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남산 불상 등 불교유물 5점 보물지정 예고
경주남산 불상 등 불교유물 5점 보물지정 예고
  • 이인호 기자
  • 승인 2020.07.01 10: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합천 해인사 원당암ㆍ공주 갑사의 불상, 복장유물, 전적류 등도

 

불교 유물 5점에 대한 보물 지정이 예고되었다.

대상은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사보살입상 및 복장유물,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사보살입상 복장전적 등이다. 문화재청은 5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쳐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가진 후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 /문화재청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 /문화재청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

경주 남산 장창곡(長倉谷)의 정상부근 석실(石室)에 있던 불상으로, 관련 기록과 조각 양식 등으로 보아 신라 시대 7세기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삼존상은 삼국 시대 미륵신앙과 신앙행위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작품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이는 <삼국유사>에 기록된 644(선덕여왕 13) 생의(生義) 스님이 경주 남산 골짜기에서 발견해 삼화령(三花嶺)에 봉안한 미륵상이자 신라 경덕왕 때 승려 충담사(忠談師)가 차()를 공양했다고 하는 삼화령 미륵세존 설화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어린아이처럼 귀엽고 천진난만한 용모가 가장 특징적인 인상으로 꼽혀 삼화령 애기부처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그러나 <삼국유사>에 기록된 삼화령(三花嶺)의 근거가 될 만한 자료가 발견되지 않아 불상이 발견된 계곡 명칭을 붙여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이라고 부르고 있다.

의좌상(倚坐像, 의자에 앉은 자세)을 취한 본존 미륵불과 좌우 협시보살 입상으로 구성되었다. 의좌상 형식의 불상은 중국 남북조 시대(56세기) 이후 크게 유행하였고 미륵불을 상징한 예가 많다. 장창곡 불상의 경우 우리나라 의좌상 불상 중 시기가 가장 오래된 작품이자 희소한 예에 속한다.

본존상이 원만한 얼굴에 두 눈을 아래로 지그시 내려 사색에 잠긴 표정이라면, 두 보살상은 1미터 남짓한 아담한 체구에 머리에는 보관(寶冠)을 쓰고, 입가에 해맑은 미소 짓고 있다. 이렇듯 어린아이의 4등신 정도의 신체 비례를 보이는 불·보살상은 중국 67세기 북주(北周)시대부터 수대(隋代)에 걸쳐 유행했고, 우리나라에서는 7세기 신라에서 주로 조성된 것으로 보아 양식의 영향관계를 유추할 수 있다.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은 경주 남산이라는 원 위치가 명확하게 확인된 점, 우리나라에서 가장 빠른 의좌형 미륵삼존불이자 신라인들의 신앙생활이 반영된 대표작이라는 점, 마치 불심(佛心)과 동심(童心)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룬 듯한 7세기 신라 전성기의 수준 높은 조각양식을 보여준다는 사실에 비추어 한국조각사에 중요한 학술예술적 위상을 지닌 작품으로 평가된다.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문화재청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문화재청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腹藏遺物_

해인사 경내 부속 암자인 원당암(願堂庵)의 보광전(普光殿)에 봉안된 삼존불상과 이곳에서 발견된 복장유물을 말한다.

설법인(說法印)의 수인(手印, 불보살을 상징하는 손모양)을 한 아미타여래좌상과 보관(寶冠)을 쓴 관음보살, 민머리의 지장보살로 구성된 불상으로, 아미타삼존 도상을 정확하게 구현한 작품이다. 이러한 삼존상 형식은 고려 후기에 새롭게 등장한 도상(圖像)으로 조선 후기까지 지속되었으나, 현존하는 사례가 매우 드물다.

조성 시기에 대해서는 불상의 형식과 복장발원문, 1490년 전후 왕실의 지원에 따른 해인사 중창(重創), 이후 1495년 원당암 중창이 이루어진 일련의 과정을 고려할 때, 조선 15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발원문 등 복장유물을 통해 해인사 법보전(法寶殿)과 대적광전(大寂光殿) 목조비로자나불좌상 조성을 후원한 왕실인물들이 관여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확인되었다.

보살상의 얼굴은 통통한 둥근 형상에 조밀하고 섬세한 이목구비, 위엄 있는 온화한 표정 등 수법이 서로 비슷해 같은 작가의 솜씨로 추정한다. 특히, 삼존상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앙련(仰蓮, 연꽃이 위로 향한 모양)과 복련(覆蓮, 연꽃을 엎어 놓은 모습)이 마주보는 연화대좌는 명나라에서 유행한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어서 당시 중국불교와 교류를 엿볼 수 있는 요소이다. 나풀거리듯 드리운 목깃 주름과 신체의 유기적인 흐름을 따라 사실적으로 조각된 천의(天衣) 등 뛰어난 조형미는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국보 제282, 1458),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국보 제221, 1466) 15세기 중·후반 왕실발원 불상들과 연관성을 보여준다.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은 고려 후기부터 본격화된 아미타여래와 관음, 지장보살로 구성된 아미타삼존 도상을 보여주며, 조선 초 15세기 불상의 양식적인 특징을 뚜렷하게 반영하고 있어 당시 불교조각사 연구에 귀중한 사례가 되는 작품이다. 제작 당시부터 오늘날까지 원래의 봉안 장소를 벗어나지 않고 제작 당시 모습 그대로 신앙의 대상으로 보존되고 있다는 점, 복장유물을 통해 제작 배경과 참여자 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삼존상과 복장유물을 함께 보물로 지정해 보호할 가치가 충분하다.

 

합천 해인사 원당암 불상 복장전적 (제다라니경 변상도) /문화재청
합천 해인사 원당암 불상 복장전적 (제다라니경 변상도) /문화재청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腹藏典籍)

29첩으로, 본존 아미타여래좌상 복장에서 발견된 불경이다.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진본晉本) 23첩과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貞元本) 5, 제다라니(諸陀羅尼) 1첩으로 구성되었다. 판각 시기는 대부분 고려 13세기 중엽이며, 인출 시기는 조선 14세기 말15세기 초로 추정된다. 불상이 만들어진 후 복장이 개봉된 적이 없었기 때문에 결손 없이 보관상태가 매우 양호하며, 이렇듯 고려시대 판각된 화엄경이 일괄 발견된 예는 지금까지 매우 드문 사례다.

대방광불화엄경의 진본·정원본 28첩 중 진본(晉本)’ 23첩은 표지의 색이 진한 감색과 연한 감색, 황색 계통으로 세 종류이며, ‘정원본(貞元本)’ 5첩도 진한 감색과 황색 계통의 두 종류로 제작되었다. 진본정원본 모두 고려 중엽~조선 초 당대 해인사의 사상적 경향과 함께 출판인쇄문화의 실체와 역량, 그리고 국보 제206합천 해인사 고려목판에 포함된 개별 경판과 상관성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담고 있다.

특히, 제다라니는 휴대용 수진본(袖珍本) 형식으로, 인출 시기는 조선 초 14세기경으로 추정되지만 1375(고려 우왕 1)이라는 정확한 판각연대가 있고 현재까지 발견된 유일본으로서의 희소성이 클 뿐 아니라 삼불상(三佛像: 아미타불비로자나불석가불)과 마리지천상(摩利支天像)이 표현된 변상도(變相圖)가 처음 확인된 경전이어서 고려 말 삼불상 구성과 마리지천 신앙을 알려주는 매우 주목되는 자료이다.

원당암 삼존상 복장전적 29첩은 지금까지 알려진 동종 문화재 중 보존상태가 최상급이고 같은 불상에서 일괄로 발견된 자료라는 점에서 완전성 또한 뛰어나다. 서지학불교학적 가치도 탁월하다.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문화재청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문화재청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사보살입상 및 복장유물

충청남도 공주 계룡산 자락에 자리 잡고 있는 갑사(甲寺) 대웅전에 봉안된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사보살입상의 협시보살상에서 발견된 복장유물이다. 해당 유물과 복장유물은 2002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5호로 지정되었다.

사보살입상1617(광해군 9)에 행사(幸思) 9명의 조각승이 제작한 총 7()으로 구성된 대단위 작품이다. 이러한 7존의 형식을 갖춘 불상으로는 갑사 외에 하동 쌍계사 대웅전의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사보살입상’(보물 제1378, 1639)1703화엄사 각황전의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1703) 등이 전해지고 있다.

사보살상의 경우 임진왜란 이후 조성된 7존 형식의 불상으로는 현존 최대작(最大作)이자 최고작(最高作)으로서, 진흙으로 만든 소조(塑造) 불상은 평균 높이가 2.5미터이며, 보살상 역시 2미터 이상으로 제작되어 매우 장중한 인상을 준다. 제작기법에 있어서도 17세기 전반 대형 불상에 널리 적용된 소조기법으로서는 가장 빠른 예에 속한다. 따라서 이 불보살상은 조선 후기 삼불상사보살상 도상 및 제작기법 연구에 기준이 되는 중요한 기준작이다.

복장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을 통해 1617년이라는 명확한 제작시기와 제작자에 대한 정보가 확인되며, 2,300여명이라는 조선 후기 최대 인원의 시주자들이 참여해 제작한 17세기의 역작이라고 평가할 만하다.

역삼각형의 갸름한 얼굴에 우뚝한 삼각형의 콧날에서 행사의 조각기법이 잘 드러나 있고, 장대하고 늠름한 자세와 안정된 비례, 기백이 넘치는 표현 등에서 임진왜란 이후 조성된 대형불상들에서 보이는 시대적인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다.

소조관세음보살입상에서 발견된 복장유물은 처음 조성 당시의 현황에서 변형되지 않고 온전히 남아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학술역사예술적 가치가 있다.

 

공주 갑사 불상 복장전적 (백지묵서금강반야바라밀경) /문화재청
공주 갑사 불상 복장전적 (백지묵서금강반야바라밀경) /문화재청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사보살입상 복장전적(腹藏典籍)

소조관세음보살입상에서 발견된 전적류 88점이다. 필사본은 1건으로 흰 종이에 먹으로 쓴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이며, 그 외 7전은 모두 목판 경전류다. 간행 시기는 고려본과 조선 16세기 중반까지로 확인되며, 불상 조성시기인 1617년 이전에 인출(印出, 찍어서 간행함)된 자료들이다.

갑사 사보살입상 복장전적은 판본으로서의 중요성뿐 아니라 판각과 인출에 관련된 역사적 인물 그리고 장정(裝幀) 등에서 학술서지학적 가치를 지니며, 1617년 이전 인출된 복장 경전류의 유형과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일괄 유물로서 의미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