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후가 한글로 역사서 필사, 대대손손 전하다
왕후가 한글로 역사서 필사, 대대손손 전하다
  • 이인호 기자
  • 승인 2020.11.18 10: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조 비 효의왕후 한글 글씨, 대형 불화와 목판, 보물지정 예고

 

정조의 왕비 효의왕후 김씨의 한글 글씨인 만석군전곽자의전을 비롯해 조선 시대 대형불화(괘불), 사찰 목판 등 5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왕후 글씨의 보물 지정은 2010인목왕후 어필 칠언시’(보물 제1627) 이후 이번이 두 번째이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지정 예고한 5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효의왕후(孝懿王后) 어필과 함-만석군전곽자의전(-萬石君傳郭子儀傳)

정조(재위 17761800)의 비 효의왕후(孝懿王后, 17531821) 김씨가 조카 김종선(金宗善, 17661810)에게 한서(漢書)만석군석분(萬石君石奮)신당서(新唐書)곽자의열전(郭子儀列傳)을 한글로 번역하게 한 다음 그 내용을 1794(정조 18) 필사한 한글 어필(御筆)이다.

효의왕후는 이 두 자료를 필사한 이유에 대해 충성스럽고 질박하며 도타움(忠樸質厚)은 만석군을 배우고, 근신하고 물러나며 사양함(謹愼退讓)은 곽자의와 같으니, 우리 가문에 대대손손 귀감(龜鑑)으로 삼고자 한 것이라고 발문에서 밝혔다. 따라서 이 어필책은 가문의 평안과 융성함을 기원한 왕후와 친정 식구들의 염원이 담긴 자료다.

여닫이 뚜껑의 나무책갑에 보관되었고 곤전어필(坤殿御筆)’이라고 단정한 해서(楷書)로 쓰인 제목, 만석군전곽자의전을 필사한 본문, 효의왕후 발문, 왕후의 사촌오빠 김기후(金基厚, 17471830)의 발문 순으로 구성되었다.

이 한글 어필은 왕족과 사대부들 사이에서 한글 필사가 유행하던 18세기 문화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자 한글흘림체의 범본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정제되고 수준 높은 서풍(書風)을 보여준다. 특히, 왕후가 역사서의 내용을 필사하고 발문을 남긴 사례가 극히 드물어 희소성이 크며 당시 왕실 한글 서예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어 국문학, 서예사, 역사 가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제작 시기와 배경, 서예가가 분명해 조선시대 한글서예사의 기준작으로 삼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아울러 어필책을 보관해 온 오동나무 함 겉에는 전가보장(傳家寶藏,)’, ‘자손기영보장(子孫其永寶藏)’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어 가문 대대로 전래된 역사성을 증명해주며, 원형 또한 잘 남아있어 함께 보물로 지정해 보존할 필요가 있다.

 

효의왕후가 한글로 필사한 함-만석군전(오른쪽)과 곽자의전(왼쪽) /문화재청
효의왕후가 한글로 필사한 함-만석군전(오른쪽)과 곽자의전(왼쪽) /문화재청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

1808(순조 8) 수화승 평삼(評三)을 비롯해 18명의 화승들이 참여해 제작한 것으로, 20폭의 화폭을 붙여 높이 10m 이상 크기로 만든 대형불화다. 도상(圖像)은 석가여래 삼존과 아난존자와 가섭존자, 6존의 부처를 배치한 간결한 구성이다. 화기에 대영산회(大靈山會)’라는 화제가 있어 영산회 장면을 그린 사실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수화승(으뜸 승려화가) 평삼은 40여 년간 활동한 이력에 비해 남아 있는 작품이 약 11점으로 많지 않지만,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는 그가 본격적으로 수화승(首畵僧)이 되어 17명의 대단위 화승들과 합작해 제작한 대표작 중 하나이다.

날씬한 신체와 둥근 얼굴에 가늘게 묘사된 이목구비, 어린아이에 가까운 얼굴, 화려한 문양과 두터운 호분(胡粉)을 덧발라 입체감을 준 기법, 적색과 녹색, 청색과 흰색 등 다양한 색채를 조화롭게 사용한 점 등은 18세기 후반 괘불도 양식과 깊은 연관성을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18세기 전통 화풍을 계승하고 있는 가운데, 색감이나, 비례, 인물의 표현, 선묘 등은 19세기 전반기 화풍을 반영하고 있어 과도기적 양식을 보여주는 작품이므로, 불교회화사 연구에 의미가 큰 작품이다.

아울러 괘불도와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괘불함 역시 옻칠로 마감하고 다양한 모양의 장석과 철물로 장식한 형태를 잘 간직하고 있어 기술 측면에서도 충분한 공예 가치를 지니고 있다.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와 함-괘불도 /문화재청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와 함-괘불도 /문화재청

 

하동 쌍계사 소장 목판 3건도 포함되었다. 이는 문화재청이 전국 사찰 소장 불교문화재 일제조사를 통해 발굴해 낸 유물이다. 2016년에 조사한 경상남도 지역 사찰에서 소장한 목판 중 완전성, 제작 시기, 보존상태, 희소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것들이다.

 

선원제전집도서 목판(禪源諸詮集都序 木板)

지리산 신흥사 판본(1579)과 순천 송광사 판본을 저본(底本)으로 해 1603(선조 36) 조성된 목판으로, 22판 완질이다.

판각에는 당시 지리산과 조계산 일대에서 큰 세력을 형성한 대선사(大禪師) 선수(善修, 15431615)를 비롯해 약 115명 내외의 승려가 참여하였다. 하동 쌍계사 소장 선원제전집도서 목판은 병자호란(1636) 이전에 판각된 것으로, 전래되는 동종 목판 중 시기가 가장 이르고 희소성, 역사학술인쇄사 가치가 인정된다.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합각 목판

고려 승려 지눌(知訥, 11581210)이 지은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과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1604(선조 37) 능인암에서 판각해 쌍계사로 옮긴 불경 목판으로 총 11판의 완질이다.

목판은 1면에 2장 혹은 양면 4장을 판각하여 1판에 24장이 새겨진 형태로, 11판의 완질이다. ‘시주질(施主秩)’을 통해 20여 명에 이르는 승려들이 판각과 교정에 참여한 사실이 확인된다.

이 목판은 병자호란(1636) 이전에 판각되어 관련 경전으로서는 유일하게 전래되고 있는 목판이다. 자료 희귀성과 판각 시기, 전래 현황 등으로 볼 때, 보물로 지정해 연구하고 보존관리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儀經) 목판

1455(세조 1)에 주조한 금속활자인 을해자(乙亥字)로 간행한 판본을 저본으로 해 1611(광해군 3) 여름 지리산 능인암에서 판각되어 쌍계사로 옮겨진 불경 목판으로, 335판의 완질이 전래되고 있다.

5의 말미인 제118장에는 선수(善修)를 비롯한 태능(太能, 15621649), 각성(覺性, 15751660) 등 여러 승려의 이름이 확인되며, 판각질(板刻秩)에는 판각에 참여한 응준(應俊, 15871672), 승희(勝熙) 등 승려와 김득림(金得林), 조응도(趙應道) 53명의 각수 이름이 확인된다.

이 목판은 1636년 병자호란 이전에 조성된 경판으로서 희귀성이 높고 조성 당시의 판각 조직체계를 비롯해 인력, 불교사상적 경향, 능인암과 쌍계사의 관계 등 역사·문화적인 시대상을 조명할 수 있는 기록유산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