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말 왜구①…일본 남북조 내란기의 정규군
고려말 왜구①…일본 남북조 내란기의 정규군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0.11.02 1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쟁물자 확보 위해 고려 약탈…조창과 조운선이 타깃, 고려 지형 꿰뚤어

 

공민왕 원년인 1352년 윤3, 고려조정은 수도 개경에 계엄령을 내렸다. <고려사> 공민왕 원년 윤31일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재추(宰樞)에서부터 이서(吏胥)에 이르기까지 사람마다 활 1, 화살 50, () 한 자루, () 한 자루씩 갖추게 한 다음 숭문관(崇文館)에서 사열하였다.”

반란이 일어난 것도 아니었다. 왜구가 강화도 인근 교동도에까지 쳐들어 온 것이다. 경인년(1350)에 시작한 왜구의 침략은 공민왕을 재임 기간 내내 괴롭혔고, 고려말인 공양왕때까지 40년간 이어졌다.

 

여말 왜구의 타깃은 곡물이었다. 그들은 고려 조정이 세금으로 걷은 쌀을 노렸다. 고려의 세곡미(稅穀米)를 쌓아 두었던 전국의 조창(漕倉), 이를 운반하는 세운선(漕運船)은 왜구들이 노리던 목표물이었다.

곡식만 가져가면 다행이었다. 사람을 납치해 갔다. <고려사>에는 이런 기록이 있다.

왜적이 진주(晉州)를 침략하자 모두 도망갔다. 최씨는 자식들을 데리고 산 속으로 피했다. 그러나 왜적이 각지에서 노략질을 하다가 최씨를 만나 칼을 들고 협박하자 최씨는 저항하며 꾸짓기를 죽기는 마찬가지니, 도적에게 더럽히고 사는 것보다 차라리 의리를 지키고 죽는 게 낫다고 말했다. 왜적은 최씨가 계속 저항하자 최씨를 살해하고 두 아이를 잡아갔다.”

왜적들은 군영과 조운선을 방화하고 민가도 불태우고 달아났다. 고려 정부는 연해 지방에 있는 세곡 창고(조창)을 내륙으로 옮기고 조세 운반을 해로를 피해 육로로 이용하도록 했다.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게 되자, 고려 조정은 관료들에게 급료를 제때 지급하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농민들은 해안 경작지에서 이주해야 했다. 처음에는 해안에서 30~40리를 떠나야 했다가 다시 70리나 격리되어야 했다. 조정에서 시켰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농민들이 살기 위해 스스로 고향을 떠났다. 농민은 땅에 붙어 사는 사람들이다. 내 땅을 버리고 가면 새 땅이 생기는 게 아니다. 땅에서 유리된 농민의 고통은 이루 말할수 없었다.

국가는 백성들을 보호하지 못했다. 고려 정부는 불시에 상륙해 약탈한 후 도망쳐 버리는 왜구에 대해 속수무책이었다. 고려는 13세기 후반에 몽골()의 지배를 받으면서 상비군을 무장해제당하다시피 했다. 군의 지휘체계는 물론 군사의 징발과 동원, 무기제조와 관리까지 몽골의 감시를 받아야 했다.

뒤늦게 왜구에 대항하기 위해 병력을 징집하고 무장했는데, 성인 남성을 군인으로 징집하는 과정에 민심 이반이 생겼다. 이럴 때 왜구에 붙어 사는 족속들도 생겼다. 도살업을 하는 화척(禾尺), 가무를 하는 재인(才人) 일부는 왜적의 앞잡이가 되었다. 이들을 가왜(假倭)라 불렀다. 이른바 토착 왜구다.

고려말 왜구는 때로 400~500척의 배를 동원해 고려의 병선을 공격했다. 해안지역은 물론 내륙 깊숙이 쳐들어가 관청을 공격하고 행정을 마비시켰다. 1868년 윤5월에도 왜구가 수도 개경의 입구인 강화도까지 쳐들어와 고려인 300명을 살해하고 쌀을 무려 4만석이나 약탈해 갔다. (고려사 공민왕 9년 윤5월조)

 

왜구가 약탈하는 그림 /東京大 사료편찬실
왜구가 약탈하는 그림 /東京大 사료편찬실

 

그러면 고려말 왜구의 실체는 무엇인가.

30년 가까이 왜구를 연구해온 이영 방송통신대 교수는 저서 <왜구, 고려로 번진 일본의 내란>에서 왜구는 일본 전국시대 규수 일대 다이묘들의 지시를 받고 움직인 정규군사 집단이었다고 밝혔다.

이영 교수는 고려말 왜구와 일본의 남북조 내란을 연결해 연구했다. 경인년(1350) 왜구의 경우, 규슈(九州)의 군벌세력인 쇼니 요리히사(少弐頼尚)가 군사적으로 수세나 위기 상황에 처해 있을 때 왜구가 침구했고, 위기 상황에서 벗어나면 왜구가 침입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지금까지 왜구에 대해 쓰시마 등 변경지대에 거주하는 어민들과 몰락한 무사들이라는 견해가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개별적 해적이 아니라, 내란기에 특정 정권과 결탁한 정규군이고, 전투가 벌어지기 전에 군량미를 확보하기 위해 이웃 고려를 약탈했다는 게 이영 교수의 연구결과다.

당시 북조를 이끌던 무로마치(室町) 막부는 규수의 난신(亂臣)”들이 저지르는 행위라고 둘러댔다. 즉 남조측 무리들이 저지른 행동이라는 것이다.

고려사(열전 권제46 우왕210)에 파견되었다가 귀국한 나흥유(羅興儒)가의 보고가 실려 있다. (1375)

그 나라(일본)의 승려 주좌(周佐)가 부친 글에 이르기를, ‘생각하건대 우리나라 서해도(西海道)의 한 지역인 구주(九州)는 난신(亂臣)들이 할거하고 있으면서 공물과 세금을 바치지 않은 지가 또한 20여 년이 되었습니다. 서쪽바닷가 지역의 완악한 백성들이 틈을 엿보아 귀국(고려)을 노략질한 것이지, 저희들이 한 일이 아닙니다. …… 바라건대 구주를 수복하게 된다면 천지신명에 맹세코 해적질을 금지시키겠습니다.’라고 하였다.”

북조 정권은 남조 정권이 저지른 일임을 공식적으로 시인한 것이다.

 

최영 장군이 공민왕 23년(1374년) 왜구를 물리친 통영 당포성 /문화재청
최영 장군이 공민왕 23년(1374년) 왜구를 물리친 통영 당포성 /문화재청

 

고려말 왜구는 경인년(1350) 이후 40년 동안 거의 매년 고려를 약탈했다. 일본 역사에서 남복조 내란기(1336~1392)는 무로마치 막부를 세운 쇼군 아시카가 다카우지(足利尊氏)가 고묘 천황(光明)을 옹립해 북조를 세운 이후부터 남조가 멸망할 때년까지다. 공교롭게도 조선이 건국된 해(1392)에 일본의 내란이 종식되었으니, 고려는 말기까지 일본의 내란에 따른 왜구 발호에 시달렸다.

 

그러면 내란기에 저들끼리 싸우기도 벅찰 터인데, 그들은 왜 고려를 침략했을까. 그것은 군량미 때문이었다.

전쟁은 농민을 병사로 징집하고 농토가 전쟁터로 변한다. 수세에 몰린 쪽은 농토가 없는 변경이나 산악, 섬으로 몰리게 된다. 군량미가 없으면 전투를 할수 없다. 또 군량미가 넉넉하면 병사들을 모집하기 용이하고, 이쪽저쪽 기웃거리는 중도적 무사들을 끌어들일수 있다. 전쟁에서 군량미는 필수적이다.

이영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경인년 왜구들이 경상도와 전라도에서 수도 개성으로 가는 조세운반선(조운선)을 노렸다. 그들은 고려시대 전국 13개 조창 가운데 승주의 해룡창, 사주의 통양창, 금포의 석두창 등 3곳을 약탈했다.

쓰시마 사람들은 다른 어떤 곳 사람들보다 조선의 지리 정보를 훤하게 꿰뚫고 있었다. 1350년 쓰시마섬의 지배자 소 쓰네시게(宗経茂)는 규슈 지역의 군벌 쇼니 요리히사의 꼬붕이었다. 하카다(博多, 지금의 후쿠오카) 지역을 장악하고 있던 쇼니씨는 북진하는 아시카가 다다후유(足利直冬) 세력을 방어하기 위해 쓰시마 섬에 군량미를 준비하라고 지시했고, 이에 쓰시마 섬의 소씨들이 고려의 남해안을 약탈하게 된 무리들이 경인년 왜구다.

 

쓰시마 섬의 지배자들이 왜구로 돌변하기 이전에 고려와 무역거래를 했기에 반도의 지리지형을 잘 알고 있었다. 쓰시마의 소 쓰네시게는 고려사에도 등장한다. 공민왕 17년조(1368) 대마도(對馬島)의 만호(萬戶) 숭종경(崇宗慶)이 사신을 보내 내조(來朝)하니, 숭종경에게 쌀 1,000()을 하사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영 교수는 이 승종경이 소 쓰네시게라고 이름을 바꿔 고려와 통교했다고 밝혀냈다.

때론 왜구의 수괴가 되어 약탈했다가 때론 무역거래를 하는 상인 우두머리로 변신하는 게 그들이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