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고대제국④…흑인파라오 낸 쿠시왕국
아프리카 고대제국④…흑인파라오 낸 쿠시왕국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0.10.06 15: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집트 정복, 제25왕조 열어…수단 지역에서 1400년간 존속한 흑인왕국

 

고대 이집트는 세계 4대 고대문명의 하나를 형성했고,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함께 지중해 문화의 원조가 되었다. 이집트 문화를 이어받으면서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한 세력이 지금의 수단 북부를 중심으로 한 쿠시 왕조(Kingdom of Kush).

고대 이집트에서는 지금의 수단 북부와 이집트 남부지역을 누비아(Nubia)라고 불렀는데, 그곳에 독자적인 케르마 문화(Kerma culture)가 형성되었다. 나일강 계곡을 따라 형성된 이 문화는 이집트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상당히 독창적인 고유문화를 형성했다. 이 문화의 주인공은 이집트인이 아니라 쿠시인(Kush)이었다.

 

케르마 문화의 시작은 BC 25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수단 케르마 일대에서 시작한 세력권은 도시국가적 성격을 띠었으며, BC 21세기에 고대이집트 중왕조에 의해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집트는 총독을 보내 수단 일대를 지배했다.

이집트 중왕조가 아시아계 힉소스(Hyksos)의 침입을 받아 약화되었을 떼 쿠시인들은 BC 15~14세기에 이집트 지배에 벗어났지만 신왕조가 시작되면서 다시 이집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집트 신왕조가 내리막길에 접어들던 BC 10세기에 쿠시인들은 독립을 하게 된다.

쿠시 왕조를 연 최초의 인물은 알라라(Alara)이며, 역사가들은 그 시기를 BC 1070년으로 추정한다. 알라라는 나파타(Napata)를 수도로 정하고 독자적인 왕국임을 선포했다. 또 누이를 아문(Amun) 신전의 사제로 보내고 여러 곳에 사원을 지었다. 초기 쿠시 왕조는 선진문물인 이집트 문화를 몹망했다.

쿠시 왕조는 그리스인들 사이에 에티오피아(Aethiopia)로 불리었다. 호머는 <일리아드><오디세이>에서 에티오피아를 여러차례 언급했는데, 얼굴이 검게 탄 흑인의 나라였다.

 

쿠시 왕조의 최대영역(이집트 25왕조)과 핵심지역 /위키피디아
쿠시 왕조의 최대영역(이집트 25왕조)과 핵심지역 /위키피디아

 

이 무렵 이집트와 쿠시 왕조 사이에 힘의 기울기가 바뀌기 시작한다. 이집트 신왕조는 쇠퇴하고 투시왕조는 성하게 된다. 알라라를 계승한 카시타(Kashta) 왕은 상이집트를 점령했고, 카시타의 후계자 피예(Piye) 왕은 BC 727년에 하이집트를 차지했다. 피예 왕은 4조각으로 분열된 이집트를 하나씩 정복해 들어갔다. 그의 전승 기념물은 제벨 바르칼의 아문 사원에서 발견되었다.

피예의 후예 샤바코(Shabaqo) 왕은 BC 715년 경에 이집트 전역을 정복하고 수도를 멤피스로 옮겨 이집트의 흑인 파라오가 되었다. 이집트 왕조로는 제25왕조가 쿠시 왕조에 의해 시작된 것이다. 쿠시 왕조는 통치 방식이나 문화적 관습에서 역대 이집트 파라오를 모방했으며, 이집트식 명칭을 사용했다. 이때가 쿠시 왕조의 전성기였다.

쿠시왕조의 이집트 통치는 오래가지 못했다. 메소포타미아를 차지한 아시리아(Assyria)가 타하르카(Taharqa) 왕 시기인 BC 674년부터 이집트를 침공해 왔기 때문이다. 쿠시왕조와 아시리아 사이의 공방전이 10년간 계속되었는데 BC 663년에 이집트 제25왕조는 끝나게 되고, 쿠시왕조는 이집트 남부로 밀려나게 되었다.

 

쿠시 왕조의 이집트 지배는 60여년에 불과했으며, 다시 나파타로 수도를 옮겼다. 수단 지역에서 재기를 노리던 쿠시 왕조는 이번에 아시리아를 멸망시킨 페르시아의 공격을 받았다. 페르시아는 이집트를 정복한 후 쿠시 왕국의 수도 나파타를 공격했다. 쿠시 왕조는 BC 591년에 더 남쪽인 메로에(Meroë)로 도망칠 수밖에 없었다. 이후 쿠시왕조는 메로에를 중심으로 900년을 더 존속하게 된다. 알렉산더 대왕의 그리스 제국, 로마제국의 시기에도 쿠시는 수단 지역을 중심으로 세력권을 유지했다. 로마제국이 이집트를 지배할 당시, 쿠시 왕국은 이집트 아스완(Aswan)을 경계로 평화를 유지하기로 협정을 맺기도 했다.

 

쿠시왕조의 파라오 상 /위키피디아
쿠시왕조의 파라오 상 /위키피디아

 

메로에 시대 이후 쿠시 왕조는 이집트 문화를 탈색하고 점점 아프리카화했다. 그들은 홍해 건너 아라비아와 교역을 하고, 나일강을 따라 남쪽의 흑인 왕국들과 교류의 물꼬를 트기 시작했다.

쿠시 왕국은 뛰어난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했다. 물소로 수차를 돌려 관계시설을 운영했다. 사키아(Sakia)란 수차는 물을 3~8m를 퍼 올려 농업을 활성화시켰다. 쿠시 왕조는 또 인공저수지를 건설해 우기에 물을 가둬 건기에 활용했다. 메로에 시기에 수단 부타나 지역에 이런 저수지 형태가 800개나 축조되었다고 한다.

제출기술도 발전했다. 주철로와 용광로가 사용되었고, 쿠시의 제출기술은 다른 나라에서도 높이 평가했다. 쿠시왕조는 로마제국에 철괴를 팔았고, 그 기술은 서아프리카로 전파되었다.

의학 기술도 뛰어났다. 피라미드의 미라를 분석해 보니, 항생제가 투약되었다는 연구결과도 나와 있다.

피라미드 축조기술에서 수학 능력이 탁월했음이 확인되고 있다. 해시계도 개발되었으며, 삼각함수도 활용되었다.

 

쿠시 왕조 때 축조된 저수지 /위키피디아
쿠시 왕조 때 축조된 저수지 /위키피디아

 

메로에의 쿠시왕조는 이집트 문화와 달랐다. 그들은 왕위를 세습하는 파라오 방식을 폐기하고 왕족과 귀족들이 모여 왕을 선출했다. 동시대 다른 문명권에서 찾아보기 힘든 혁신적인 제도였다.

쿠시 왕조는 과감하게 행정 제도를 개혁했다. 쿠시의 왕은 관습법을 통해 통치했는데, 관습법은 사제들의 해석에 의해 성립되었다.

쿠시 왕조의 유물들은 수단 북부와 이집트 남부에 많이 남아 있다. 피라미드도 조성했는데, 이집트의 웅장함은 없지만 모양새는 비슷하다. 진흙으로 벽돌을 구워 축조한 사원들도 발굴되었다.

 

수단 누리의 쿠시 왕조 피라미드 /위키피디아
수단 누리의 쿠시 왕조 피라미드 /위키피디아

 

하지만 쿠시 왕조도 오랜 내분을 거치면서 약화되었고, 서기 320년에 아라비아 반도 예멘에서 출발해 에티오피아에서 세력을 키워온 악숨 왕국(Kingdom of Aksum)에 의해 멸망했다. 악숨 왕국은 구약성서에 나오는 솔로몬왕과 시바여왕의 자손이 건국한 나라로, 기독교 왕국이었다. 아프리카에 최초의 기독교 왕국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참고자료>

Wikipedia, Kingdom of Kush

두산백과, 쿠시왕조

통아프리카사, 김상훈, 다산북스(2010), P64~70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