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분황사 당간지주, 보물로 승격한다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 보물로 승격한다
  • 이인호 기자
  • 승인 2021.09.28 10: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일신라 당간지주의 전형…유일한 귀부형 간대석 적용 수법

 

경주 분황사 입구와 황룡사 터 사이에 당간지주가 서 있다. 이 두 개의 돌기둥은 그동안 경상북도 유형문화재였는데,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승격이 예고되었다.

문화재청은 경주 구황동 당간지주(幢竿支柱)경주 분황사 당간지주라는 명칭으로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지정 예고했다.

경주 구황동 당간지주는 분황사 입구 남쪽과 황룡사 사이에 세워진 것으로, 고대 사찰 가람에서의 당간지주 배치, 신라 시대 분황사 가람의 규모와 배치, 황룡사 것으로 보이는 파손된 당간지주가 황룡사지 입구에 자리한 점 등을 고려하면 분황사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현재의 문화재명인 경주 구황동 당간지주경주 분황사 당간지주로 지정 예고했다.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 /문화재청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 /문화재청

 

당간지주는 당(, 사찰의 깃발)을 걸기 위한 당간(幢竿)을 고정하는 지지체로 통일신라 초기부터 사찰의 입구에 본격적으로 세워진 조형물이다.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는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사진 속 모양과 현재의 모습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그동안 외적인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 두 지주 사이에 세웠던 당간은 남아있지 않지만, 조영 기법과 양식이 같은 두 지주와 당간을 받쳤던 귀부(龜趺)형 간대석(竿臺石, 하부 석재단))이 원위치로 보이는 곳에 비교적 온전하게 남아있다. 귀부형의 간대석은 남아있는 통일신라 당간지주 중에서는 유일한 것이다.

좌우의 두 당간지주는 같은 조영 기법과 양식, 가공 수법을 보인다. 전체적인 형태는 사각 기둥모양인데, 상부로 올라가면서 조금씩 좁아지고 있다. 정상부는 안쪽 면에서 바깥 면으로 부드럽게 곡선을 그리도록 가공하였다. 당간지주의 안쪽 면에서 바깥 면으로 관통하는 원형 간공(竿孔, 지름 15cm)은 상중하 3곳에 마련되어 당간을 고정하도록 하였다. 이처럼 당간지주의 상중하 3곳에 간공을 마련하여 당간을 고정하는 수법은 통일신라의 당간지주에서 많이 적용된 기법이다.

전체적인 형태와 외관 등이 현재 보물로 지정된 경주 망덕사지 당간지주, 경주 보문사지 당간지주,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 등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어 이들 당간지주와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는 경주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중요 사찰의 당간지주와 유사한 조영 기법과 양식을 보이고, 현존하는 통일신라 당간지주 중에서 유일하게 귀부형 간대석을 가지고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에 대하여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