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닌, 공산주의 모순 인정…시장경제 숨구멍 열다
레닌, 공산주의 모순 인정…시장경제 숨구멍 열다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1.04.05 1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련 70년③…통제경제로 수백만명 아사, 신경제정책으로 경제 활력 되찾아

 

공산주의 이념이 제 아무리 훌륭하다 해도 인간의 본성마저 규제하지는 못했다. 이 사실은 러시아 내전 과정에서 분명하게 드러났다.

내전은 잔혹했다. 증오심은 학살과 테러를 당연시했다. 백군은 유대인을 인종청소했고, 적군의 비밀경찰 체카(Cheka)는 비열한 고문을 자행했다. 얼마나 죽고 죽였는지 통계도 없다. 승리만이 목표였다. 1918~1921년 내전기간에 죽거나 부상당한 사람이 700~1,200만명에 이른다고 한다. 여기에는 굶어 죽거나 전염병에 죽은 사람은 별도로 포함되지 않았다.

19141차대전 참전에서 1922년 내전 종식까지 8년에 걸친 전란은 국토를 초토화시켰다. 공장은 부서지고 농토는 파괴되었다. 무엇보다 먹는 것이 시급했다.

 

혁명은 빵으로 시작되었고, 혁명 진행과정에서도 빵의 문제로 고통을 겪었다.

볼셰비키의 최초 실수는 하이퍼인플레이션이었다. 레닌은 자본주의 체제를 붕괴시키기 위해 화폐를 무력화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볼셰비키는 인쇄기를 총가동해 돈을 찍어냈다. 영국 파운드화에 대한 루블화의 환율은 19181분기에 45에서 그해말에 150으로 치솟았다.

물가가 상승하고 지폐가치가 폭락하자 지폐로 살수 있는 것이 없었다. 농민들은 곡식을 내놓지 않았다. 모든 것이 물물교환으로 돌아갔다. 농민들은 농산물을 암시장에 내다 팔았다.

혁명의 와중에서도 장사꾼들은 이 틈새를 파고들었다. 보부상들이 도시민들에게서 헐값에 산 물품을 가지고 농촌에 내려가 곡물과 교환했다. 도시 노동자들은 식량을 구하기 위해 공장의 연장을 내다 팔았다. 모스크바와 남부 농촌을 연결하는 오룔(Oryol) 역에는 보부상 3,000여명이 득시글거렸다.

 

내전기의 굶주린 도시 아이들 /위키피디아
내전기의 굶주린 도시 아이들 /위키피디아

 

볼셰비키는 노동자를 기반으로 했고, 도시를 장악했다. 1919년 적군은 100만명으로 시작해 내전이 끝날 무렵 500만명으로 늘어났다.

레닌과 트로츠키에겐 군대에 먹일 식량이 절대적으로 필요했다. 볼셰비키가 가장 먼저 통제한 것이 식량이었다. 이른바 전시공산주의(War communism)는 곡물통제에서 시작되었다.

19185월 볼셰비키는 곡물 독점을 선언했다. 농민의 잉여생산물은 국가소유라는 것이다. 농민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농민들은 정권은 볼셰비키 당신들의 것이지만, 내가 생산한 감자는 내 것이라고 주장했다. 농촌지역은 볼셰비키의 반대당이자, 백군의 핵심인 사회혁명당의 지지기반이었다. 이에 비해 도시는 볼셰비키의 기반이었고, 도시민은 농촌에서 곡물을 공급하지 않으면 굶어 죽을 수밖에 없었다. 결국 볼셰비키는 자신의 지지기반인 도시민을 먹여 살리기 위해 농민에게서 무력을 동원했다.

볼셰비키는 농촌에 무장군대를 파견해 가가호호 수색했다. 집안을 뒤져 식량이 나오지 않은 농가에 대해서는 반동지주계급인 쿨라크(kulak)라고 비난했다. 징발대원들은 마을 주민을 구타하고 고문했다. 탄압에 굴복한 농민들은 내년에 파종할 종자마저 상납해야 했다.

볼셰비키는 이렇게 수탈한 식량을 도시민에게 배급했다. 배급제도는 차등이 있었다. 군대와 관료, 당원들은 1등급, 일반도시민은 2등급, 구지배층은 3등급으로 분류되었다. 3등급 사람들은 계급의 적이었다. 그리스정교 사제들은 식량을 축내는 비생산계급으로 지목되어 노동에 투입되었다.

 

노동에 동원된 그리스정교 사제들 /위키피디아
노동에 동원된 그리스정교 사제들 /위키피디아

 

전시공산주의의 또다른 축은 기업국유화다. 볼셰비키는 19186월 대규모 산업국유화 조치를 내렸다. 기업에는 관료가 투입되었다. 공산당 관료는 노조의 권한을 빼앗고 공장위원회의 경영관리권을 장악했다. 혁명의 전위대 역할을 했던 노동조합은 이 조치에 반발했다. 노조는 대규모 파업을 전개했다.

 

노동조합은 국가에 복속시키려는 공산당의 조치에 분노했다. 노동자들은 총파업을 전개해 볼셰비키의 기업 접수에 반발했다. 모스크바의 노조는 볼셰비키의 특권을 거부하고 자유무역을 복구하고 제헌의회를 복구하라고 요구했다. 20212월 페트로그라드에도 자유를 요구하는 선언문이 나붙었다. 농민은 농산물 제공에 사보타지를 하고, 노조는 파업을 함으로써 국가경제는 마비상태에 이르렀다.

이런 가운데 크론시타트 해군이 볼셰비키 타도를 외치며 궐기했다. 크론시타트 수병들은 1917년 혁명 당시에 볼셰비키의 주력군이었지만, 새로운 소비에트를 선출하고 언론과 집회의 자유자유를 요구하며 정부에 대항했다. 반혁명 백군을 간신히 제압했더니 이젠 좌파의 도전에 직면한 것이다.

레닌과 트로츠키는 이런 소요에 정면으로 대결했다. 군대를 투입해 수병 반란을 진압하고 노조의 파업을 제압했다. 그렇다고 식량난이 해결된 것은 아니었다. 1921년엔 사상 최악의 기아상태를 맞았다. 볼가강과 우랄강 유역을 중심으로 500만명의 인민이 굶어 죽었다. 시체더미가 광야에 다뒹굴었고, 인육을 먹는 일도 있었다 한다.

 

적군이 1921년 크론시타트 수병들의 거점을 공격하고 있다. /위키피디아
적군이 1921년 크론시타트 수병들의 거점을 공격하고 있다. /위키피디아

 

레닌은 마침내 현실을 받아들였다. 혁명은 왜 하는가. 그 종착역은 인민들을 배불리 먹이는 것이다. 그런데 혁명으로 수백만 인민이 굶어 죽어가고 있다. 그렇다면 노선을 수정해야 한다. 레닌은 상황에 맞게 전략과 전술, 노선을 바꿀줄 아는 인물이었다.

19213월 당대회에서 레닌은 식량 징발을 현물세로 대체하는 내용의 결의를 제출해 통과시켰다. 이는 신경제계획(New Economic Policy)의 첫 조치로, 전시공산주의의 골격을 허무는 것이었다. 농민들이 생산하고 남은 잉여생산물을 자유시장에서 거래하도록 했다. 이 조치는 1924년에 현물세가 금납제로 대체되어, 농민들의 생산의욕을 더욱 고취시켰다.

소규모 기업의 개인소유도 인정되었고, 농업과 공업 사이에 상품 교환도 허용되었다.

신경제정책은 전시 통제경제에서 시장이라는 구멍을 뚫어 숨을 쉴수 있게 한 것으로, 일종의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혼합경제의 성격을 띠었다.

농민들은 다시 의욕에 불타 올랐다. 소비하고 남은 잉여생산물을 팔수 있게 되었다. 농민들은 더 이상 곡식을 숨기지 않고 이윤을 얻기 위해 적극적으로 시장에 내놓았다. 소상공인들은 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생산해 공급했다. “내 것이라는 사유는 우리의 것이라는 공유보다는 생산성이 높다.

신경제정책은 약어로 네프(NEP)고도 했다. 네프의 조그마한 숨구멍이 죽어가던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었다. 농민과 소상공인들의 돈을 벌겠다는 의지는 혁명의 총구보다 더 뜨겁게 달아 올랐다. 상인들은 도시의 광장에 좌판을 차렸다. 시장에는 농민들이 생산한 먹거리가 나왔다. 상점과 식당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 페트로그라드와 모스크바의 시장거리는 혁명 이전으로 돌아갔다.

 

 

신경제정책(NEP) 시기의 노점상들 /위키피디아
신경제정책(NEP) 시기의 노점상들 /위키피디아

 

네프는 부자도 탄생시켰다. 그들은 네프맨(NEPman)이라 불리었다. 소상공인은 300만명에 이르렀다. 그들은 신흥부자로 떠올랐다. 그들 중에는 유대인들도 있었다. 은행도 생겨났다. 화폐가 다시 나타나 교환경제가 이뤄졌다.

네프는 경제에 활력을 주었지만 또한 새로운 불만을 야기했다. 노동자들은 상대적 열등감을 느끼게 되었다. 목숨을 걸고 혁명대열에 뛰어든 당원들은 이러자고 혁명을 했느냐고 노골적으로 불만을 쏟아냈다. 레온 트로츠키와 이오시프 스탈린은 네프가 혁명 대의를 저버렸다고 주장했다.

네프, 즉 신경제정책은 공산당 지도부에 뜨거운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혹자는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라고 했고, 다른 일부는 오류에 대한 수정이라고 해석했다.

레닌은 1924년 죽을 때까지 네프를 밀고 나갔다. 레닌의 의도는 무엇이었을까. 네프에 대한 인식은 시대에 따라 달랐다. 스탈린은 네프를 사회주의 성공을 위한 일시적 후퇴였다고 보고 1928년에 종식시켰다. 이에 비해 니키타 흐루쇼프와 미하일 고르바쵸프는 네프를 공산주의 오류를 바로잡는 정책으로 받아들여 시장경제를 도입했다. 결과론적으로 보면, 레닌은 겉으로 드러내지는 않았지만, 네프를 통해 공산주의 오류를 인정한 것이다.

 


<참고자료>

Wikipedia, War communism

Wikipedia, Kronstadt rebellion

Wikipedia, Russian famine of 192122

Wikipedia, New Economic Policy

Wikipedia, NEPman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