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남원 고분군은 고령 대가야 영향권
전북 남원 고분군은 고령 대가야 영향권
  • 이인호 기자
  • 승인 2021.07.28 21: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30호분 발굴조사…조개 항아리도

 

전북 남원의 고분이 경북 고령의 대가야와 관련성이 크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는 전북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제30호분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했다.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은 1989년 첫 조사 후, 몇 차례 조사를 거치면서 대가야계의 고분이 무리지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이후 연차조사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 20209월 고분군 발굴조사에 착수, 조사를 진행해왔고 이번 조사 성과가 그 첫 결과물이다.

올해 조사한 제30호분은 고분군 내에서 규모가 큰 고분에 속하며, 과거 금동신발과 청동거울 등 중요유물이 나왔던 32호분과 가까워 남원 아영면의 가야문화를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던 곳이다.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30호분 발굴현장 전경 /문화재청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30호분 발굴현장 전경 /문화재청

 

발굴조사 결과, 가야계 고분의 매장주체부와 부장곽()이 확인되었고 봉분 외곽에서는 고려 시대 석곽묘(덧널무덤) 1기가 추가로 발견되었다. 무덤의 매장주체부는 덮개돌과 벽석이 무너지고 양쪽 단벽은 도굴이 심하게 이루어져 있었으나 도굴갱에서 미처 가져가지 못한 쇠 화살촉 다발과 토기 조각 일부가 확인되기도 하였다. 특히, 매장주체부 바닥에서는 사행상철기(蛇行狀鐵器, 마구의 일종)와 초미금구(鞘尾金具, 칼집끝 장식구) 일부가 발견되어 무덤 주인의 신분을 추정해 볼 수 있게 한다.

도굴되지 않은 부장곽에는 대가야 양식의 기대(器臺)와 항아리 30점이 다량으로 출토되어 부장품의 온전한 양상을 확인했다.

항아리에서는 서해와 남해에서 잡히는 우럭조개와 피뿔고둥도 수습되어 당대의 식문화와 남원지역을 중심으로 한 교역망을 추정해 볼 자료가 되고 있다.

 

항아리 내부에 담긴 조개들 /문화재청
항아리 내부에 담긴 조개들 /문화재청

 

무덤 봉분의 축조기법을 확인한 결과, 시신을 안치한 매장주체부 주위를 흙둑처럼 볼록하게 쌓은 후 그 내부를 흙으로 채워 완성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봉분 내부에는 작은 흙덩어리를 교차시켜 성토하며 봉분을 높게 쌓아 올렸는데, 이러한 방법은 경산, 고령, 함안 등지의 가야고분에서도 관찰된다.

완주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의 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다른 지역의 고분 축조기술과 비교연구하여 토목공학적 검토도 진행할 예정이다.

 

초미금구 출토 당시 모습 /문화재청
초미금구 출토 당시 모습 /문화재청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은 전북 지역에 위치한 대가야계 고분군으로, 영남지역의 가야 고분군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 중이다. 문화재청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는 전라북도, 남원시와 적극적으로 협력,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을 비롯한 전북지역의 중요 문화유산에 대한 학술조사를 적극적으로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부장곽 유물의 노출된 모습 /문화재청
부장곽 유물의 노출된 모습 /문화재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