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희토류 무기화 시도에 미국 “할테면 해봐라”
중국 희토류 무기화 시도에 미국 “할테면 해봐라”
  • 김현민기자
  • 승인 2019.05.28 16: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은 물론 세계 각국에 무진장 매장…일부 기업, 수입선 다변화 움직임

 

중국이 희토류(Rare-Earth Element)를 미국과의 무역전쟁 카드로 쓸 것임을 힐끗 내비추고 있다. 중국 언론들은 미국의 공세에 대한 반격으로 희토류를 무기로 사용하라고 부추기는 기사를 쏟아내는 가운데 시진핑 국가주석도 지난 20일 장시성 간저우(贛州) 시를 방문해 희토류 산업시설을 둘러보았다.

중국인들이 대미 협상카드로 희토류를 끄집어 낸 것은 2010년 센카쿠 분쟁 때 일본에 희토류 수출 중단 조치로 일본에 항복을 받아낸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당시 일본이 센카쿠 섬에 접근하는 중국 선원을 구금시키자 중국은 일본에 대한 수출 중단이라는 초강수를 두었고, 이에 일본은 체포한 중국 선원을 곧바로 석방했다. 중국은 이때 이후 자신들이 생산하고 있는 희토류가 훌륭한 무기임을 깨닫게 되었다.

 

희토류(Rare Earth Elements)는 원소기호 57번부터 71번까지의 란탄계 원소 15개와 21번인 스칸듐(Sc), 그리고 39번인 이트륨(Y) 등 총 17개 원소를 말한다. 희토류는 물질의 특성 상 농축된 형태로는 산출되지 않아 채굴과정에서 경제성이 떨어지고, 광물 형태로는 희귀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하지만 희토류는 명칭과 달리 상대적으로 지구촌 곳곳에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다.

희토류는 전자제품, 국방 장비 등의 핵심 재료로 사용된다. 산업부문에서 비타민이라고도 한다. 세륨(cerium)이나 니오디뮴(neodymium) 소량을 집어 넣으면, TV 화면의 선명도가 높아지고 배터리 수명이 길어지며, 자석의 강도가 켜진다.

미국은 전체 희토류 사용량의 80%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중단하면 미국은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게 중국의 계산이다.

 

전세계 희토류 생산 추이 /위키피디아
전세계 희토류 생산 추이 /위키피디아

 

하지만 미국에서 나오는 분석은 영 딴판이다.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중단할테면 해보라는 식이다. 희토류는 너네 나라에만 있는 게 아니라, 미국 땅에도 있고, 호주, 브라질에도 무진장 나온다. 다만 채굴보다 힘든 게 정제 과정인데 이때 산(acid)을 사용해야 하고 유해물질이 많이 발생해 중국 이외의 나라에서 채산성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생산을 중단했을 뿐이다. 중국이 미국 수출을 중단하면 다른 나라에서 수입하고, 그곳의 채산성을 맞추어 주면 된다는 것이다.

1990년대까지 세계 1위 희토류 생산국은 미국이었다. 1980년대 이후 중국이 내몽골 지역의 희토류 광산을 대대적으로 개발하면서 1위로 올라 앉았고, 지금은 전세계 희토류 생산의 95%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의 전문가들은 중국의 그러한 시도를 웃기는 시나리오라고 평가절하한다.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중단한다면 일시적 혼란은 있겠지만, 멀지 않아 새로운 탈출구를 찾게 될 것이라고 한다. 적어도 미국은 일본과 다르다는 것이다.

희토류 무역상을 한 팀 워스톨(Tim Worstall)은 미국 인터넷 매체 더 버지’(The Verge)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전면 중단한다면 짧은 기간에 미국에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며, “그러나 쉽게 해결될 일이라고 말했다.

 

출처: 미국 지질조사국(USGS)
출처: 미국 지질조사국(USGS)

 

미국이 자신만만해 하는 가장 큰 이유는 희토류가 중국만이 가지고 있는 희귀한 물질이 아니라는 것이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에 따르면, 17개 희토류 물질은 산소나 철처럼 풍부하지는 않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희소하지 않으며, 미국은 물론 브라질, 캐나다, 호주, 인도에도 매장되어 있다는 것이다.

중국이 최대 희토류 생산국이 된 것은 물론 매장량이 많기도 하거니와, 다른 나라에서 유해산업으로 취급하기 꺼려하는 분야에 집중적으로 뛰어들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희토류 광석을 일단 땅에서 캐어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지만, 그 다음에 화학 처리를 통해 필요한 물질을 분리하려면 유해하고 위험한 일련의 공정을 거쳐야 한다. 중국은 내몽골 깊은 곳에서 저임금 노동을 통해 이를 채취하고 있다.

미국은 196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 캘리포니아 마운틴 패스(Mountain Pass) 광산에서 희토류를 채굴했지만, 중국이 대량생산하는 바람에 2002년에 그 광산을 폐쇄했다.

 

희토류 /위키피디아
희토류 /위키피디아

 

2010년 중국과 일본 사이에 벌어진 센카쿠 분쟁에 대해서도 평가가 다르다. 당시 중국은 희토류로 일본에 승리했다고 자화자찬했다. 하지만 미국에서 2014년에 나온 리포트에는 중국의 수출금지는 먹히지 않았고, 일본에 준 타격도 그다지 크지 않았다고 한다. 중국의 대일본 수출길이 막하지 밀무역 업자들이 희토류를 일본에 팔았고, 그 정도로도 일본 산업의 수요를 맞출수 있었다는 것이다. 일본은 중국과의 관계를 더 이상 악화시키지 않으려고 나포한 중국 선원들을 풀어준 것이지, 결코 희토류 때문이 아니라는 게 미국의 분석이다.

 

만일 중국이 희토류 대미 수출을 중단하면 어떻게 될까. 희토류 가격이 상승한다. 그러면 가동중단한 캘리포니아의 마운트 패스 광산을 재가동하거나, 다른 나라의 광산을 개발하면 된다. 오히려 중국이 희토류 수출길이 막히게 된다.

벌써부터 미국 기업들은 희토류 수입선을 중국에서 다른 나라로 바꾸고 있다. 블루라인코프(Blue Line Corp)라는 미국 화학회사는 최근 호주 희토류 광산 라이너스(Lynas)와 계약을 체결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금지 시도가 보도되면서 전세계 희토류 광산회사의 주가가 폭등한 것도 이런 분위기를 대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