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국공내전⑥…루딩교를 건너, 설산을 넘어
제1차 국공내전⑥…루딩교를 건너, 설산을 넘어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1.10.25 13: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궈타오와 갈등, 당이 다시 분열되기도…마침내 옌안에 도착

 

대장정은 고난의 행군이었다. 지금과 같은 트럭은 물론 당시의 우마차도 없었다. 모두가 짐보따리 하나 걸치고 두 다리에 의지해 걷고 또 걸었다. 처음 2km를 걷다가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도 발에 물집이 생겨 들것에 실려갔다. 목적지도 없었다. 그저 서쪽으로, 서쪽으로 국민당 군을 피해 나아갔다. 앞에 국민당군 초소가 보이면 공격하고, 국민당 대군이 뒤따라오면 피해 달아났다.

낙오자도 많았고, 도망자도 증가했다. 중국 윈난성은 산세가 험하기로 유명하다. 강엔 급류가 흘렀다. 중간중간에 국민당군의 공격을 받아 전투를 하면서 도망쳤다. 사막도 건너야 했다. 그들이 지나가는 촌락은 우호적이지 않았다. 적개심에 가득찬 티베트인들이 공격했고, 이슬람지역에선 현지 군벌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 이런 고난 속에 마오쩌둥의 세 번째 부인 허쯔전(贺子珍)이 딸을 낳았으나, 데리고 가지 못해 현지 가정집에 맡기고 떠났다.

쓰촨성의 늪지대에선 굶주림과 질병이 홍군을 덮쳐 쥐를 잡아먹고 대소변에서 낱알을 골라내며 6일 동안의 고생 끝에 겨우 습지에서 나올 수 있었다고 한다. 굶주림에 지친 그들은 토색질을 했다. 군량이 고갈되자 현지인에게 식량을 공출했지만 저항이 심해져 도망쳐야 했다.

마오쩌둥은 대장정을 이렇게 설명했다.

"장정은 진실로 선언서이며 선전대이며 파종기였다. …… 12개월 동안 공중에서는 매일같이 수십 대의 비행기가 우리를 정찰, 폭격하고 지상에서는 수십만의 대군이 우리를 포위, 추격, 차단하였다. 우리는 장정의 과정에서 말로 형용할 수 없는 고난과 장애를 겪었다. 그러나 우리는 두 개의 다리만으로 2만 여리가 되는 거리를 걸어 11개의 성을 종횡단하였다. …… 전 세계를 향하여 홍군이야말로 영웅적인 군대이며, 제국주의와 제국주의자들의 주구인 장제스의 무리들은 아무것도 아니라는 사실을 선언하는 것이었다.“

 

중국 쓰촨성의 루딩교(瀘定橋) /위키피디아
중국 쓰촨성의 루딩교(瀘定橋) /위키피디아

 

그들은 도주 행렬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미화하고, 영웅화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루딩교(瀘定橋) 전투다. 루딩교는 쓰촨(四川)과 티베트 사이 다두하(大渡河)을 잇는 100m 길이의 현수교로, 청나라 말기에 연결되었다. 그들은 그 다리를 건너야 했다. 홍군이 도착했을 때 국민당군이 루딩교에 쇠사슬만 남겨 놓은채 나무판을 제거해 버렸다.

529일 홍군 특공대는 강 건너편에 있는 국민당군을 제압하고 쇠사슬에 나무판을 놓고 도하에 성공했다. 중공은 대장정 기간에 루딩교 전투를 가장 훌륭한 전투로 꼽는다. 공산당은 이 전투를 이렇게 묘사한다.

국민당군은 다리를 끊어 놓았다. 22명의 홍군 특공대가 목숨을 걸고 나무판을 놓으려 하자 국민당은 폭격과 기총총 사격으로 이를 저지하려 했으나 특공대가 수류탄을 던져 강 건너편을 제압하고 2시간 만에 다리를 보수, 홍군은 도하할 수 있었다.”

목격자들의 증언은 공산당의 선전과 다르다. 당시 국민당군은 몇 명되지 않고 행군은 편안했다고 한다. 홍군은 먼저 지역주민을 앞세워 다리를 건너가도록 해 그들이 먼저 피해를 보게 했다는 것이다. 미국 외교관 즈비그뉴 브레진스키의 회고록에 따르면, 덩샤오핑도 루딩교 전투가 선전용이라고 고백했다고 한다.

 

아무리 선전용으로 과장하고 미화되었다지만, 대장정에 대해 인정할 것이 있다. 그들은 가혹한 환경을 이겨냈다는 사실이다. 공산당은 사막을 가로지르고, 강을 건너고, 산을 넘으면서도 끊임없이 국민당의 공격을 받았으며, 질병과 굶주림과도 싸워야만 했다. 티베트의 설산지대를 넘을 때는 추위와 고산병과 싸워야 했다. 행군길마다 병사들의 시체가 줄을 이었고 살아남은 사람들도 동상과 발진 티푸스로 고생했다. 지나가는 길목에 얼마 안 되는 식량을 무지막지하게 징발했기 때문에 적대하는 농민들과도 맞서야 했다.

 

마오쩌둥과 장궈타오(1938, 옌안) /위키피디아
마오쩌둥과 장궈타오(1938, 옌안) /위키피디아

 

루딩교를 건넌 후에 마오쩌둥의 부대는 장궈타오(張國燾)의 홍군 제4방면군을 만났다. 장궈타오는 공산당 창립멤버로 후베이성에서 소비에트를 건설했다가 국민군의 공격을 받아 쓰촨성으로 퇴각해 있었다. 그는 국민당의 공세를 피해 남으로 향했다가 마오쩌둥의 홍군 4방명군과 만나게 된 것이다. 625일 마오쩌둥과 장궈타오가 서로 만나 얼싸 안았고 축하 연회도 열었다.

장궈타오는 기가 셌다. 그는 마오쩌둥의 아래에 들어가길 원하지 않았다. 이런 그의 성격이 마오쩌둥에게 복종한 저우언라이와 차이점이다. 베이징대학 시절에 마오쩌둥은 청강생 신분이고, 장궈타오는 정식 입학생이었는데, 그런 자존심이 공산주의 이상을 넘지 못한 것이다. 마오쩌둥의 군대는 1~2만명에 불과한데 비해 장궈타오의 병력은 6~7만명에 이르렀다. 머릿수가 많기 때문에 장궈타오의 목청이 높아졌다.

마오쩌둥은 소비에트가 남아 있는 북쪽의 싼시(陝西)로 가서 합류할 것을 주장했다. 이에 비해 장궈타오는 칭하이, 티베트, 신장 등 소수민족의 지지를 얻기 위해 남쪽으로 가야 한다고 했다. 마오는 이미 티베트족과 이슬람의 공격을 받은 경험이 있어 소수종족의 해방과 게릴라전 동원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장궈타이는 소수민족과의 연대에 미련을 놓지 않았다.

마오쩌둥과 장궈타이는 끝내 원팀을 만들지 못했다. 마오는 당중앙을 쥐고 있기 때문에 유리했다. 19356월말, 당중앙은 정치국 회의를 소집해 북쪽으로 이동할 것을 결의했다. 이에 장궈타오는 당의 노선과 결정이 잘못되었다고 비판하며 자신이 당주석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국 두 부대 사이에 무력 충돌이 벌어졌고, 숫적으로 불리한 마오측이 물러섰다.

마오쩌둥의 1방면군과 장궈타오의 제4방면군은 결국 합의점을 보지 못했다. 마오 일행은 98일 북으로 향했고, 곧이어 장궈타오는 6만의 병력을 이끌고 남하했다. 주더(朱德)는 장궈타오에 합류했다.

 

장궈타오는 10월에 별도의 중국 공산당 중앙을 선포하고 총서기로 선출되었다. 당은 하나인데, 두 개의 당중앙이 생겼다.

중국 공산당이 쪼개지자 모스크바의 코민테른이 중재안을 제시했다. 코민테른은 두개의 당중앙이 동시에 조직을 없애고 과거의 마찰과 불화를 불식시키고 단결을 모색한다는 타협안을 내놓았다. 장궈타오는 타협안을 수용해 당중앙을 해체했다. 그의 홍4방면군은 시캉(西康), 칭하이(靑海), 쓰촨 등지를 헤메다가 국민당 토벌군을 만나 거의 궤멸 상태에 빠졌다. 그해 11월 장궈타오는 옌안에 도착한 마오쩌둥에게 원군을 요청했으나, 마오는 그의 요청을 거절했다. 12월 장궈타오는 더 이상 갈곳을 잃고 옌안으로 돌아가 마오쩌둥에 합류했다. 그는 옌안 정부에서 중앙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 겸 정치위원이 되었으나 힘이 빠진 상태였다.

 

대장정의 궤적 /위키피디아
대장정의 궤적 /위키피디아

 

한편 북으로 향한 마오쩌둥은 격렬한 전투 끝에 917일 간쑤성 하다푸(哈達铺)를 점령했다. 그날 홍군의 선두부대가 우체국을 점거하고 우편물을 뒤지던 중에 국민당의 낡은 신문조각을 발견했다. 마오쩌둥은 그 신문조각을 집어들고는 만면에 희색이 완연했다. 싼시(陝西)성 북부 산비탈 황토벌에 공산당 소비에트가 남아 있고, 그 지도자가 류즈단(劉志丹)이란 사실을 발견했다. 류즈단은 1925년에 공산당에 입당해 광저우 황푸군관학교에 재학하던 시절에 광저우에 머물던 마오쩌둥과 알게 된 오랜 동지였다.

917일 마오쩌둥은 홍군의 최종 목적지를 류즈단이 건설해 놓은 소비에트로 가기로 결정했다. 927일 마오 일행은 싼시 북부에 도착했고, 이어 1020일 싼시성 옌안(延安) 북쪽 우치(吳起)에 도달했다. 1022일 마오쩌둥은 대장정의 종결을 선언한다.

1년간 이들이 건넌 산맥이 18, 강이 17, 걸은 거리는 12,500km였다. 지나온 성은 후난, 구이저우, 윈난, 쓰촨, 간쑤등 모두 11개였다. 마지막 연안에 합류한 사람은 마오쩌둥, 저우언라이(周恩來), 린뱌오(林彪), 류샤오치(劉少奇), 덩샤오핑(鄧小平) 등이다. 이들은 공산당 수뇌부가 된다. 이들이 대장정의 고난을 이겨내지 못했더라면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은 탄생하지 못했을 것이다.

 


<참고자료>

Wikipedia, Long March

나무위키, 대장정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