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한 스탈린식 집단농장…1932~1933 대기근
실패한 스탈린식 집단농장…1932~1933 대기근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1.04.07 14: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련 70년⑤…농민반발 격화, 강제 수탈로 수백만명 아사자 발생

 

이오시프 스탈린은 레닌의 신경제정책(NEP)를 싫어했다. 부농이 등장하고 신흥 부르죠아 네프맨(NEPman)이 설치는 것이 사회주의 건설에 장애가 된다고 생각했다. 그는 토지와 농기계, 가축을 모두 공동소유로 만들어 대규모 집단농장을 경영하는 것을 원했다.

네프가 유지되는 동안에 종교 박해가 완화되었다. 교회와 성직자가 유지되었고, 그리스정교의 교회는 농민들의 중심기관이 되었다. 스탈린은 이런 통제되지 않은 공간을 두려워했다. 그곳에서 반혁명의 기운이 도사리고 있다고 믿었다.

네프도 결점이 있었다. 농민들이 농산물 판매를 거부할 경우 도시노동자는 굶주려야 했다. 그런 일이 1927년에 발생했다.

공업생산력이 향상되지 못해 공산품 가격이 급등한 가운데 흉년이 들었다. 그해 가을 농민들은 농산물을 내놓지 않는 바람에 농산물 조달량이 평년의 절반에 그쳤다. 도시인들은 식량부족에 아우성을 쳤다.

 

스탈린은 이 문제를 정적 제거에 활용했다. 레온 트로츠키와 그리고리 지노비예프가 수매가 인상에 반대하며 강제징발로 위기를 극복하자고 주장했다. 이에 비해 니콜라이 부하린은 수매가를 인상해 농민들의 자발적 판매를 늘리자고 주장했다. 스탈린의 속마음은 강제징발이었다. 하지만 그는 부하린의 편을 들어 트로츠키와 지노비예프를 제압했다. 두 정적을 제거한 이후 스탈린은 농산물 징발령을 내리면서 부하린에게 등을 돌렸다. 전형적인 마키야벨리의 수법이다.

1928년초 스탈린은 시베리아의 중심도시 노보시비리스크를 순시하다가 반동적 쿨라크(kulak)가 농산물을 매점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그들을 체포하고 곡물을 징발하라고 명령했다. 그는 부농을 사악한 집단으로 몰아 징발을 정당화했다. 내전 시기의 수법이었다. 젊은 공산당원들은 스탈린을 지지했다. 그들은 농촌으로 내려가 식량창고를 뒤져 식량을 빼앗아 왔다. 부하린은 이 조치에 강력하게 반발했다. 하지만 스탈린은 강제적인 수법을 통해 농민들의 곡물투쟁을 제압했다.

 

우크라이나의 한 무덤에서 청년공산당원들이 쿨라크가 감춘 곡물을 빼앗고 있다. /위키피디아
우크라이나의 한 무덤에서 청년공산당원들이 쿨라크가 감춘 곡물을 빼앗고 있다. /위키피디아

 

레닌의 신경제정책은 공식적으로 1928년에 폐기되었다. 스탈린은 공업화를 위한 제15개년계획을 수립하면서 농민의 자율판매를 허용한 네프의 종식을 선언하고 농업 집단화를 추진한다.

농업집단화는 사유재산을 인정하지 않는다. 소유가 없어지면 착취와 피착취 계급이 사라지게 된다는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을 농촌에 적용시켠 개념이다. 집단농장이 토지와 가축, 농기구를 공동소유로 하고, 관리, 통제하게 된다. 부농이든, 소농이든 토지와 소유물을 모두 집단농장에 내주고, 노동자로 전락한다. 공산주의자들은 무계급 사회를 실천하는 것이라고 선전했지만, 농민의 입장에서는 차르 시대의 농노로 되돌아가는 것과 다름 없었다.

 

1929년부터 열혈 공산당원들이 논촌으로 파견되었다. 그들은 당으로부터 집단농장 조직에 성공하지 못할 경우 돌아오지 말라는 명령을 받았다. 공산당 청년조직 콤소몰(Komsomol) 세포들은 마을 주민들을 불러 모아 집단농장의 장점을 설명했다. 계급이 없는 사회, 누구나 평등한 농촌이 만들어지고, 이상적인 공산사회가 만들어질 것이란 희망을 불어넣었다. 그들은 가족 중심의 농업구조와 교회중심의 마을이 가져오는 폐악을 설명했다.

하지만 농민들은 내 땅과 가축을 내놓으려 하지 않았다. 농민들은 수천년 내려온 전통의 파괴에 대한 두려움도 있었지만 내것을 빼앗긴다는 박탈감에 사로잡혀 있었다. 농민들은 공동소유가 되기 전에 가축들을 잡아 먹었다. 경작도 게을리 했다. 1928~1933 사이에 소련에서 소의 수가 절반 정도 감소했는데 이 때문이었다. 어차피 빼앗길 거라면 먹어 치우는 게 낫다는 심리가 작용한 것이다.

농촌에 내려간 당원들은 집단 농장에 반대하는 사람에게 발언권을 주었다. 공포 분위기 속에서 아무도 말을 하지 않았다. 그러자 그들은 집단농장 안건이 만장일치로 통과되었다고 선언했다. 어떤 경우는 찬성자들만으로 집회를 열어 통과시켰다. 집단적으로 반대하는 마을엔 군대가 투입되었다.

 

집단농장의 소출을 공산당원들이 실어가고 있다.(1932) /위키피디아
집단농장의 소출을 공산당원들이 실어가고 있다.(1932) /위키피디아

 

1920년 공산당 정치국은 쿨라크 계급의 청소를 결정하고 부농과 중간계층의 농민을 체포했다.

스탈린 정권은 국가정치보안부(OGPU)에 할당량을 배정해 추방할 사람을 선발했다. 전체농가의 3~5%가 배정되었다. 요원에 따라 할당량 이상으로 쿨라크를 잡아오는 경우도 있었다. 그렇게 해서 집단화에 반대하는 쿨라크는 마을을 떠나야 했다. 우크라이나의 어느 지방에서는 마을 사림들이 줄지어 집결지로 향하는 모습이 목격되었다. 그들은 시베리아 등지로 유배를 가면서 얼마나 죽었는지 모른다. 19307월에 32만의 농가가 쿨라크 청산정책에 희생되었다고 한다. 쿨라크 청소작업은 스탈린이 저지른 최초의 공포정치였다.

농민들의 집단반발은 공산당 기록에도 드러난다. 소비에트 경찰에 따르면 1929~1930년 사이에 집단회를 심각하게 방해한 건수가 44,779건에 달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집단화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면서 스탈린은 1930년 콜호스(집단농장)과 소프호즈(국영농장) 계획을 일시 중단했다. 농민들은 집단농장에서 탈출했다. 그해 집단농장의 주민수가 3월에 전체 농가의 58%이던 것이 6월에 24%로 낮아졌다. 하지만 그해말에 스탈린은 다시 집단농장을 밀어부쳤다.

집단 농장은 일종의 감옥이었다. 그곳을 벗어나 여행하려면 허가를 받아야 했다. 무단으로 이탈할 경우 체포되거나 죽음을 각오해야 했다.

 

우크라이나 하르키프의 아사한 농민들.(1933) /위키피디아
우크라이나 하르키프의 아사한 농민들.(1933) /위키피디아

 

집단농장화는 대재앙을 초래했다. 1932~1933년 대기근이 바로 그것이다. 이 기근으로 수백만명이 굶주림과 질병으로 사망했다고 한다. 이 모든 것이 국가가 집단농장에서 생산한 곡물을 전면적으로 몰수했기 때문에 발생했다. 또한 중앙통제 방식의 경영에서 곡물을 생산하던 곳에 사탕수수를 심거나 면화를 재배하면서 기근을 악화시켰다.

특히 우크라이나에서 기근이 심각했다. 이 지방에서 대기근을 홀로도모르(Holodomor)라고 표현했다. 지금은 독립국인 우크라이나는 당시의 기근을 소련 당국에 의해 의도적으로 저질러진 대량학살이라고 믿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민족주의 성향이 강했고, 집단화에 대한 농민의 반발이 심했던 곳이다.

우크라이나 홀로도모르의 사망자는 정확하게 얼마인지 모른다. 유엔은 700~1,000만명이라고 추산했다. 인구통계학자에 따르면 1926년부터 1939년 사이에 우크라이나의 인구는 6.6% 감소했는데, 같은 기간에 러시아의 인구는 16.9%, 벨라루스는 11.7% 각각 증가했다.

카니발리즘이 행해졌다. 어느 여의사는 1933년에 친구에게 편지에서 이 편지가 도착할 때쯤이면 나도 그런 짓을 하지 않는다고 보장할수 없다고 썼다. 착한 사람이 먼저 죽었다. 남의 것을 훔칠줄 모르는 사람, 몸을 팔길 거부한 사람이 먼저 쓰러졌다. 소비에트 정부는 당신의 아이를 먹는다면 야만인이다는 포스터를 내걸었다.

영국 작가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Animal Farm, 1945)는 이 시기의 대기근을 배경으로 했다.

 

2010년 5월 17일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과 빅토르 야누코비치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키이브에서 1932년 대기근의 희생자를 추모하고 있다. /위키피디아
2010년 5월 17일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과 빅토르 야누코비치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키이브에서 1932년 대기근의 희생자를 추모하고 있다. /위키피디아

 

농민들은 대거 집단농장을 탈출했다. 소비에트 정부는 193212월 내부여권제도를 만들어 집단농장의 농민이 이탈하는 것을 막았다. 하지만 농민들에겐 앉아서 죽으나, 도망가다 죽으나 마찬가지였다. 그들은 필사적으로 농촌을 떠나 도시로 쏟아졌다. 1928~1932년 사이에 도시 안구는 매주 5만명씩 늘어났다. 공업화도 이룩되기도 전에 소련은 농민 대탈출을 통해 풍부한 도시노동자를 확보하게 되었다.

 


<참고자료>

Wikipedia, Joseph Stalin

Wikipedia, Collectivization in the Soviet Union

Wikipedia, Holodomor

Wikipedia, Soviet famine of 193233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