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강화중성의 성문은 왜 막혀 있었을까
고려시대 강화중성의 성문은 왜 막혀 있었을까
  • 이인호 기자
  • 승인 2020.11.04 16: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몽골 압력에 폐쇄했을 가능성…너비 4.4m, 길이 5.3m, 4개 기둥으로 조성

 

강화중성은 고려 조정이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해 수도를 강화로 천도한 이후 건립한 3개의 성곽(내성-중성-외성) 중 하나다. 문헌기록에는 1250(고려 고종 37)에 축조되었고, 둘레가 2,960칸이며, 17개의 크고 작은 성문이 있었다고 전한다.

강화중성은 수도 강화를 형태로 둘러싼 토성(土城)으로, 현재 확인된 길이는 총 11.39. 강도시기(江都時期, 1232~1270)에 축조된 성곽 중 당시의 모습을 가장 온전히 간직하고 있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강화중성의 서성벽 구간을 대상으로 발굴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지역은 남산(해발 223m) 정상부에서 서쪽으로 약 500m 떨어진 지점으로, 강화도성 서쪽에서 능선을 따라 도성의 중심부인 현 강화읍 관청리 일대로 진입할 수 있는 교통로에 해당한다.

 

강화중성 제2차 발굴조사 전경 /문화재청
강화중성 제2차 발굴조사 전경 /문화재청

 

이번 발굴조사에서 성곽문의 터(門址)가 발견되었다.

강화중성의 문지는 너비 4.4m, 길이 5.3m, 내측에는 성문이, 외측에는 보도시설이 설치되었다. 성문은 긴사각형(장방형)의 기단 위에 초석을 놓고, 4개의 기둥을 세워 시설한 것으로 추정된다. 성문 외곽에는 넓적하고 편평한 돌을 경사지게 깔아 보도를 조성하였다. 문지 주변에서는 용두(龍頭)를 비롯한 장식기와와 평기와, 장식철물, 철못 등 문과 지붕 부재로 추정되는 유물도 다량 출토되었다.

 

조사 당시 문지는 석축담장으로 막혀있는 상태로 처음 확인되었다. 이는 성문 폐기 직후 담장을 쌓아 문지를 폐쇄한 양상으로 보인다. 1259년 몽골과의 화의에 따라 외성과 내성을 헐어버렸을 때 중성도 같이 파괴되었거나, 1270년 개경(開京)으로 환도(還都)했을 당시에 중성이 폐기되었던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강화중성 문지 폐쇄 양상 /문화재청
강화중성 문지 폐쇄 양상 /문화재청

 

또 성벽의 축조방법도 새롭게 확인하였다. 그간 강화중성은 판축(板築) 형식으로 쌓은 토루(土壘)를 중심으로 안과 밖에 흙을 덧대어 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번 조사구역의 성벽은 판축 토루만으로 구성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성벽은 석축기단을 쌓고 나무기둥(영정주, 永定柱)을 세운 다음, 판재를 결구하여 틀을 만들고 성질이 다른 흙을 여러 겹 다져 쌓아 너비 4.1~4.4m, 높이 2.5m 내외로 완성했다.

성벽 윗면에는 나무기둥이 세워진 지점을 따라 석렬을 1열씩 시설했으며, 성벽 안쪽에는 너비 4.4m, 길이 3.5m 규모의 적석시설(積石施設, 돌을 쌓아만든 시설)을 축조했는데, 이곳은 성 안쪽에서 성벽 사면을 따라 위로 오를 수 있는 등성시설(登城施設)로 추정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