뢰블링 부자의 헌신이 만든 브루클린 다리
뢰블링 부자의 헌신이 만든 브루클린 다리
  • 김현민기자
  • 승인 2019.05.23 18: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버지는 사고로 죽고, 아들은 작업병에도 공사 지휘…14년만에 완공한 당대 최고의 다리

 

지금 뉴욕시 브루클린은 뉴욕시의 1개 보로(borough)이지만, 1898년 뉴욕시와 통합하기 이전에는 독립된 브루클린 시였다. 브루클린 시는 19세기에 이민자들이 많이 몰려오면서 뉴욕시와 함께 '쌍둥이 도시'(twin city)로 불리며, 미국 상업중심지로 급부상했다..

두 도시 사이에는 이스트 강(East River)가 가로막고 있다. 말이 강이지, 험준한 해협이다. 조수가 매우 빠르고, 강바닥의 가파른 언덕과 골짜기로 인해 소용돌이가 생겨 배로 건너기에 아슬아슬하다. 선박들은 종종 밀물을 기다려야 한다.

1883년 브루클린 다리(Broolyn Bridge)가 개통되기 이전에 두 도시를 연결하는 수단은 하루에 수십차례씩 오가는 연락선 뿐이었다. 19세기 중엽까지만 해도 이스트강은 두 도시의 성장을 가로막는 장애물이었다. 겨울에는 얼어붙어 연락선이 두절되었다. 연락선이 끊기면 사람들은 얼어붙은 강을 건너갔는데, 때론 밀려오는 조수 때문에 얼음판에서 몇시간씩 보내야 했다.

1853년 겨울, 독일 이민자 출신인 존 어거스트 뢰블링(John Augustus Roebling)이 아들 워싱턴과 얼어붙은 강을 건너다가 발이 묶였다. 독일에서 태어나 난 그는 미국에 건너와 피츠버그의 앨러게니 강에 현수교를 건설하고, 나이애가라 폭포 위에 철도 현수교를 연결해 미국에서 내로라는 토목공학자였다.

뢰블링은 이스트강에 현수교를 건설해 뉴욕과 브루클린을 연결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길고 큰 현수교를 건설하려는 대담한 계획을 설계했다. 하지만 브루클린과 뉴욕의 정치인들은 그의 설계에 회의적이었다.

당시 현수교는 사고가 잦았고 불안정한 것으로 비쳐졌다. 영국 메나이 해협의 현수교가 1839년 폭풍우에 손상을 입었고, 프랑스 앙제의 현수교가 무너져 군인 500명이 강물에 빠졌으며,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의 휠링 현수교도 10년을 버티지 못했다.

게다가 주탑과 주탑 사이의 경간거리가 487m의 현수교를 만든다는 그의 계획은 정치인들을 설득시키기에 역부족이었다. 앞서 사고가 난 메나이해협 현수교의 경간거리는 175m였고, 웨스트버지니아의 휠링 현수교는 300m에 불과했다.

 

브루클린 다리 /위키피디아
브루클린 다리 /위키피디아

 

하지만 악천후가 그를 도왔다. 1866년 겨울, 이스트강이 또 얼어 몇주 동안 연락선 통행이 막혔다. 그러자 급성장하던 인구 40만의 브루클린 시는 이스트강을 가로지르는 다리 건설의 필요성을 느꼈고, 당대 미국 최고의 토목공학자 뢰블링을 불렀다. 이듬해 뉴욕브리지컴퍼니(New York Bridge Co.)가 민자회사로 설립되어 주식 공개를 통해 자금 조달에 나서 성공했다. 두 도시가 주식을 대량 매집했고, 민간 투자자로부터도 자금이 들어왔다.

뢰블링은 책임 토목기사로 임명되었다.

주탑은 브루클린쪽에서 수면 이하 12m, 뉴욕 쪽에서 21m로 측정되었다. 기반암까지 파 들어가 기초를 세우고, 아무리 사나운 강풍이 불어도 다리가 버티도록 현수교 바닥 전구간을 철제 트러스트로 설치하기로 했다. 케이블은 강철로 만들기로 했는데, 그때까지만 해도 강철 케이블은 혁명적인 발상이었다.

드디어 1869년 이스트강을 연결하는 다리공사가 착공했다. 뢰블링은 아들 워싱턴과 비전을 공유했다.

그러나 뢰블링에게 불운이 따랐다. 그는 아들과 함께 브루클린 주탑의 위치를 점검하러 공사현장에 나갔다가 갑자기 다가오는 연락선과 충돌해 다리를 다쳤다. 수술을 받았지만 다리에서 생긴 병이 얼굴 근육장애로 옮겨가면서 722일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아버지 존 어거스트 뢰블링과 아들 워싱턴 뢰블링 /위키피디아
아버지 존 어거스트 뢰블링과 아들 워싱턴 뢰블링 /위키피디아

 

다행하게도 뢰블링의 아들 워싱턴은 아버지를 따라다니면서 훌륭한 토목기사로 훈련을 받았고, 브루클린 다리 건설 초기부터 아버지와 함께 했다. 뉴욕브리지컴퍼니는 아버지를 이어 아들 워싱턴을 최고토목기사에 임명했다.

주탑의 기초공사는 가장 어려운 작업이었다. 공기케이슨 공법을 도입했는데, 상자 모양의 거대한 철제 구조물을 강바닥에 가라앉혀 내부에 압축공기를 불어 넣고, 그 안에서 인부들이 강바닥을 굴착해 기초공사를 하는 방식이다. 케이슨(caisson)의 크기는 가로·세로 31m에 이르렀다.

케이슨 내부는 그야말로 지옥이었다. 케이슨은 수면 아래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안에는 소음이 심했고, 인부들이 작업 도중에 맥박이 정상보다 떨어지는 경우가 흔했다. 내부에는 화재의 위험이 상존했다. 입구와 배출구가 있지만 내부 온도는 심각할 정도로 더웠다. 어쨌든 브루클린쪽 주탑의 기초공사에서 케이슨 공법은 무탈하게 지나갔다.

문제는 뉴욕쪽 주탑공사였다. 뉴욕쪽은 기반암이 수면에서 30m 아래에 있어 케이슨도 수면 아래로 더 깊이 내려갔다. 게다가 뉴욕쪽 공사현장은 오랫동안 쓰레기 하치징이 있던 곳이어서 인부 몇 명은 악취에 질식하기도 했다.

드디어 환자들이 속출하기 시작했다. 벤즈(bends)라는 병이 인부들에게 생겨났는데, 몸이 굽어지는 현상이었다. 강한 체력의 인부들도 툭툭 쓰러져 갔다. 기압이 17기압이나 되었는데, 고기압 상태에서 인체 내 질소가 급격하게 기포를 형성하는 바람에 생기는 특수질병이었다.

 

케이슨 공법 /위키피디아
케이슨 공법 /위키피디아

 

이런 난관 속에서도 주탑은 올라갔다. 그런데 이번에는 워싱턴 뢰블링(Washington Roebling)에게 이상이 생겼다. 공사가 시작된지 3년째 되던 187212월 워싱턴은 몸을 가누기 어려워져 의사를 찾아갔더니 쉬라고 했다. 그도 근로자들과 마찬가지의 케이슨 병에 걸린 것이다. 잠시 휴식을 취했지만, 그는 작업을 계속했다. 병은 악화되었다. 그는 겨울을 지내면서 죽을수도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움직일수 없는 상태에서 작업지시를 아내 에밀리에게 말하고, 에밀리는 남편의 말을 받아 적어 공사현장으로 하달했다.

1875년 마침내 브루클린 주탑이 완성되고, 이듬해에 뉴욕 주탑도 모습을 드러냈다. 하지만 워싱턴은 공사현장으로 가지 못했다.

이제 남은 것은 주탑과 주탑 사이에 케이블을 설치하는 작업이었다. 보트가 수백m의 긴 케이블을 끌고가 양쪽 주탑에 올려 놓고, 호이스트 엔진으로 팽팽하게 당겼다. 워싱턴은 뉴저지 트렌튼에서 뉴욕 맨해튼 웨스트 5번가로 이사를 해 창문에서 망원경으로 작업을 지켜보며 구두로 지시를 내렸다.

18781월 강한 돌풍이 불어 뉴욕의 선박과 건물들을 파괴했지만, 브루클린 다리 건설현장은 아무런 손상을 입지 않았다. 브루클린 다리의 견고함을 보여준 것이다. 이후 188112월에 다리 바닥작업을 마치고 이사들과 기술자들이 다리를 건넜다.

다리가 완공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이사들 중에 워싱턴을 쫓아내자는 주장이 나왔다. 공을 자신들이 가로 채려는 속셈이었다. 하지만 병상에서도 다리 공사를 지휘한 워싱턴에게는 든든한 지지자들이 있었다. 이사회는 107로 워싱턴 뢰블링을 책임토목기사로 남아 공사를 마무리하게 결정했다.

 

브루클린 다리 케이블 공사 /위키피디아
브루클린 다리 케이블 공사 /위키피디아

 

1883524일 마침내 브루클린 브리지가 완성되었다. 당시로선 세계 최장의 현수교였다. 전체길이 1,825.4m, 현수교 부분의 경간가러 487m의 다리는 공사기간만 14년이 걸렸다.

개통식은 미국의 축제로 성대하게 열렸다. 미국 대통령 체스터 아서(Chester Alan Arthur)도 참석했다. 실제로 엔지니어와 인부를 감독하고, 현장을 누빈 사람은 뢰브링의 부인 에밀리였다. 에밀리는 승리의 상징인 수탉을 안고 다리를 건넜다. 정작 개통식에 참석해야할 워싱턴 뢰블링은 개통식 행사에 참석하지 못했다. 워싱턴 뢰블링은 병상에서 더 살아 192689세의 나이로 숨졌다.

브루클린 다리는 문학과 예술 소재로 자주 등장한다. 알 파치노 주연의 영화 <뜨거운 오후>,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킹콩> 등이 이 다리를 배경으로 했다.

다리에는 보행도로가 있는데, 차량도로보다 높다. 2016년 현재 이 다리의 하루 차량통행량은 10만대를 넘어선다.

 

브루클린 다리 /위키피디아
브루클린 다리 /위키피디아
브루클린 다리 야경 /위키피디아
브루클린 다리 야경 /위키피디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