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해혁명②…우창의 총소리, 혁명의 신호탄 쏘다
신해혁명②…우창의 총소리, 혁명의 신호탄 쏘다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1.08.06 14: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철도 분규, 민란으로 확산…우창의 군병력, 쓰촨 출동 거부하며 봉기

 

쑨원의 동맹회가 1895년 광저우봉기부터 10차례의 봉기를 일으켰지만, 매번 실패했다. 결정적인 한 방은 1911년 우창(武昌)에서 찾아왔다.

우창은 지금의 우한(武漢)으로 양쯔강 중류에 위치한 교통과 지정헉적 요지다. 이 곳을 점령하면 북방과 남방, 동과 서로 세력을 확산하기 유리하다. 동맹회는 일찍부터 우한에 공을 들였다.

 

20세기초 중국의 철도망 /위키피디아
20세기초 중국의 철도망 /위키피디아

 

우창봉기의 원인은 철도분규였다. 당시 철도는 첨단산업이었고, 중국에서도 철도건설 열풍이 불었다. 당시 베이징(北京)~한커우(漢口) 사이에 경한선(京漢線)이 건설되었고, 청 조정은 한커우에서 광저우(廣州)까지 월한철도(粤漢鐵道)를 놓으려고 했다. 월한철도가 건설되면 베이징에서 광저우까지 중국 내륙을 관통하는 철도망이 구축되는데, 이는 수()나라 때 건설된 대운하에 버금가는 대토목공사로 간주되었다.

청 조정은 1896년에 철도공사를 세우고 총감에 성쉬엔화이(盛船懷)를 임명했다. 성쉬엔화이는 월한철도 건설 비용을 미국 금융회사 J.P.모건에서 차입하려 했으나, 지방의 토착 자본가들이 철도 이권을 노려 외자도입을 강력하게 반대했다. 이에 호광총독 장즈둥(張之洞)이 미국회사에 투자자금을 지불하고 월한철도를 회수했다.

문제는 지방정부가 욕심은 냈지만 철도건설 자금을 조달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월한철도를 연결하는 쓰촨, 후난, 후베이, 광둥 등 4개 성은 자금조달 목표액을 채우지 못했다. 후난성의 경우 철도건설 비용 6,000만냥 가운데 500만냥만 조달했고, 광둥성은 필요자금의 절반 정도만 마련했을 뿐이다. 쓰촨성에서는 한 관리가 철도자금 가운데 200냥을 횡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1911년초, 지방정부와 철도회사들이 파산 위기에 몰렸다.

 

결국 중앙정부가 다시 나설 수밖에 없었다. 스창신(石長信)이라는 하급관리가 지방정부가 추진하는 철도 건설을 중앙정부가 떠맡아서 시행하되, 외국 자본을 빌려 완공하자고 제안했다. 성쉬엔화이가 그 제안을 받아들여 조정에 건의했는데, 조정이 이를 받아들였다.

청 조정은 외국자본과 협상에 들어갔다. 영국, 독일, 프랑스, 미국의 4개국 자본이 컨소시엄을 형성해 자금 조달에 응하기로 약속했다. 4개국의 은행은 영국의 HSBC, 독일의 도이치-아시아 은행,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은행, 미국의 J.P.모건과 시티은행이었다. 차관액수는 1,000만 파운드이며, 관세수입과 염세(salt tax)로 지불하는 조건이었다. 국유화 대상은 월한 철도와 천한철도(川漢鐵道, 청두~한커우)였다.

 

자본조달에 실패해 철도사업권을 넘겨준 지방의 중소자본가들이 중앙정부의 사업을 매판자본이라고 비판했다. 부유한 지주, 상인계급은 부족한 자금을 지방정부의 세금으로 메우고 투자이익만 챙기려 하다가 물거품이 된 것이다. 지방 자본가들은 일방적으로 철도국유화를 단행한 철도총감 성쉬엔화이의 탄핵을 요구하고 시위운동을 전개했다.

청 조정은 지방주민에게 보상을 제의했다. 후난성과 후베이성에선 투자금의 전액을 보상하고, 광둥성에선 투자금의 60%를 우선 상환하되 나머지 40%10년 만기물 채권으로 지불하기로 했다. 문제는 쓰촨성이었다. 쓰촨성에선 관리의 횡령 문제도 있어 보상금의 전액을 채권으로 상환해 주겠다고 했다. 쓰촨성 주민들은 후난, 후베이, 광둥성에 비해 차별 대우를 받는 것에 극심한 분노를 표시했다.

 

1911824일 쓰촨성 청두에는 1만여명의 민중이 집회를 열었다. 그들은 납세를 거부하고 동맹휴학과 파업을 결의했다. 쓰촨 총독 자오얼펑(趙爾豊)은 공을 세우기 위해 신사 대표들을 체포하고, 군대를 동원해 시위대를 저지했다. 이 충돌로 32명이 목숨을 잃었고, 성 차원의 물리력으로 제압이 어려운 상황에 이르렀다. 쓰촨 시위는 철도 이익을 보호하려는 차원이었지. 청조를 전복하려는 의도는 없었다.

쓰촨성의 분위기가 험악해 지자 청 조정은 후베이성 우한에 주둔하던 군대를 쓰촨성으로 이동시켰다. 하지만 우한의 병사들은 쓰촨성 민란을 진압하라는 청조의 명령을 거부했다.

 

우창봉기 직후 허베이군사정부 /위키피디아
우창봉기 직후 허베이군사정부 /위키피디아

 

우창에는 공진회(共進會)와 문학사(文學社)라는 혁명조직이 활동하고 있었다. 두 조직은 쑨원의 동맹회와 연대하고 있었다. 공진회와 문학사는 군부 내에 침투해 신군(新軍)을 형성했다.

두 단체는 연합회의를 열어 1911106일에 일제히 봉기하기로 결정했으나, 비밀이 외부에 누설되어 한커우 지역에 계엄이 선포되었다. 군인들은 외출을 할수 없게 되었고, 지휘부는 1011일자로 봉기일을 연기했다.

그런데 봉기일을 하루 앞두고 1010일 한커우의 러시아 조계에서 제조중이던 폭발물이 우연히 터지는 바람에 봉기를 더 이상 늦출수 없었다. 이에 하루 앞당겨 10일에 공병대가 먼저 봉기해 무기고를 탈취하고, 보병과 포병이 협조해 공병대대와 함께 총독관아로 진격했다. 혁명군은 아무런 저항도 받지 않고 그날 정오 우창을 완전히 장악했다.

집권세력은 도주하기에 바빴다. 우한의 총독 루이정(端征)과 제독 징뺘오(張彪)는 도주해 버렸다. 공병대 장교였던 나자청(羅子淸)은 부하에게 바깥 소식을 물었다. 부하가 “30개 연대가 오늘 일어난다고 합니다고 귀뜸했다. 그러자 나자청은 나는 오늘 저녁 일이 있어 병영에 없을 것이네, 그러니 자네들이 잘 관리하게라며 줄행랑을 쳤다. 지휘관이 군권을 스스로 혁명군에 넘겨준 것이다. 또다른 지휘관은 봉기가 일어나자 며칠후 가족들을 데리고 양쯔강에 정박한 군함을 타고 도망을 쳐버렸다.

혁명군이 이틀만에 우한 3진을 점령하는데는 지배층 배신의 덕이 컸다. 봉기 초기 혁명군은 2,000명 정도에 불과해 청으로선 초동 진압이 충분히 가능했다. 하지만 군 지휘관들의 배신으로 혁명군은 손쉽게 거점을 장악할수 있었다. 쑨원은 훗날 혁명 초기의 승리를 거론하며 행운이었다고 회고했다. 생각지도 않은 집권세력의 배신이 혁명의 불길을 키워준 것이다.

 

우한 시내에 손문 동상 /위키피디아
우한 시내에 손문 동상 /위키피디아

 

봉기 이틀후인 1012일 우한 삼진이 혁명군 수중에 떨어졌고, 12일 후 후난(湖南)성이 독립을 선포했다. 이어 산시(陕西), 장시(江西)성이 호응했고, 1개월 반 사이에 15개성()이 청 제국에서 분리 독립을 선언했다. 당시 일본이 점령한 타이완(臺灣)성을 제외하고 22개 성 가운데 3분의 2가 독립을 선언한 것이다.

혁명군에는 지도자가 없었다. 쑨원은 미국을 여행중이었고, 황싱(黃興)은 상하이에 있었다. 혁명군은 191111월 초에 상하이를, 12월초에 난징을 점령했다. 혁명세력은 난징에 임시혁명정부를 수립하고, 황싱을 총사령관에, 리위안홍(黎元洪)을 부사령관에 선출했지만, 두 사람 모두 취임을 거절하고 쑨원이 귀국하기를 기다렸다.

 

1911년 봉기 지역 /위키피디아
1911년 봉기 지역 /위키피디아

 

청조는 다급해졌다. 조정은 1026일 성쉬엔화이를 파면하고 구금한 쓰촨성 인사들을 석방했다.

어린 황제 푸이의 아버지이자 섭정인 순친왕은 고향에 가 있던 위안스카이를 다시 불렀다. 새로운 권력실세로 부상한 순친왕은 광서제를 배반한 이유로 2년전에 위안스카이를 강제로 정부에서 쫓아냈다. 위안스카이는 재기의 기회라고 반기면서도 일단 병을 이유로 조정의 제의를 거절했다. 이에 조정이 다시 그를 흠차대신으로 임명해 군권을 주겠다고 제의하자, 그는 국회개원, 책임 내각 구성, 정당 조직 허용 등을 요구했다. 청조도 마지못해 그의 제의를 받아들였다.

쑨원은 미국에서 급히 돌아와 그때까지 독립한 17개 성 대표들을 불러 191211일 중화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임시대총통에 선출되었다. 혁명정부는 191211일을 공화국 탄생일로 삼았다. 중국역사에서 이 혁명을 신해혁명(辛亥革命)이라 부르고, 우창봉기일인 1010일을 쌍십절로 기린다.

 


<참고자료>

근현대 중국사(-하권)-제국의 영광과 해체, 이매뉴얼 C.Y. , 2013, 까치,

淸史, 임계순, 신서원, 2000,

Wikipedia, 1911 Revolution

Wikipedia, Wuchang Uprising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