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군의 난, 청조에 타격…태평군과 따로 작전
염군의 난, 청조에 타격…태평군과 따로 작전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1.07.03 12: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연재해, 조정 수탈에 반기…베이징 목전에서 패배, 청나라 붕괴에 일조

 

중국에 태평천국의 난’(1850~1864)과 비슷한 시기에 염군의 난’(捻軍之亂, 1853~1868)이 일어났다. 염란(捻亂)이라고도 한다.

두 반란의 기간은 10여년 겹친다. 태평군과 염군은 청조를 적으로 삼고 공격한다는 목표에는 공감했지만, 힘을 합치지는 않았다. 태평군이 정부군에 먼저 제압된 후에 염군이 진압되면서 각개 격파당했다.

’()은 화중지방 용어로 비밀결사라는 의미인데, 유민, 부랑자, 도적떼들로 구성된 비적단이었다. 화북 남부지역에는 1794년에 반란을 일으켰다 실패한 백련교(白蓮敎) 무리들이 숨어들어 있었다. 비적 떼들이 수백명씩 하나의 을 조직했는데, 가경제(1796~1820) 시기에 금지되었다.

 

염란의 발단은 자연재해였다. 1851~1855년 사이에 황하 유역에 대홍수가 일어나 강물이 범람하고 발해만 입구의 물길이 바뀌었다. 많은 지역이 수몰되고 인명피해도 엄청나게 컸다. 조정의 대응은 느렸고, 피해자에 대한 대책도 미흡했다. 지원금은 극도로 부족했다. 아편전쟁 패전에 따른 배상금을 물어야 하는데다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하는데 막대한 재정이 투여되었기 때문이다.

지주 출신으로 소금밀수에 종사하던 장뤠싱(張樂行)1851년에 지역 비밀결사조직에서 지도자로 추대되었다. 1853년 태평천국이 북벌에 나섰다가 패배한 이후 패잔병 무리들이 장뤠싱의 염군에 가입하면서 세력이 확대되었다. 1855년에 다시 홍수가 일어나 황하 제방이 터져버렸다. 당시 홍수로 장쑤성 등지에 수천명이 사망하고 기름진 옥토가 매몰되었다. 백성들은 기근에 허덕였지만 조정은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청조는 호시탐탐 침략을 노리는 유럽국가에 손을 벌렸지만 그들은 도와주지 않았다. 조정의 무능이 드러나면서 굶주린 백성들은 염군에 가담해 도적질에 나섰다.

 

장뤠싱 /바이두백과
장뤠싱 /바이두백과

 

염군은 태평국과 달리 구체적인 이념이나 종교가 없었다. 그야말로 도적떼였다. 조직의 형태는 백련교를 답습했다. 백련교처럼 비밀조직으로 운영되고, 회원도 비밀리에 가입했다. 깃발은 백련교의 팔괘(八卦)를 사용했다. 염군에는 청년들이 대거 참여했는데, 이는 천재지변을 당했을 때 식구수를 줄이기 위해 여아를 살해하던 중국 전통에 의해 결혼할 여성이 부족한데 따른 좌절에서 비롯되었다는 분석이 있다.

염군은 주로 기마병으로, 빠른 움직임을 통해 유격전을 펼쳤다. 정부군의 방어가 허술한 곳에 기습적으로 공격해 약탈과 살육을 저지른후 도주했다. 정부군은 주로 보병이었기 때문에 염군의 게릴라식 공격에 속수무책이었다.

 

염군 가운데 가장 세력이 강한 장뤠싱은 1855년부터 대한명왕(大漢明王)이란 독자적인 칭호를 사용했다. 왕호에 한()과 명()은 한족 정권을 뜻한다. 만주족 정권을 무너뜨리고 한족 정권을 세우겠다는 백련교도들의 이념을 답습하려는 의도였다. 태평국의 천왕 홍슈취안은 염군을 자기네 편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장뤠싱에게 옥왕(玉王)이란 칭호를 내렸다. 장뤠싱은 때론 태평국과 연합전선을 펴 협력하기도 했지만, 대체로 태평국의 요청을 무시하고 독자적으로 병력을 운용했다.

장뤠싱은 여러 파벌로 나눠져 독자적으로 활동하던 염군을 통합하려고 시도했다. 1856년 그는 염군의 각 파벌을 홍색, 황색, 남색, 흰색, 검은색 등 다섯 개로 구분하고 자신은 황색기 부대를 이끌었다. 만주군의 팔기병제를 모방한 조치였다. 색깔별 부대의 규모는 달랐다. 장뤠싱의 황군은 18개 부락, 백군은 13개 부락, 홍군은 12개 부락, 남색군은 6개 부락이었고, 검은색 부대는 무려 100개 부락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장뤠싱은 거대한 조직을 형성해 한때 염군의 숫자가 20만명에 이르기도 했다.

 

염군의 활동지와 태평군의 주둔지는 차이가 있었다. 염군은 양쯔강 이북으로 화북지방의 남부를 주무대로 했고, 태평군은 양쯔강 이남 지역에 거점을 두었다. 태평군은 거점을 형성해 통치지역을 형성한데 비해 염군은 떠돌며 마을과 정부군을 괴롭혔다. 염군의 목표는 약탈이었다. 그들은 말을 타고 다니며 관군지역을 약탈하고 관군이 추격하면 곧바로 도망쳤다. 염군은 서양식 총포로 무장하고 정부군의 보급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했기 때문에 태평군에게도 많은 도움을 주었다.

청조는 태평군만큼이나 염군의 준동에 골치를 썩여야 했다. 염군이 방대한 지역을 휩쓸고 다니며 게릴라 전술을 썼기 때문에 정부군의 상시 주둔 병력도 많아야 했다.

 

몽골 장수 성거린친과 그의 수하 /위키피디아
몽골 장수 성거린친과 그의 수하 /위키피디아

 

청 조정은 1856년에 몽골족 장수 성거린친(僧格林沁)을 염군 제압에 투입했다. 그는 태평군 공격에도 투입되어 전공을 세웠고, 후에 영불 연합군의 베이징 공격에도 참전하기도 했다.

몽골 기병대의 참전으로 염군의 일방적인 기습전략에 제동이 걸렸다. 성거린친은 염군이 장악하고 있는 마을들을 장악하면서 장뤠싱을 조여갔다. 장뤠싱은 옛 부하의 집에 의탁했는데, 그 부하는 이미 청조에 전향한 상태였다. 장뤠신은 체포되었다. 그는 성거린친 앞에서 청조의 무능을 꾸짖다가 18634월 처형되었다.

 

염군의 난 지역 /위키피디아
염군의 난 지역 /위키피디아

 

장뤠싱이 죽은 후 염군은 일시적으로 흔들렸다. 그러나 태평군 출신 뢰문광(賴文光)에 의해 복구되어 염군은 과거보다 세력이 더 커졌다. 정부군에 의해 쫓겨다니던 태평군 부대가 염군에 대거 참여했다. 장뤠싱의 군대는 조카 장종우가 이어받았다. 염군의 기병대도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1864년 태평군의 수도 난징을 함락한 후 청조는 염군 소탕작전에 나섰다. 이듬해 몽골장수 성거린친이 앞장서 산둥성 하제(菏泽)를 공격하던 중에 뢰문광의 매복에 걸렸다. 그는 그곳에서 피살되었다.

성거린친이 죽은 후 자희태후(서태후)는 쩡궈판(曾國藩)에게 전권을 부여하고 염군을 소탕하라고 지시했다. 조정은 값비싼 서양 화포를 도입해 정부군울 무장시키고, 해자(垓子)를 파 염군의 베이징 진입을 막았다쩡궈판은 1년 동안 싸웠지만 성과가 없었다. 어사들은 쩡궈판을 비난했다. 쩡궈판은 상군(湘軍)의 투지가 상실된 것에 실망했다. 게다가 그는 자신이 연로해 쓸모가 없다고 생각했다.

쩡궈판은 리훙장(李鴻章)을 조정에 천거했다. 리훙장은 조정의 명을 받아 회군(淮軍)을 이끌고 염군 진압에 나섰다. 쭈어중탕(左宗棠)j도 참전했다.

1866년말 염군은 부대를 둘로 나눠 작전을 전개했다. 하나는 뢰문광이, 다른 하나는 장종우가 맡았다. 장종우의 서군은 베이징 공격을 시도했다. 하지만 정부군의 반격에 염군의 베이징 공격은 좌절했다. 1867년말 리훙장의 회군은 동쪽의 염군을 토벌하는데 성공했고, 쭈어중탕도 서쪽의 염군에 심각한 타격을 가했다. 쭈어중탕은 산시성과 간쑤성 군무를 책임지고, 흠차대신에 임명되었다.

18688월에 염군은 완전하게 진압되었다.

 

염군의 난(1867) /위키피디아
염군의 난(1867) /위키피디아

 

염군은 민중반란으로 분류되지만, 조직이 개별적으로 움직였고, 뚜렷한 이념이 없었다. 염군은 태평군과 명확한 동맹을 맺지도 않았다. 그들은 자연재해에 피해를 보거나 정부의 수탈에 힘겨워 한 농민을 규합해 정부에 저항하고 약탈을 일삼은 비적 떼에 불과했다. 염군의 사상자는 1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염군은 청조를 무너뜨리는데 실패했지만, 태평천국과 함께 청나라를 쇠퇴시키는데 일조한 것은 분명하다.

 


<참고자료>

Wikipedia, Nian Rebellion

Wikipedia, Zhang Lexing

Wikipedia, Sengge Rinchen

이매뉴얼 C.Y. , -현대 중국사(상권), 까치, 2013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