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마지막 황제 바오 다이와 미군의 개입
베트남 마지막 황제 바오 다이와 미군의 개입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1.08.04 11: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프랑스 퇴각 후 미국 개입…프랑스·미국·일본의 꼭두각시 황제

 

베트남의 마지막 왕조는 응우옌() 왕조다. 1802년 웅우옌 푹 아인이 프랑스의 도움을 받아 응우옌 왕조를 열었다. 처음에 조력자였던 프랑스는 제국주의 본성을 드러내며 베트남을 3등분해 북쪽 통킹과 남쪽 코친차이나를 직접 지배하고 중부 안남(安南)만을 응유엔 왕조에 주어 간접지배했다.

중일전쟁(1937~1945)이 격화하면서 일본이 베트남에서 국민당 정부로의 물자수송로를 차단하기 위해 베트남 북부에 진주했다. 프랑스는 2차 대전에서 독일 나치에 패배하고 나치 앞잡이 비시 정부는 인도차이나에서 퇴각했다. 그 틈을 타고 일본이 베트남을 일시적으로 지배했다.

1945815일 일본이 미국에 항복한 이후 힘의 공백을 틈타 호치민(胡志明)이 이끄는 베트민이 혁명 운동에 나섰다. 베트민(Việt Minh)은 프랑스 식민지배 시절에 결성된 독립운동단체로, 호치민 등 공산주의 세력에 의해 주도되었다.

 

자료=위키피디아
자료=위키피디아

 

베트남 안남에는 응우옌 왕조의 제13대 바오 다이 황제(保大帝, 재위 1926~1945)가 명목상 통치하고 있었다. 그는 1913102212대 황제 카이딘(啓定帝)의 아들로 태어나 192613살의 나이에 안남국 황제에 올랐다.

1945825일 아침 베트민 군은 응우옌 왕조의 수도 후에를 장악하고 오후에 호치민이 왕궁에 들어가 황제와 협상을 벌였다. 바오 다이는 더 이상 통치능력을 잃었음을 깨닫고 퇴위 의사를 밝혔다. 이에 호치민은 황제를 국가수반으로 모시겠다고 약속했다.

이로써 베트남에는 평화롭게 ‘8월 혁명이 성공하는 듯 했다. 830일에는 바오 다이 황제는 후에의 궁전에서 퇴위하고, 143년간 베트남을 통치했던 이르는 응우옌 왕조를 종식시켰다.

이 상태에서 외부의 개입이 없었으면, 베트남은 호치민의 베트민에 의해 해방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2차 대전이 끝난후, 프랑스가 옛 식민지에 대한 권리를 선언하며 베트남에 개입했다.

 

베트남 마지막 황제 바오 다이 /위키피디아
베트남 마지막 황제 바오 다이 /위키피디아

 

19458월 영국군이 베트남에 상륙해 일본군을 무장해제시킨 뒤 얼마후 철수하고, 그 자리에 프랑스군이 진주했다. 프랑스는 바오 다이를 베트남국의 국가주석에 올려 놓았다. 바오 다이는 제위에서 물러난지 4년 후인 1949년에 국가수반 자리에 복귀했다. 이에 따라 베트남은 북쪽에 호치민의 베트민과 남쪽의 프랑스령 베트남으로 분단되었다.

프랑스군과 호치민군 사이에 교전이 벌어졌다. 이 전쟁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라고 한다. 이 전쟁은 8년이나 계속되었다.

195457일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호치민 군에 궤멸적인 패배를 맞게 되면서 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종식된다. 1954721일 체결된 제네바 협정에서 프랑스와 베트민 사이에 종전이 선언되고 총선거를 전제로 프랑스가 물러났다.

 

1954년 제네바 회담 /위키피디아
1954년 제네바 회담 /위키피디아

 

프랑스가 빠져나간 자리에 이번엔 미국이 들어왔다. 미국은 베트민을 공산주의자로 보았고, 중국에 이어 동남아시아가 공산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베트남 원조 계획을 발표했다. 당시 바오 다이는 국가를 통치할 능력을 상실했고, 바오 다이에 대한 민심 이반은 극에 달했다.

바오 다이는 친미적인 응오 딘 디엠을 총리로 임명했다. 곧이어 미국은 군사고문단을 파견하고 고 응오 딘 디엠 총리를 적극 지지했다.

바오 다이는 주석 직을 내줄 생각이 없었고, 미국과 갈등을 빚기 시작했다. 미국은 바오다이 황제 대신에 친미 반공주의자인 응오 딘 지엠을 지지했다. 제네바 협정에 의해 남북 베트남 전역에서 총선거를 실시해 정권을 수립하기로 했지만, 미국 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John Foster Dulles)는 베트남 전역의 총선을 거부했다.

19551023일 남베트남 지역에서만 국민투표가 실시되어 응오 딘 디엠을 대통령으로 하는 베트남공화국이 수립되었다. 곧이어 바오 다이는 수반에서 다시 쫓겨나고, 미국은 군사고문단을 베트남에 파견하게 된다.

 

1955111일 미군이 베트남에 첫발을 내디뎠다. 이날을 20년간 진행된 베트남전의 발발일로 정의한다.

베트남전은 어느 일방이 선전포고도 하지 않은채 시작되었기 때문에 개전 날짜가 언제인지를 놓고 논란이 되어 왔다. 195612월 북베트남 정부가 남베트남에 소규모 폭동을 일으킨 것을 개시일로 잡기도 했고, 1959926일 최초로 북베트남군과 남베트남군이 무력충돌을 일으킨 날을 전쟁 시발점으로 삼기도 했다.

미국은 대체로 미군이 베트남에 진주한 1955111일을 기점으로 베트남 전쟁 발발일로 정리하고 있다. 이날 미군 군사고문단이 베트남에 처음으로 입국했다.

언제 시작된지 불분명한 이 전쟁은 1975430일 베트남 수도 사이공(지금의 호치민시)이 함락될 때까지 20년이나 전개되었다. 이 전쟁은 베트남인의 입장에선 분단된 남북 사이의 내전의 성격을 띠면서, 동시에 냉전시대에 서방진영과 공산 진영의 대리 전쟁 양상을 띤 국제전쟁이기도 했다.

19648월부터 19733월까지는 미국, 한국 등 외국 군대가 개입하고 캄보디아·라오스로 전선이 확대되었다. 우리나라에선 당시 월남전(越南戰)이라고 했다.

 

미국은 가만히 놔두면 베트남이 공산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미국은 도미노 이론을 내세웠다. 프랑스가 물러난 뒤 베트남이 공산화되면, 동남아시아 전체가 공산화되므로, 베트남에 반공 정부가 세워져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그후 양측의 전쟁은 본격화되고, 20년간 엄청난 인명피해를 냈다.

 

베트남전의 베트콩 /위키피디아
베트남전의 베트콩 /위키피디아

 

그러면 물러난 바오다이 황제는 어떻게 되었을까.

1955년 국가주석에서 퇴진한 후 바오 다이는 곧바로 프랑스에 망명했다. 그후 1972년 프랑스 여성 모니크 보도와 결혼해 프랑스 시민권을 얻어 파리와 칸에서 여생을 보냈다.

바오 다이를 비난하는 사람들은 그가 향락을 추구하는 방탕한 생활을 계속했고, 이에 민심이 이반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정식 황후 이외에도 5명의 부인을 두었다.

그는 왕국의 수도인 중부 후에 지역에 지지세력이 있었다. 그는 미국의 베트남 참전을 반대했으며, 베트남의 중립 평화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북부 베트남은 파리에 사절단을 보내 바오 다이와 연정을 제의하기도 했다.

베트남 통일후인 1992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의 시민권을 취득했지만, 귀국하지 않고 1997730일 프랑스 파리 육군병원에서 사망했다. 그의 무덤도 파리의 한 공원묘지에 있다. 향년 84세였다.

그는 베트남의 역사에 황제와 국가주석 직을 맡았다. 그가 제위에 있을 때엔 프랑스 식민지 시절의 명목상인 황제였으며, 국가주석직에 올랐을 때는 프랑스에 의해 인도차이나 전쟁이 벌어진 이후였다. 그는 비운의 황제임은 분명하다. 프랑스와 일본, 미국에 의해 꼭두각시 노릇하다가 이국 땅에서 생을 마친 인물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