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서 발견한 독도강치 뼈, 연구자료로 활용
울릉도서 발견한 독도강치 뼈, 연구자료로 활용
  • 이인호 기자
  • 승인 2021.03.23 18: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 보관…전시·교육프로그램 개발

 

해양수산부가 울릉도 해역 인근에서 발굴한 바다사자(독도 강치) 40여 점을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 전시해 향후 유전체 연구와 대국민 전시·교육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독도 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홋카이도, 러시아 서할린 등 태평양 연안에 주로 서식했고, 우리나라 서식지는 울릉도와 독도였다.

독도강치는 학명으로 ‘Zalophus japonicus’이며, 수컷 성체는 2.3~2.5m, 암컷은 1.6m 정도, 수컷 무게는 450~560kg에 달한다. 몸은 가늘고 긴 방추형, 원추형의 가늘고 짧은 귀와 꼬리를 가졌다. 몸의 피부색은 변이가 심하며, 어린개체는 암컷의 경우 회갈색으로, 등 중앙이 암회색이며, 수컷은 노란색을 띈 갈색이다.

일부다처제로 5~8월에 번식하며 바다사자는 주로 모래 연안에서 번식하나 독도의 경우 암초위에서 번식했다. 다양한 어류와 오징어류를 먹이로 했다.

독도의 바다사자는 항상 독도 주변 해역에 서식해 장거리 회유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에 의해 1903년부터 1941년까지 독도에서 남획되었다. 일본 어부들은 1904년 한해 동안 약 3,200마리의 강치를 마구 잡아갔다. 1975년까지 독도에서 2마리가 발견되었다고 보고되었으나, 이후에는 서식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1990년대 중반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절멸종으로 분류된 바 있다.

 

바다사자(독도강치) /해양수산부
바다사자(독도강치) /해양수산부

 

해양환경공단과 부산대학교는 작년 9월 환동해 기각류 서식실태조사를 진행하면서 과거 바다사자가 서식했던 울릉도 가재굴에서 바다사자로 추정되는 동물 뼈를 발굴했다. 이후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2007년 국제유전자정보은행(NCBI)에 등록된 바다사자 유전자 정보와 최대 99.39%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문헌상 독도 뿐만 아니라 울릉도에서도 서식했다고 알려진 바다사자가 실제로 울릉도에 서식하였음을 과학적으로 밝혀낸 것이다.

 

발굴된 바다사자의 뼈는 상태가 매우 양호하며, 전 세계적으로도 바다사자 뼈·박제 표본은 네덜란드, 영국, 일본 등 국외 기관에 총 20여 점밖에 존재하지 않아 희소가치가 높다. 이에 해양환경공단과 부산대학교는 뼈를 안전하게 보존하고 활용가치를 높이기 위해 뼈 표본을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 이관하고, 바다사자 연구와 대국민 교육 등에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기관 간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이동교실 운영 /해양수산부
이동교실 운영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는 발굴 뼈를 활용해 바다사자 종 복원 연구를 위한 유전체 분석과 골격 복원 연구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또 바다사자 골격을 기반으로 디지털 형상화 작업과 3D 프린트를 활용한 실물 복원 등을 추진하여 시·촉각 교육자료로 제작하고, 사라져 가는 해양생물의 보전을 위한 교육·홍보활동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바다사자 골격 복원도(안) /해양수산부
바다사자 골격 복원도(안) /해양수산부

 

이재영 해양생태과장은 희소가치가 높은 바다사자 뼈를 더욱 잘 보존하고 이를 활용한 연구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한편, 독도 강치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와 관심을 높이기 위한 전시·교육 프로그램 개발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울릉도 발굴 바다사자 뼈 /해양수산부
울릉도 발굴 바다사자 뼈 /해양수산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