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공화국 독립선언…고르바쵸프, 신연방 제시
잇단 공화국 독립선언…고르바쵸프, 신연방 제시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1.04.23 14: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련 해체⑦…민족갈등 분출, 15개 공화국 중 9곳에서 신연방 찬성

 

1990년이 시작되면서 카프카즈 지방의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에서 해묵은 민족분쟁이 불거졌다. 불씨는 아제르바이잔 내에 아르메니아인 거주지역인 나고르노-카라바흐(Nagorno-Karabakh)였다. 캅카스 출신인 스탈린은 아르메니아를 견제하기 위해 이 지역을 아제르바이잔에게 주었다. 소련의 힘이 막강할 때엔 아르메니아가 이 땅을 돌려달라고 감히 주장하지 못했다.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는 서로 이웃해 있지만, 민족과 종교가 달랐다. 아제르바이잔은 투르크계 이슬람이고, 아르메니아는 기독교의 일파인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소속이었다.

고르바쵸프의 글라스노스트(개방) 정책이 추진되고, 갹 공화국에서 민족의식이 고양되었다. 아르메니아 의회는 199019일에 나고르노-카라바흐 주민에게 투표권을 주도록 결의했다. 그러자 아제르바이잔인들이 수도 바쿠에 쏟아져 나와 아르메니아를 성토하고, 무기력한 아제르바이잔 공산지도부의 퇴진을 주장했다. 시위대는 폭도로 변해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요구하면서 아르메니아인들을 공격해 수십명의 사망자를 냈다. 아제르바이잔 인민전선은 시위를 주도하며 아르메니아와 전쟁을 벌이기 위해 방위대를 조직했다. 아제르바이잔 정부는 1만여명의 경찰을 대기시켰지만, 시위대가 주요 관공서를 접수해 버렸다.

사태가 걷잡을수 없이 확산되자, 아제르바이잔 지방정부는 모스카바에 연방군의 진입을 요청했다. 소련의 드미트리치 야조프(Dmitry Yazov) 국방장관, 블라딤 바카틴(Vadim Bakatin) 내무장관이 병력출동을 요구했고, 고르바쵸프도 마지못해 승인했다.

119일 모스크바 당국은 소련 해군과 육군 26,000명을 바쿠 시내에 투입했다. 민간인과 군인의 전투는 쉽게 끝났다. 3일간 전개된 소련군의 진압작전으로 민간인 130여명이 사망하고, 800여명이 부상당했다. 아제르바이잔 역사에 이 사건을 검은 1’(Black January)로 기록되었다.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는 독립 이후에도 나고르노-카라바흐를 놓고 다투었고, 2020년엔 대규모 전쟁을 치렀다.)

 

나고르노-카라바흐 지방 /위키피디아
나고르노-카라바흐 지방 /위키피디아

 

소련은 원유 주생산지인 바쿠(Baku)에 비공산정권이 들어서는 것을 막기 위해 군대를 출동했다. 하지만 소련의 무력동원은 역효과를 냈다. 수천명의 아제르바이잔 공산당원들은 소련군의 개입에 항의하며 당원증을 불태워 버렸다. 아제르바이잔 공산당 제1서기는 모스크바로 도주했다. 아제르바이잔 의회는 120일 연방 탈퇴를 결의했다. 아제르바이잔은 공식적으로 15개 공화국 가운데 최초로 연방에서 이탈, 독립을 선포한 나라가 되었다. 하지만 모스크바의 소련 지도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아르제바이잔의 1990년 ‘검은 1월’ 사망자 장례식 /위키피디아
아르제바이잔의 1990년 ‘검은 1월’ 사망자 장례식 /위키피디아

 

연방에서 러시아 공화국 다음으로 인구가 많고 곡창지대인 우크라이나 공화국에 독립운동이 불붙기 시작했다.

우크라이나인들은 러시아와 같은 슬라브족이지만, 러시아제국 시절부터 모스크바에 대한 피해의식이 강해 따로 독립해 살겠다는 성향이 강했다. 19세기에 대러시아에서 독립하자는 민족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으나, 러시아 차르정부는 이를 억압하고 우크라이나의 러시아화 정책을 밀어붙였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시기에 민족주의자를 중심으로 러시아로부터 분리 독립을 주장하며 우크라이나인민공화국을 선포했지만, 몇 개월도 되지 못해 볼셰비키 세력에 의해 소멸했다. 그후 수립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공화국은 폴란드의 무력 개입으로 영토를 빼앗기게 되었고, 다시 오스트리아-헝가리에 분할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우크라이나 인들은 러시아인들의 무시를 뼈저리게 느꼈고, 독립의식을 강화시켰다.

1922년 우크라이나는 소련의 연방으로 편입된다. 1930년대 후반 스탈린의 집단농장화 정책과 대기근으로 우크라이나 농민 250~350만명이 굶주림으로 수십만명이 아사하는 참사가 빚어지기도 했다. 이때 소련 당국은 집단농장화를 반대했거나 민족주의 정책을 지지했던 우크라이나 관리들을 숙청하고, 농민 반발을 통제하기 위해 마을을 통째로 강제이주시키기도 했다.

이러한 반발로 우크라이나인들은 2차 대전중인 1941~44년에 나치 독일을 해방자로 맞아들이기도 했다.

 

1990년 7월 키예프 10월혁명광장에 우크라이나 기를 들고 독립을 주장하는 시위대 /위키피디아
1990년 7월 키예프 10월혁명광장에 우크라이나 기를 들고 독립을 주장하는 시위대 /위키피디아

 

고르바초프의 개혁개방은 우크라이나에도 영향을 미쳤다. 우크라이나에선 1989년에 인민운동(People's Movement)이라는 반공산당 정치단체가 조직되어 독립을 요구했다. 19901월 이 단체는 키예프에서 시작해 480km를 달하는 인간띠 잇기 시위를 벌이며, 1918년 인민정부의 독립을 소환했다. 이어 우크라이나 그리스정교가 첫 주교회의를 열어 모스크바의 러시아정교에서 이탈해 독자적인 종파를 형성한다고 선언했다.

19904월 인민대표회의(의회) 선거에 민주세력이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26%의 의석을 차지해 공산당의 일방독주를 무너뜨렸다. 716일 공산당이 다수석을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의회는 우크라이나인의 열망을 받아들여 주권국임을 선언했다.

 

공화국들이 분리독립을 주장하자, 연방 수반 고르바쵸프는 더 이상 무력을 동원해 연방 해체를 막을수 없다고 판단하고 타협안을 모색했다. 고르바쵸프는 레닌이 주장한 것처럼 공화국들이 자발적으로 연방에 참여할 것을 유도했다. 중재안은 연방 대통령을 두되, 외교와 국방은 연방의 권한으로 하고, 공화국은 그 외의 주권을 행사하도록 하는 내용이었다. 연방의 이름도 소비에트 사회주의공화국 연방(USSR,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에서 사회주의를 빼고 소비에트 주권공화국 연방(Union of Soviet Sovereign Republics)으로 바꿀 생각이었다.

고르바쵸프는 이 방안을 제시하며, 공화국들이 투표를 통해 결정하도록 요구했다. 1991317, 고르바쵸프의 신연방안이 투표에 부쳐졌다.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의 발트3, 아르메니아, 그루지아, 몰도바 등 9개 공화국이 투표 참여를 거부했다.

9개 공화국에서 실시된 투표에서 76.4%의 찬성표를 얻었다. 특히 카자흐스탄, 우주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5개 공화국에서 90% 이상의 압도적인 지지를 얻었는데, 이들 지역의 주민들은 구소련의 영향권에서 경제적 이득을 얻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1991년 3월 17일 신연방안에 대한 찬성율과 투표 거부 공화국 /위키피디아
1991년 3월 17일 신연방안에 대한 찬성율과 투표 거부 공화국 /위키피디아

 

투표 결과에 따라 새 연방의 초안이 마련되고 423일 고르바쵸프 소련 대통령과 9개 공화국 지도자가 모스크바 근교에서 만나 신연방안에 가서명했다. 신연방 초안은 각 공화국 의회의 비준절차를 밟았다. 우크라이나를 제외한 8개 공화국에서 비준했다. 우크라이나는 고르바쵸프의 신연방안보다 더 많은 주권을 얻기를 희망했다.

그 사이에 러시아 공화국도 대통령제를 도입하고, 612일 선거를 실시했다. 민주진영에선 보리스 옐친(Boris Yeltsin), 공산당에선 니콜라이 리즈코프(Nikolai Ryzhkov)가 후보로 나섰다. 고르바쵸프는 리즈코프를 밀었다. 선거결과, 옐친이 58.6%, 17.2%를 얻은 리즈코프를 눌렀다. 소비에트 연방의 고르브쵸프 대통령과 러시아공화국의 옐친 대통령 사이에 본격적인 권력투쟁이 벌어질 조짐을 보였다.

신연방안에 대한 정식서명일은 820일로 예정되어 있었다. 고르바쵸프는 그에 앞서 84일 우크라이나 크림반도에 있는 포로스(Foros)로 휴가를 떠났다. 고르바쵸프가 휴가를 마치고 돌아오려던 819, 모스크바에서 군부 쿠데타가 발생했다. 소련이 붕괴될 것을 걱정하던 공산당 보수파들이 들고 일어난 것이다.

 


<참고자료>

Wikipedia,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Wikipedia, History of the Soviet Union (19821991)

Wikipedia, Black January

Wikipedia, People's Movement of Ukraine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