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사③…프레스터 존의 전설
에티오피아사③…프레스터 존의 전설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0.10.09 15: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제왕 요한의 나라로 유럽에 소문…유럽 국가와 교류, 포르투갈 사절단 파견

 

자그웨 왕조(Zagwe dynasty)1137년부터 1270년까지 130년간 존속한 에티오피아의 기독교 왕조다.

1187년에 유럽의 십자군에 세운 예루살렘 왕국이 이슬람 통치자 살라딘(Saladin)에 의해 함락되자 기독교인들은 정신적 고향을 잃게 된다. 에티오피아의 기독교 왕국도 마찬가지였다.

이 무렵 자그웨의 통치자 게브레 메스켈 랄리벨라(Gebre Mesqel Lalibela)는 자신의 이름을 본따 수도를 랄리벨라(Gebre Mesqel Lalibela)으로 개명하고 새로운 예루살렘으로 만들고자 했다. 그는 구약성서 에제키엘 예언서에 따라 새로운 예루살렘에서 메시아의 왕국을 건설하고 싶어했다. 그는 수도의 여러 지명을 성경식으로 변경했다. 강의 이름을 요단강이라 하고, 11개의 석조교회를 지었다. 지금도 에티오피아의 랄리벨라에는 당시 지어진 석조교회가 남아 있다. 에티오피아 교회에서는 랄리벨라 왕을 성인으로 모시고 있다. 1)

자그웨이는 일정의 신성((神聖)국가였다. 국가와 종교가 일체화하고, 국왕이 성인으로 받들어 졌다. 하지만 자그웨는 아프리카의 고립된 기독교 국가로 예루살렘과 이집트의 교회와 접촉하는 것 이외에는 대외관계가 활발하지 않았다.

 

자그웨 왕조 때 지어진 랄리벨라의 성 조지 교회(Church of Saint George /위키피디아
자그웨 왕조 때 지어진 랄리벨라의 성 조지 교회(Church of Saint George /위키피디아

 

에티오피아에는 기독교 이외에도 이슬람도 전파되어 있었다. 자그웨 남국 북쪽에 셰와 술탄국(Shewa Sultanate)이 있었는데, 그곳에 악숨왕조의 후계자임을 자칭하는 인물이 있었다. 그가 솔로몬 왕조를 여는 예쿠나 암라크(Yekuno Amlak)였다.

에티오피아의 전승기록에 따르면 암라크는 악숨왕조의 마지막 왕 딜 나오드(Dil Na'od)의 적손이라고 한다. 악숨왕국이 유대인 여왕 주디트에 의해 멸망했을 때 딜 나오드의 충신이 왕의 어린 계승자를 몰래 빼돌려 이웃 셰와(Shewa)라는 소왕국으로 피신시켰다는 것이다. 그 후손이 암라크이고, 구약성서에 나오는 이스라엘 솔로몬 왕과 시바 여왕의 핏줄을 이어받았다는 것이다.

이 주장에 의하면, 자그웨는 방계에 지나지 않는다. 자그웨의 건국자는 악숨왕조의 공주와 결혼했으므로 정통왕조에게 권좌를 내놓아야 한다. 적어도 에티오피아 역사에서는 그렇게 주장한다.

셰와 왕국은 암하라(Amhara) 또는 막주미 왕조(Makhzumi Dynasty)라고도 하는데, 이슬람 국가였다. 이슬람 국가가 기독교 국가의 후계자를 보호하고 키운 것이다. 종교를 초월한 이런 연대는 인류역사에서 드믄 일이다.

어쨌든 예쿠나 암라크는 1270년에 셰와 군대의 지원을 받아 자그웨 왕을 폐위하고 그의 공주와 결혼했다. 이렇게 해서 암라크는 솔로몬 왕조(Solomonic dynasty)를 열게 된다. 솔로몬 왕조는 1974년 마지막 하일레 셀라시에(Haile Selassie) 황제가 쿠데타에 의해 물러날 때까지 700년간 에티오피아를 지배한다. 6·25 때 한국에 에티오피아군을 파병한 왕조이기도 하다. 2)

 

1558년 에티오피아 황제를 프레스터 존으로 표사한 그림 /위키피디아
1558년 에티오피아 황제를 프레스터 존으로 표사한 그림 /위키피디아

 

솔로몬 왕조는 북부 티그라이(Tigray)를 수도로 삼고, 군주를 황제(nəgusä nägäst)라고 칭했다. 솔로몬 왕조는 군사력을 확대해 주변 소왕국을 복속시켜 조공을 받았다. 솔로몬 왕조 시대의 에티오피아는 멀리 아프리카의 뿔(Horn of Africa)에 있는 소말리아까지 지배했다.

 

솔로몬 왕조가 수립된지 얼마후, 1301년에 에티오피아 황제 베뎀 아라드(Wedem Arad)30명의 사절단을 유럽에 파견했다. 당시 로마교회는 로마와 아비뇽으로 분열되어 있었다. 에티오피아 사절단은 교황과 대립교황을 두루 만났고,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을 방문하고 돌아왔다. 사절단은 유럽 국가들과 동맹을 형성해 이슬람과 대적하자는 약속을 받아냈다. 프랑스 왕과는 이집트를 공격하기로 약속했지만 실행되지는 않았다.

이를 계기로 에티오피아는 동방에 기독교 왕국이 있다는 사실을 유럽에 알렸고, 프레스터 존(Prester John, 사제왕 요한)로 알려지게 된다. 아울러 사절단은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15세기말에 대항해 시대를 여는 촉매제가 되었다.

솔로몬 왕조의 군주는 한곳에 머물지 않고 전국을 돌아다녔다. 따라서 자그웨 왕조 때와 달리 도시 발전이 뒤쳐졌다.

14세기초 암다 시욘 1(Amda Seyon I) 황제 시기는 에티오피아의 전성기였다. 그는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에리트레아, 소말리아까지 평정하고 그곳의 이슬람을 기독교로 개종시켰다. 또 구전으로 내려오는 설화들을 집대성해 케브라 나가스트(Kebra Nagast)를 편찬했다. 아울러 성경을 에티오피아어인 게에즈어(Ge'ez)로 재정리했다.

 

암다 시욘 1세 /위키피디아
암다 시욘 1세 /위키피디아

 

중세 유럽에서는 동방에 기독교 왕국이 있다는 전설이 확산되었다. 프레스터 존이 동방 대제국의 황제로 네스토리우스파의 신봉자이라는 설이 돌았다. 신비의 이 나라는 인도, 몽골, 아르메니아란 설이 돌기도 했고, 에티오피아라는 얘기도 흘러 다녔다.

1

페루 다 코빌량 /위키피디아
페루 다 코빌량 /위키피디아

 

5세기에 에티오피아의 자라 야코브(Zara Yaqob, 재위: 14341468) 황제가 유럽 기독교와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이탈리아 피렌체에 사절단을 보냈다. 이탈리아 사람들은 프레스터 존의 나라에서 사절단이 왔다며 크게 반겼다. 에티오피아인들은 고국에 그런 사람이 없다고 누누이 강조했지만 피렌체인들은 그 얘기를 믿지 않았다고 한다.

프레스터 존의 신화는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탐험가들을 자극해 대양으로 떠나는 동기를 제공했다. 1490년 포르투갈인 탐험가이자 선교사인 페루 다 코빌량(Pêro da Covilhã)가 에티오피아를 방문했다. 그는 포르투갈 국왕 주앙 2(João II)으로부터 아시아와 아프리카로 가서 향료를 구하고 페레스터 존의 전설을 확인하고 돌아오라는 특명을 받았다. 당시는 아프리카 남단의 희망봉을 도는 루트가 개척되기 직전이었다. 그는 지중해와 홍해를 거쳐 에티오피아에 입국했다.

코빌량은 국왕이 프레스터 존에게 드리는 서신을 전달했다. 에스켄데르(Eskender) 황제는 크게 기뻐하며 그에게 토지와 귀족 칭호를 내렸다. 하지만 황제는 그에게 귀국 허가를 내주지 않았다. 코빌량은 죽을 때까지 에티오피아를 떠나지 못했다. 3)

 

1506년 어린 황제를 대신해 섭정정치를 하던 엘레니 대비(Empress Eleni)가 아르메니아인 마테우스(Mateus)를 포르투갈에 특사로 보내 이슬람에 대항할 원군을 요청했다. 이 무렵 포르투갈은 희망봉 루트를 개척해 인도 고아(Goa)를 개척했다. 1520년 인도에 주둔하던 포르투갈 함대는 마테우스를 싣고 에티오피아 해안에 도착했다. 마테우스는 에티오피아에서 6년간 머물면서 포르투갈의 영사 역할을 했다. 이때 함께 온 프란시스코 알바레스(Francisco Álvares) 신부는 에티오피아에 관해 상세한 기록을 남겼다.

 

에티오피아-아달 전쟁 /위키피디아
에티오피아-아달 전쟁 /위키피디아

 

1528~1543년 사이에 소말리아 일대에 아달 술탄국(Adal Sultanate)이 에티오피아를 침공했다. 황제는 아달의 기세에 눌려 고원지대로 도망쳤다. 에티오피아 황제는 다시 포르투갈에 지원군을 요청했다. 에티오피아의 요청에 인도에 주둔하던 포르투갈 해군이 마사와(Massawa)에 도착했다. 머스켓 총으로 무장한 포르투갈 군은 아들의 이슬람군을 패퇴시켰다. 마침내 포르투갈군은 아달의 장군 알-가지를 죽이고 전쟁을 끝냈다.

포르투갈은 승전의 대가로 에티오피아에게 로마 교황에 복종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에티오피아는 이 제의를 거부했다. 4)

 


1) Wikipedia, Zagwe dynasty

2) Wikipedia, Yekuno Amlak

3) Wikipedia, Pêro da Covilhã

4) Wikipedia, History of Ethiopia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