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전쟁③…태평양 전쟁의 시작과 끝
석유전쟁③…태평양 전쟁의 시작과 끝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0.09.22 14: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 미국의 석유금수조치에 보르네오 유전 공격…석유수송로 차단에 패망

 

태평양 전쟁은 1941127일 일본의 진주만 기습공격으로 시작되었다. 일본의 입장에서 볼 때 이 전쟁은 석유에서 시작해 석유로 끝났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전쟁에서 석유의 의존도는 1차 대전에서 이미 검증되었고, 2차 세계대전에서도 석유는 군대를 운용하는데 필수물자였다. 전투기, 전함, 탱크, 트럭은 모두 기름으로 움직였다. 일본에는 니가타(新潟)와 아키타(秋田)에 소규모 유전이 있었지만 수요의 90% 이상을 외국에서 수입해왔고, 그중 80%를 미국에 의존했다. 미국이 원유공급을 중단하면 일본의 무기는 고철덩어리가 되고, 군사력은 재래식으로 전락하는 위기에 처해 있었다. 1)

 

보르네오섬 브루나이의 세리아 유전 /위키피디아
보르네오섬 브루나이의 세리아 유전 /위키피디아

 

2차 세계대전은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한 193991일을 기점으로 삼는 게 역사기록자들의 주류적 견해지만, 동아시아에서는 19377월 중일전쟁에서부터 일본과 연합국이 대치하게 된다. 일본군의 난징 대학살은 국제적 분노를 일으켰고, 미국,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는 일본의 중국침략과 야만성을 경고했다.

미국의 프랭클린 루스벨트 정부는 1938년부터 일본에 대해 군수용 물자에 대해 엠바고(수출금지) 조치를 내렸다. 이 조치로 인해 철강재, 고철, 구리, 옥탄가87 이상의 항공유의 일본 수출이 금지되었다. 1938년 일본은 고철의 74%, 구리의 93%를 미국에서 수입했다. 미국은 1939년엔 미일 경제협력조약을 폐기하고 1940년에는 일본에 대한 수출제한법률을 제정했다. 2)

하지만 이때까지 미국은 일본에 대해 석유수출을 전면 금지하지 않았다. 석유금수조치는 일본과의 전쟁을 의미했다. 미국이 이 단계까지 나가지 않은 것은 유럽에서 독일, 태평양에서 일본과 양면 전쟁을 벌이는 것을 피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일본 전투기는 여전히 저옥탄가 항공유를 쓰면서 날아 다녔다. 낮은 수준의 미국 엠바고는 일본에 타격을 주지 못했다.

 

일본의 보르네오섬 공격로 /위키피디아
일본의 보르네오섬 공격로 /위키피디아

 

일본은 미국산 석유수입이 끊어질 것을 대비하기 시작했다. 일본은 서쪽에서 중국과 전쟁을 하고, 동쪽에서 미국이 공격해올 경우에 대비해 1940927일 독일-이탈리아와 함께 삼국동맹 조약(Tripartite Pact)을 체결했다. 독일은 일본이 시베리아를 공격해 소련군의 병력을 분산시킬 것을 기대했고, 일본은 미군이 유럽전선에 주력해주길 희망했다.

하지만 일본은 독일의 뜻대로 움직이지 않았다. 일본 육군은 시베리아 침공을 주장했지만, 해군은 기름이 떨어질 경우를 대비해 유전이 있는 보르네오섬을 공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 해군은 진주만 공격을 1년전에 기획했다고 한다. 그 목적은 일본이 유전지대인 남방의 보르네오를 점령할 경우 미 해군이 개입할 것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것이었다.

 

보르네오는 영국과 네덜란드가 분할 점령하고 있었다. 북부 4분의1은 영국이, 남부 4분의3은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통치했는데, 영국-네덜란드 합작사인 로열더치셸이 1929년 북부 보르네오 세리아 유전(Seria Oil Field)에서 원유채굴에 성공했다. 보르네오 유전에선 1940년에 일본의 연간 원유수입량보다 많은 6,500만 배럴을 생산했다. 일본으로선 이 유전을 장악하면 충분히 전쟁을 치를수 있다고 생각했다. 일본은 전쟁에 대비해 기름을 비축했다. 기름 비축량은 유종별로 다르지만 대체로 1년치였고, 벙커유는 2년치를 준비해두었다.

 

1941년 북부보르네오에 진주한 일본군 /위키피디아
1941년 북부보르네오에 진주한 일본군 /위키피디아

 

일본은 미국의 석유 금수조치에 앞서 보르네오 공격의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해 19409월 프랑스령 코친차이나(베트남 남부)를 점령했다. 일본의 인도차이나 공격은 미국의 제제 수위를 높였다. 1941726일 미국은 미국내 일본 자산을 동결하고, 81일에 일본에 대한 석유 수출금지조치를 단행했다.

미국의 제재 수위가 높아가자 19417월 일본 해군은 히로히토(裕仁) 천황에게 기름 보유현황을 보고하면서 기름 공급이 중단되면 전함은 허수아비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이 무렵 일본은 미국의 석유금수조치에 대비해 동남아 유전을 확보하기 위한 침공계획을 수립했다.

일본 자료에 따르면, 194195~6일에 일본 군부는 현 상태에서 석유가 제국 군대의 전투력의 최약점이다. …… 시간이 흐를수록 일본의 전쟁수행능력은 약해질 것이고 제국은 군사적으로 무력화될 것이라고 주장하며 천황에게 미국 하와이와 동남아 침공의 재가를 요청했다. 천황은 재가를 내렸다. 3)

 

일본은 진주만 공격에 앞서 기만전술의 일환으로 미국과 협상을 벌였다. 협상은 깨졌다. 1941127일 일본은 선전포고도 하지 않고 하와이를 공습했다.

일본은 진주만을 두차례 공습했다. 미국 전함과 전투기, 항구 시설이 폭격되었다. 하지만 진주만에 있던 미국 원유저장탱크는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일본은 전함과 전투기 파괴에 주력하느라 원유비축시설을 공격하지 않았던 것이다. 일본의 3차 공습도 없었다.

그 이유에 대해 여러 가지 설이 분분하다. 부하들은 3차 공격을 단행해 석유시설을 파괴하자고 했는데, 나구모 주이치(南雲忠一) 해군중령이 반대했다고 한다. 미군이 이미 반격 준비를 하고 있고, 2차 공습에서 많은 병력과 항공기 손실이 있었기 때문에 3차 공격을 피했다고 한다.

 

어쨌든 공격을 당한 미국측에서 다행스런 것은 원유저장시설이 온전하게 남아 있었다는 사실이다. 당시 진주만에는 450만 배럴의 석유가 비축되어 있었다. 미국 해군제독 체스터 니미츠(Chester Nimitz)는 후에 만약 일본이 그 시설을 폭파시켰더라면 전쟁은 2년 더 지연시켰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진주만 공급 이후 캘리포니아에서 지원군이 올때까지 석유비축시설 방어에 주력했다. 미국이 반격에 나서려면 기름이 절대적으로 필요했기 때문이다.

 

1942년 일본 해군의 진격로 /위키피디아
1942년 일본 해군의 진격로 /위키피디아

 

일본은 진주만 공격 이후 12월초 코친차이나에 주둔한 해군을 동원해 보르네오를 공격했다. 보르네오의 영국군과 네덜란드군은 일본군의 공격을 방비할 군사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그들은 퇴각하면서 가능한 석유시설을 파괴했다. 일본군 점령 이후에도 영국공군은 수시로 보르네오 석유시설을 공격했다.

미국은 진주만의 충격에서 벗어나면서 일본의 석유공급망을 끊는데 주력했다. 루스벨트 대통령은 일본 선박에 대해 무차별 공습과 잠수함 공격을 가하라고 지시했다. 미군 잠수함들은 보르네오에서 일본으로 향하는 길목에 기다리고 있다가 일본 유조선을 격침시켰다. 일본의 보유선박 50% 이상이 동남아 해상에서 좌초하거나 쓸모 없게 되었다. 1944년말부터 일본은 남방에서 석유공급이 거의 끊겼다. 비축유도 거의 바닥났다. 주4)

 

일본은 전쟁 막판에 온갖 수단을 동원했다. 200~500 배럴이 들어가는 고무 자루에 원유를 담아 예인선을 끌고 가거나 잠수함을 동원해 기름을 날랐다. 그렇게 해도 군수용 기름을 채우지 못했다.

최후의 발악은 송진으로 기름을 만든다는 발상이었다. 일본은 소나무 뿌리 200개면 1시간의 비행이 가능하다며 학생들을 산으로 보내 소나무 뿌리와 송진을 캐냈다. 마지막으로 인조석유 3,000 배럴을 생산해 최후 자살공격용으로 비축했으나 사용하지 못했다. 후에 미군이 그 인공유를 실험해 보았으나 시동을 걸기도 전에 인진에 달라붙어 작동되지 않았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송진을 채취했는데, 아직도 그 흔적이 전국 곳곳에 남아 있다.

기름이 떨어지면서 일본은 본토 방어에 주력했다. 최후의 1인까지 저항하라는 일본군 수뇌부의 명령을 좌초시킨 것은 석유를 초월한 무시무시한 에너지원이 동원되었다. 바로 원자폭탄이었다.

 


1) The Pacific War Online Encyclopedia

2) Wikipedia, Events leading to the attack on Pearl Harbor

3) Washing Post, 1991. 12. 1. "Blood and Oil: Why Japan Attacked Pearl" by Daniel Yergin

4) Borneo Oil Fields and Refineries Under Imperial Japanese Navy Control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