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국민당정권, 하이퍼인플레이션에 민심 잃었다
中 국민당정권, 하이퍼인플레이션에 민심 잃었다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1.01.17 15: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 인플레⑥…지폐 발행으로 재정 충당, 국민적 지지 잃어

 

중국 장제스(蔣介石)의 국민당 정부가 민심을 잃고 중국 대륙을 공산당에게 내준데는 극심한 인플레이션이 한몫을 했다. 국민당이 인플레이션을 남발하자 상인들은 하루에 몇번씩 가격표를 바꿔야 했고 나중에는 아예 문을 닫아 버렸다. 국민당의 지폐남발은 중산층의 지지를 잃게 되었고, 그 결과로 중국인민들은 국민당 군사력의 10분의1도 되지 않는 중국공산당을 선택하게 된다.

 

국민당 정권의 하이퍼 인플레이션은 두 단계를 거쳐 전개된다. 첫 번째는 1943~1945년 일본과의 전쟁 때이고, 두 번째는 1947~1949년 국공내전기다.

 

금을 사기 위해 기다리는 중국인들 /GoldBroke
금을 사기 위해 기다리는 중국인들 /GoldBroke

 

1935년 이전까지 중국에선 비교적 자유로운 금융시스템이 운용되고 있었다. 민간소유 은행들이 전국적으로 영업을 했고, 외국계 은행도 설립되었다. 국민당 정부는 공산당과 일본군의 이중전쟁을 치르면서 민간은행에서 차입을 통해 재정을 꾸리고 전비를 마련했다. 은행들은 금 또는 은과 태환하는 조건으로 어음을 발행했다. 은행들은 공산당보다는 국민당을 지지했기 때문에 국민당에 자금을 대부했다.

국민당 정부는 북벌을 단행해 난징정부를 수립한 1927년에 재정의 49%를 은행 차입금으로 충당했다. 하지만 해가 갈수록 은행 의존도가 심해졌다. 초기 국민당 정권의 재정은 장제스의 처남인 쑹쯔원(宋子文)이 담당했는데, 그는 공채를 발행해 재정을 충당했다. 공채는 50%에 할인된 가격에 매각되었는데도 만기가 돌아올 때 지급불능의 상황을 맞았다. 쑹쯔원은 1928년 재정 안정을 위해 중화민국 중앙은행을 설립하고, 국민당 정부의 지폐발행을 독점하도록 했다. 당시 지폐는 은과 태환하는 조건으로 발행되었다.

 

1931년 만주사변이 발발하고 이듬해 만주국이 설립되자 국민당 정부의 공채는 폭락했다. 정부공채 가격은 액면가의 60% 아래로 주저앉았고, 은행들은 도산 위기에 처했다. 설상가상, 미국의 프랭클린 루스벨트 정부가 공황타개책으로 1934년 은구매법(Silver Purchase Act)을 제정하는 바람에 은의 국제가격이 3배나 급등했다. 중국에선 명()나라 이래로 은본위제도를 채택하고 있었다. 은이 대량으로 미국으로 수출되는 바람에 중국엔 은이 부족해 졌고, 통화 디플레이션이 발생했다. 국민당 정부는 은화 수출을 금지하는 법령을 제정했지만, 밀수출을 통제하는데 실패했다.

1935년 쑹쯔원을 이어 재정 총책이 된 쿵샹시(孔祥熙)는 은행 위기에 직면해 주요 은행을 단계적으로 국유화하는 조치를 취하고, 중앙은행에 은과 태환하지 않는 조건의 지폐발행권을 주었다. 이때부터 국민당 정권은 지폐를 남발하게 된다.

 

1945sus 충칭에서 만난 장제스와 마오쩌둥 /위키피디아
1945sus 충칭에서 만난 장제스와 마오쩌둥 /위키피디아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한 후 국민당 정권은 산업시설의 90%를 일본에 빼앗기고 부유한 동부와 남부지역을 상실했다. 일본은 해안을 장악해 중국 정부의 수입을 차단했다. 세원을 잃은 국민당 정부는 부유층의 헌금과 해외 원조로 버텼지만, 재정을 충당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곡물과 생활 상품이 극심하게 부족해 지면서 193712~193912월 사이에 물가가 두배로 뛰었다.

중일전쟁에서 일본 패망까지 국민당 정부는 지출의 65~80%를 지폐 발행에 의존했다. 통화량이 팽창하면서 국민당의 조폐창 인쇄기는 용량을 초과했고, 영국령 인도에서 인쇄된 지폐가 히말라야를 넘기도 했다.

국민당의 재정담당자들은 지폐발행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그들은 다른 대안을 찾지 못했다. 경제중심지인 베이징과 상하이, 난징을 일본에 빼앗긴 상태에서 공채 발행이 불가능했고, 퇴각한 지역은 가난한 농민들이 사는 곳이어서 세금을 올릴 처지도 되지 못했다.

지폐 발행량은 1937년 중일전쟁 첫해에 19억 위안에서 1941년말 1581,000만 위안, 1945년엔 13,190 위안으로 급증했다. 일본의 괴뢰정권인 왕징웨이(汪精衛) 정부도 지폐를 발행했다. 장제스 정부는 정통정부임을 앞세워 법화의 교환비율을 높게 책정했지만, 일본이 국민당 정부의 화폐 교환가치를 떨어뜨리는 바람이 또다른 인플레이션 요인이 되기도 했다.

1939~1941년 사이에 물가는 여섯배로 뛰었다. 1941년에서 1945년까지 정부의 재정적자는 100배로 불어났다. 인플레이션으로 군인의 봉급이 줄었고, 군인들이 사기를 잃었다. 행정능력은 비효율적이 되었고, 중산층은 빈민으로 전락했다.

 

중국과 대만의 인플레이션율 추이 /Richard C.K. Burdekin
중국과 대만의 인플레이션율 추이 /Richard C.K. Burdekin

 

미국과 소련의 참전으로 일본이 패망하고 국민당 정부는 승전국의 일원이 되었다. 전후 19458월부터 12월까지 짧은 기간에 물가가 떨어지는가 싶었지만, 곧바로 국공내전이 벌어졌다.

공장이 재가동되고 농업생산이 재개되기도 전에 내전이 발발하면서 국민당 정부는 다시 지폐를 찍어 냈다. 극심한 인플레이션에 시달린 중국인들은 국민당에 등을 돌리기 시작했다.

국공내전이 치열하던 1948~1949, 국민당 정권은 공산군과 싸우기 위해 지폐를 발행해 전비로 충당했다. 위안화는 폭락했다.

유통화폐는 1937년말 13억 위안에서 1848년말 245,589,990억 위안으로 미친 듯 상승했다. 19488~19494월 사이에 지폐 유통량이 4,524배 증가했다. 19495월 인플레이션은 5,070% 상승했다. 물가는 1945~1948년 사이에 매달 30% 이상 올랐다. 상하이 물가지수는 135,724배나 올랐는데, 이 수치는 지폐가 거의 무의미해진 것을 의미한다. 1947년 최고화폐권이 5만 위안이었는데, 1948년 중반엔 18,000만 위안 짜리 지폐가 유통되었다.

 

중국 국민당 정부가 1949년에 발행한 100만 위안권 지폐 /icollector.com
중국 국민당 정부가 1949년에 발행한 100만 위안권 지폐 /icollector.com

 

인플레이션이 심각해지고 민심이 이반하자 국민당 정부는 금본위제도를 도입했다. 19488, 국민당 정부는 금과 태환하는 위안화 새 지폐를 발행했다. 새 통화 1위안은 구지폐 300만 위안을 1 금 위안과 교환했다.

이 무렵 국민당 정부는 통제를 하지 못하는 상황에 빠졌다. 중공군이 물밀 듯 남하하고 부자달은 화폐개혁에 협조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금을 감추고 내놓지 않았고, 결국 금태환이 무너졌다.

금본위 실시 1년이 채 지나지 않아 새로 바꾼 지폐도 1,000만 위안 짜리가 나왔다. 내전 막바지에 국민당은 은으로 태환하는 위안화(siver yuan)로 화폐개혁을 단행했다. 1 은 위안이 5억 금 위안과 교환되었다. 신장(新疆) 지방에서는 60억 위안 짜리 지폐가 발행되었다.

1948 8월부터 19494월까지 물가는 1,124배나 뛰었다. 대만으로 쫓겨가기 전에 화폐개혁은 장제스의 아들 장징궈(蔣經國)가 담당했다. 그는 화폐개혁이 실패한 것을 인정하고 금, , 외환의 소지를 허용했다. 정부가 인플레이션을 저지하는 걸 포기한 것이다.

 

인플레이션은 전쟁에 대한 공포만큼이나 백성들에게 재앙을 가져다 주었다. 수억의 중국인들은 생계를 잃었으며, 국민당 정부의 신용은 철저히 무너졌다.

 

일본이 점령한 지역의 괴뢰정권 지폐를 교환하는데서도 문제가 있었다. 국민당 정부는 일본이 점령한 화중·화남지역의 괴뢰정권 지폐를 2001로 교환했다. 그들은 8년을 기다리며 국민당정권이 돌아오길 기다렸는데, 그 어려운 와중에서 모았던 돈이 허공에 날아간 것이다. 이전의 괴뢰정권은 국민당 정권의 법정지폐와 21로 교환해 주었기 때문에 국민당 정권은 그 가치를 적절히 보상했어야 했다. 결국 일본에 점령당했던 곳의 국민들은 차라리 일본 통치하에서 생활이 더 낳았지 않느냐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런 가운데 국민당 간부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상품과 재산을 독점했고, 해외에서 들어오는 구호물품을 경매해 사복을 채웠다. 중국 인민들은 국민당 정부를 더 이상 신뢰하지 않았으며, 민심이 공산당으로 돌아서게 되었다.

 


<참고자료>

Richard M. Ebeling, The Great Chinese Inflation

Jay Habegger, Origins of the Chinese Hyperinflation

Richard C.K. Burdekin, Exporting Hyperinflation: The Long Arm of Chiang Kai-shek

Encyclopedia of Money, Chinese Hyperinflation

Market Oracle, Hyperinflation in China, 1937 - 1949

이매뉴얼 C.Y. , -현대 중국사(), 2013, 까치, P754~755, 788~789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