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관사 괘불도, 국가문화재 등록 예고
진관사 괘불도, 국가문화재 등록 예고
  • 이인호 기자
  • 승인 2021.04.05 15: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세대 언더우드 가옥 등 4건 문화재 등록

 

문화재청은 고흥 소록도 4·6 사건 진정서 및 성명서, 고흥 소록도 녹산의학강습소 유물, 서울 진관사 소장 괘불도 및 괘불함 등 3건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이들 3건은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쳐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문화재 등록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한편 문화재청은 한국수어교재 수화, 소방 헬기 까치2, 고성 구 간성기선점 반석,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가옥 등 4건을 문화재로 등록했다.

 

 

<등록 예고>

 

고흥 소록도 4·6 사건 진정서 및 성명서

소록도 갱생원(현 국립소록도병원)의 부정과 인권 유린에 맞서 수용자들이 자유와 인권의 목소리를 낸 소록도 4·6 사건(1954)’과 관련된 유물이다. 4.6사건은 1950년대 초 수용자 증가와 전쟁으로 인한 구호물자가 감소한 상황에서, 당시 소록도 갱생원장(김상태, 1948~1954년 재임)의 강압적이고 권위적인 운영체제에 대한 반발로 원장 불신임을 요구하며 일어난 대규모 시위사건이다.

수용자들은 소록도의 비인권적 현황과 원장의 비위사실을 적시한 진정서와 증빙자료인 물품통계표를 작성했고, 이후 성명서를 발표, 항거했다. 해당 유물은 4·6 사건의 경과와 내역을 알려주고 있으며, 자유와 인권을 외친 한센병 환자들의 목소리를 보여주는 직접적인 유물이다.

 

고흥 소록도 녹산의학강습소 유물

의료인이 부족했던 소록도에서 환자들을 훈련시켜 의료인력으로 양성하였던 소록도의 독특한 제도인 녹산의학강습소(1949~1961)와 관련된 유물이다. 청진기·해부학책·수료증(2)으로 구성되는데, 청진기는 제1기 수료생에게 지급되었던 것이며, 해부학책과 수료증은 녹산의학강습소의 운영상황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녹산의학강습소 출신 의료인력은 환자를 대상으로 의학교육을 실시했기에 한센인들을 차별, 무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주는 존재였으며, 관련 유물은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기 어려운 소록도만의 독특한 의학교육제도와 자활 노력을 보여준다.

 

서울 진관사 소장 괘불도 및 괘불함

1935년 일섭(日燮, 1900~1975) 등이 조성해 삼각산 삼각사(三覺寺)에 봉안되었던 것으로, 1960년대부터 서울 진관사에서 소장해오고 있다.

해당 유물은 본존을 중심으로 좌우에 협시보살을 배치하고 그 뒤로 부처의 제자인 가섭존자와 아난존자를 배치한 오존도(五尊圖) 형식을 지니고 있으며, ‘진관사 수륙재’(국가무형문화재, 2013.12.31. 지정)’에서 사용하는 대형 불화다.

존상의 얼굴과 신체, 옷주름 등에 빛을 인식한 명암법을 사용하여 그림자를 표현하는 등 입체감, 공간감과 같은 근대기의 새로운 표현 기법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수준 높은 작품으로 평가되며, 제작연도·제작자·시주자 등이 기록되어 있어 진정성이 있으므로 문화재 등록 가치가 있다.

 

서울 진관사 소장 괘불도 본존 상호와 명암 표현 /문화재청
서울 진관사 소장 괘불도 본존 상호와 명암 표현 /문화재청

 

<문화재 등록>

 

한국수어교재 수화

1963년 서울농아학교(현 국립서울농학교) 교장과 교사들이 수어를 체계화하여 알기 쉽게 한글로 설명한 교재로, 문법·인위적 수어가 아닌 농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관용적인 수어를 정리한 내용이다. 해당 유물은 한국 청각장애인들의 언어생활이 기록되었다는 점과 이들이 교육·사회 등 각종 영역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했다.

 

소방 헬기 까치2

1980년 도입한 한국 최초의 소방 헬기로서, 2005년 퇴역 시까지 화재진압·응급환자후송 등에 3,000여 회 이상 출동했고, 900여 명의 인명을 구조하였다. 특히, 성수대교 붕괴사고(1994), 삼풍백화점 붕괴사고(1995)와 같은 대형 사고에서 인명구조 작업과 공중지휘 통제를 담당하였던 유물로, 함께 도입된 까치 1호가 1996년 추락 후 폐기되면서 현재로서는 유일하게 남은 최초의 소방 헬기다. 헬기를 통해 핵심적인 인명구조 역할을 했다.

 

고성 구 간성기선점 반석

1910년대 국토 전역에서 실시된 토지조사사업과 관련하여 삼각측량의 기준이 되었던 유물이다. 당시 국토 전역을 23개의 삼각망으로 구획하고 정확한 삼각측량을 위해 전국에 13개소(남한 6개소)의 기선을 설치, 각 기선의 사이 거리를 정밀하게 실측하였는데, 간성기선은 강원도 지방의 지형, 거리 등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기준이 되었다. 해당 유물은 근대 측량 기법을 통해 전국 면적, 지형 등을 계량한 우리나라 측량의 기틀을 살펴볼 수 있는 유물로, 역사적·학술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가옥

연세대학교 전신인 연희전문학교의 제3대 교장인 H.H. 언더우드(한국명 : 원한경) 박사가 1927년에 거주 목적으로 건립한 주택이다. 연세대학교의 역사적 흔적들이 건물 곳곳에 남아 있으며, 독특한 건축형태와 함께 근대기 서양 주택양식을 살펴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보존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