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데타로 집권, 내란으로 끝난 아프간 공산정권
쿠데타로 집권, 내란으로 끝난 아프간 공산정권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1.05.04 13: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산권 붕괴⑨…소련군 철군 3년만에 무자헤딘 반군세력에 붕괴

 

중앙아시아의 내륙국 아프가니스탄에 공산정권이 수립된 것은 1978년이었다. 아프간 공산정권은 이슬람 무장반군의 끈질긴 저항을 받았다. 소련은 아프간을 위성국으로 만들기 위해 1979년 군대를 파병했지만, 실패로 귀결되었다. 소련의 고르바쵸프는 개혁-개방 정책의 일환으로 아프간 철군을 단행했고, 힘의 공백을 틈타 1992년 이슬람 무자헤딘 세력이 아프간 공산세력을 끌어 내렸다.

 

아프가니스탄은 오랜 역사 속에서 강대국 침략자들의 무덤이었다. 고대 그리스의 알렉산더 대왕이 침략했다가 추위를 이기지 못해 물러났고, 영국군도 이 산악국가를 침공했다가 2만명 가운데 1명만 살고 전멸한 적이 있다.

아프가니스탄은 면적이 65로 한반도의 3배나 되고, 인구는 3,000만명을 넘어선다. 중앙아시아와 중국, 인도, 페르시아(이란)의 가운데 있어 고래로부터 동서, 남북의 문물 이동로였고, ‘아시아의 심장으로 불린다. 국토가 해발 수천m의 산악으로 뒤덮여 있어 지역별로 다양한 종족이 세력을 형성, 분열과 대립을 반복해 왔다.

아프가니스탄은 19세기 영국과 러시아의 그레이트게임(Great Game)이 충돌하는 지역이었다. 20세기 들어와 아프가니스탄 왕국은 1, 2차 대전에서 중립을 표방하고 전쟁을 피했다. 동서냉전이 시작된 이후에도 왕국은 소련과 미국의 어느 편도 들지 않았다. 오히려 소련과 미국의 경쟁을 이용해 양쪽 진영의 경제적 지원을 받아 고속도로, 항만 등 사회시설을 건설했다.

 

아프가니스탄 위치 /위키피디아
아프가니스탄 위치 /위키피디아

 

하지만 소련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바람에 서서히 친소주의자들이 세력을 형성해 나갔다. 1965년 아프간에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이 인민민주당을 창당했으나, 대중적 지지를 얻지 못했다. 1973년 왕족 출신의 무하마드 다우드(Mohammed Daoud Khan) 총리가 쿠데타를 일으켜 왕정을 폐지할 때 인민민주당은 쿠데타군을 지지했다. 이후 공산주의자들은 아프간 군대에 세포를 형성하고 잠식해 나갔다.

다우드 정권은 소련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반소비에트 국가인 인도,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이란과 유대를 강화했다. 다우드의 이런 태도가 소련을 자극했다.

 

하피줄라 아민 /위키피디아
하피줄라 아민 /위키피디아

 

19784월 인민민주당은 쿠데타를 준비했다. 다우드는 공산주의자들의 쿠데타에 대비하기 위해 탱크부대를 수도 카불에 배치했다. 그러나 탱크부대는 이미 인민민주당의 세포조직에 포섭되어 있었다. 427일 탱크부대는 방향을 바꿔 대통령궁을 포위했고, 공산쿠데타군은 다우드와 그의 가족을 몰살했다. 쿠데타의 주역은 하피줄라 아민(Hafizullah Amin)이었다.

인민민주당은 칼크(Khalq, 대중)와 파르참(Parcham, 깃발)이란 두 파벌로 분열되어 극심한 싸움을 벌이고 있었다. 칼크파는 급진적 혁명을 주장했고, 파르탐파는 점진적 개혁노선을 폈다. 두 당파는 사실상 별도의 정당이나 다름 없었다. 1978년의 이른바 사우르 혁명’(Saur Revolution)에 두 파벌은 힘을 합쳤지만, 정권을 장악한 후 노선 갈등이 재연되었다.

혁명 초기에 칼크파 노르 타라키(Nur Muhammad Taraki)가 대통령에 오르고 파르참파 바브락 카르말(Babrak Karmal)이 부통령, 아민은 외무장관을 맡았다.

곧이어 두 파의 대립이 격화되었고, 군부를 쥐고 있는 칼크파가 파르참파를 밀어냈다. 파르참파의 수장인 카르말은 체코슬로바키아 대사로 나가야 했다. 권력은 칼크파의 타라키-아민에 의해 장악되었다.

 

칼크파의 인민민주당은 급진적 개혁을 단행했다.

칼크파가 가장 역점을 둔 개혁은 여성평등이었다. 아프가니스탄은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이 지배했기 때문에 여성은 눈만 내놓고 얼굴 전체를 가리는 차도르를 뒤집어 쓰고, 연애결혼도 금지된 구속된 삶을 살고 있었다. 인민민주당은 여성 참정권을 허용하고 여성에게 동등한 교육과 직업의 권리를 부여했다. 당내에서도 여성당원이 남성과 동등하게 대우받았다. 여성에 대해 부모가 결정하는 강제결혼도 금지되었다. 칼크파는 또 토지개혁을 단행해 대지주의 토지를 소농에게 배분했고, 고리대금업을 금지시켰다. 이같은 개혁조치는 서구 민주주의 개념으로 볼 땐 당연한 것이었지만, 정통이슬람주의자에겐 이단으로 간주되었다. 특히 여성에게 차도르를 벗도록 한 조치는 이슬람 지도자들을 분노케 했다.

칼크파는 민족정서를 고양하면서도 친소노선을 추구했다. 소련은 아프간 현대화를 위해 도로와 병원, 댐 건설, 지하수 개발에 전문가를 보내고 자금을 지원했다. 소련은 아프간에 12억 달러의 지원을 약속했다.

칼크파는 급진개혁을 추진하면서 개혁에 반대하는 종교인, 옛귀족층, 지주들을 처형하거나 감옥에 수감했다. 혁명 와중에 살해된 사람이 1~27,000명에 이르고, 감옥수감자가 14,000~2만명에 이른 것으로 추산되었다.

칼크파의 개혁에 반발해 이슬람 지도부는 지하드를 선포하고 지역별로 무장조직 무자헤딘(Mujahideen)을 결성했다.

 

1978년 아프가니스탄 인민혁명당이 주도한 쿠데타군 /위키피디아
1978년 아프가니스탄 인민혁명당이 주도한 쿠데타군 /위키피디아

 

아프가니스탄 공산정권에 하피줄라 아민을 설명하지 않을수 없다. 그는 아프가니스탄의 대표 종족인 파슈툰족 출신으로 카불 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공부를 한 후 귀국해 교사가 되었다. 이후 인민민주당에 합류했다.

그는 1978년 쿠데타를 주도하면서 대통령이었던 다우드와 그 가족을 모두 살해하는 잔혹함을 보였다. 쿠데타 이후 외무·국방장관을 거쳤고, 인민민주당의 사무총장을 역임하며 권력 실세로 부상했다. 그는 소련을 끌어들이는 대신에 미국과 유럽의 대사들을 추방했다.

아민은 친소파였지만, 소련의 지시에 고분고분 따르지 않았다. 그는 마르크스-레닌주의자이기보다 민족주의자에 가까웠다. 소련을 등에 업고 미국과 유럽의 서방 세력을 쫓아냈지만, 언제라도 소련에 등을 돌릴 사람이었다. 아민이 소련에 "지금보다 더 많이 내놓지 않으면 우리는 미국을 선택하겠다"는 식으로 압박했다. 아민에게 소련은 경제적으로 뜯어내고, 군사력을 이용해 권력을 잡는 수단이었다.

소련도 아민의 속셈을 꿰뚫고 있었지만 남쪽 파키스탄과 인도의 서방세력을 견제하는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해 아프간 실세인 아민을 끌어들일 필요가 있었다.

 

아프가니스탄 무장반군 무자헤딘(1985) /위키피디아
아프가니스탄 무장반군 무자헤딘(1985) /위키피디아

 

파르참파를 제거한 후 타라키와 아민 사이에 정치적 갈등이 벌어졌다. 아민은 이번에도 소련을 이용했다. 아민은 소련의 지도자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서기장과 비밀리에 모의해 1979916일 쿠데타를 일으켜 타라키 대통령을 살해했다.

곧이어 그는 대통령에 올랐다. 대통령에 오른후 아민은 무단통치를 했다. 그는 정치적 반대자들을 처형하고 이슬람의 무자헤딘을 공격했다. 그는 197911월 팍티야 주에 대규모 토벌 공세를 벌여 무장 조직들을 진압하고, 파키스탄 국경 지역의 마을들을 전멸시켰다. 하지만 무자헤딘의 저항은 끈질겼다. 곳곳에서 테러가 이어졌다.

이에 아민은 카불에 소련에 군대파병을 요청했다. 19791212일 소련은 아프간 출병을 결정했다. 이튿날인 13일 소련은 전격적으로 육군과 공군의 양면으로 아프간을 침공했다. 5개 사단의 대군이었다. 1223일 소련군은 수도 카불을 점령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아민은 소련군이 자신을 도와줄 것으로 믿었다.

소련의 속셈은 따로 있었다. 브레즈네프는 아민을 싫어했다. 차리라 고분고분한 지도자가 필요했다. 소련군은 수도 카불에 진입한후 곧바로 아민의 정부군도 진압했다. 비밀 경찰 책임자이던 아민의 조카가 암살되었고, 소련군의 지령을 받은 국가보안위원회 요원들이 카불의 대통령궁에 잡입해 1227일 아민을 살해했다. 아민은 자신이 놓은 덫에 걸려 죽은 것이다.

소련은 아민 정권의 체코 주재 대사로 쫓겨가 있던 파르참파의 수장 바브락 카르말을 대통령에 내세워 친소 정부를 수립하고, 소련의 위성국으로 만들었다.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하는 소련군(1986년) /위키피디아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하는 소련군(1986년) /위키피디아

 

소련은 위성국에 친소정권을 수립하는데 성공했지만, 혹독한 댓가를 치러야 했다. 카르말 정권은 카불과 몇몇 주요도시만 장악했을 뿐, 농촌지역은 무자헤딘에 장악되었다. 미국과 수니파 종주국인 사우디아라비아는 무자헤딘에 무기를 공급했다. 특히 미국은 수백억 달러의 막대한 자금을 풀어 스팅어 지대공미사일을 비롯해 첨단무기를 반군에 무상으로 주었다. (이 무기가 나중에 미국을 향하게 된다.)

아프간 내전은 미-소 대리전으로 확대되었다. 1985년 집권한 소련의 고르바쵸프 서기장은 아프가니스탄 철군을 추진했고, 1989년에 마지막 병력을 철수시켰다. 소련은 병력은 뺐지만, 아프가니스탄 공산정권을 지원했다.

소련군이 철수한후 인민민주당의 아프가니스탄 정부군은 주요도시의 거점을 잃게 되고, 1992년에 수도 카불이 무자헤딘에게 함락된다. 이로써 1978년에 집권한 인민민주당 정권은 14년만에 종언을 고했다.

 

이후 아프가니스탄은 무자헤딘의 파벌로 내전을 치르다가 1996년에 이슬람 강경파 탈레반 정권이 수립된다. 탈레반 정권은 이슬람 극단주의 알카에다에게 피난처를 제공하고 우군으로 삼았다. 이 알카에다의 지도자 오사마 빈라덴이 2001년 미국의 9·11 테러를 일으키고, 그후 미군이 아프가니스탄을 공격, 알카에다를 소탕하고 탈레반 정권을 무너뜨린다. 미군 개입 20년후인 2021년에 조 바이든 행정부는 아프가니스탄 주둔군의 철수를 선언했다.

 


<참고자료>

Wikipedia, Mohammed Daoud Khan

Wikipedia, Saur Revolution

Wikipedia, Democratic Republic of Afghanistan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