떠났다. 일본 제국주의자들이 영친왕의 결혼을 방해하기 위해 유학이란 구실로 어린 왕자를 볼모로 잡아간 것이다.

영친왕이 유학을 떠난지 10년의 세월이 흘렀다. 민갑완도 영친왕도 이제 20살의 과년한 여인이 되었다. 민갑완은 약혼자가 돌아 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리던 차에 궁궐에서 일단의 상궁들이 집으로 찾아왔다.

 

이제 올 것이 왔구나! 택일 때문에 왔겠지? 그런데 이게 웬일 인가! 혼약을 파기한다는 소식이 전해 졌다. 집안이 난리가 났다. 이 일의 충격으로 민갑완의 할머니는 세상을 떠나고 6개월후 아버지도 돌아가셨다.

영친왕이 일본 황족인 마사코(方子)와의 결혼이 확정된 후에, 예정된 혼약자를 그대로 두었다가는 나중에 어떠한 일이 벌어질지 모른다는 일본의 강요에 파혼된 것이다.

 

미국에서 영친왕과 부인 마사코, 아들 이구 (1858) /하정웅 기증 영친왕 사진(문화재청)
미국에서 영친왕과 부인 마사코, 아들 이구 (1858) /하정웅 기증 영친왕 사진(문화재청)

 

왕실 법도상 한 번 왕비로 간택된 여인은 평생 독신으로 살아야했다.

민갑완은 마음의 정표인 가락지를 간직하겠다고 간곡하게 청을 올렸지만 궁녀들은 약혼반지마저 빼앗아 갔다.

민갑완은 조선에서 더 이상 살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돌아오겠다는 각서와 재산을 공탁하고 해외로 망명을 감행했다. 상하이 임시정부 요인어었던 김규식(金奎植) 선생이 계획한 일이라고 한다. 김규식은 민갑완에게 독립운동에 투신할 것을 권고했지만, 민갑완은 나의 희생으로 만사가 평온하기를 바랄뿐이라면서 거절했다.

 

민갑완과 조카 /한선생 제공
민갑완과 조카 /한선생 제공

 

민갑완은 남동생과 중국 상해로 가서 길고 긴 고난의 삶을 살게 된다. 모든 것을 잊고 새 출발하고자 의사가 되기 위한 절차를 밟았으나 그마저 중국주재 일본 영사의 방해로 좌절되었다. 일본의 감시 속에서 할 수 있는 것은 독서와 뜨개질뿐이었다.

여러 번의 혼담이 들어왔지만 모두 거절했다고 한다. 이승만의 청혼도 거절하였다는 일화가 있다.

그는 한 언론과의 한 인터뷰에서 왜 결혼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한국 여성의 지조가 얼마나 강한지를 일본인들에게 보여줌으로서 우리의 비운을 복수하려고 한 겁니다라고 얘기했다고 한다.

 

민갑완이 국내로 돌아온 것은 해방이 된 후인 1946년이다. 마흔대 후반의 나이였다. 젊고 아름다운 모습은 오간데 없고 그녀를 반겨줄 사람도, 수중에는 아무런 재물도 없었다.

영친왕은 5·16이후 1963년에 귀국이 허용되었다. 주위에서는 조국으로 돌아온 영친왕과의 만남을 주선했으니 민갑완은 거부했다.

민갑완은 한 많은 인생을 살다가 196871세의 나이로 부산에서 세상을 떠난다. 평생 의지하였던 남동생이 죽자 곡기를 끊어 삶을 마감한 것이다.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 정혼녀였던 그녀는 유언으로 나는 처녀인 만큼 절대 남의 집에서 죽게 하지 말고 수의는 옛날 선비처럼 남복을 입혀 주세요라고 했다. 황실의 권위와 가문의 영예를 지키기 위한 마지막 바람이었을 것이다. 이후 부산 천주교 공동묘지에 묻혔다.

 

그녀의 자전적 이야기가 <백년한>이란 책으로 전해온다. 가슴에 응어리진 슬픔을 헤아리려면 백년이 아니라 천년도 모자랄 것이다. 몇십년만 먼저 태어났으면 어쩌면 조선의 국모가 되어 만백성의 숭모의 대상이 되었을 여인이다. 민갑완의 존재도 기억해야 할 우리의 역사다.

 

덕수궁 함녕전에서 고종과 영친왕(1900년대) /하정웅 기증 영친왕 사진(문화재청)
덕수궁 함녕전에서 고종과 영친왕(1900년대) /하정웅 기증 영친왕 사진(문화재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