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혁명④…마오쩌둥 권력탈환
문화혁명④…마오쩌둥 권력탈환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1.12.28 13: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순차적으로 양상쿤, 뤼루이칭, 루딩이, 펑전 제거…문혁소조에 권력 위임

 

1965, 마오쩌둥은 72세였다. 그는 파킨슨병에 걸렸고, 한차례 중풍을 앓았다. 그는 친한 미국인 기자 에드거 스노에게 곧 세상을 떠날 것이라고 말했고, 프랑스 소설가 앙드레 말로를 접견했을 땐 그의 옆에 간호사 한명이 서 있는 것이 목격되었다. 그에게는 시간이 얼마 없는 것처럼 보였다. 웬만한 지도자라면 권력을 후계자에게 념겨주고 뒷방으로 물러났을 터인데, 그는 권력의 전면에 나섰다. 후계자로 지목했던 자들이 치받고 올라오는 것을 참을수 없었던 것이다.

 

1966년 7월, 마오쩌둥이 양쯔강을 헤엄치기 앞서 대중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위키피디아
1966년 7월, 마오쩌둥이 양쯔강을 헤엄치기 앞서 대중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위키피디아

 

19651110일 경극 해서파관을 비판하는 야오원위안의 글이 문회보에 실린 후 중국 언론계에선 그 글을 둘러싸고 치열한 논쟁이 벌어졌다. 인민일보 편집장을 역임한 덩퉈(鄧拓), 베이징시 통일선전부장 랴오모사(廖沫沙) 등이 우한을 지지하며 야오원위안의 글을 비판했고, 린뱌오가 장악한 인민해방군 기관지 해방일보는 해서파관을 반사회주의적 독초라고 쏘아 붙였다.

얼마간 그들은 서로 간에 열띠게 토론하고 변론했다. 배후에 권력자들이 음험한 눈초리로 지켜보는 가운데 글쟁이들은 동유럽처럼 언론의 자유를 만끽하는 듯했다. 그러다가 서로 욕을 퍼붓고 비난했다. 급기야 주먹질을 했다. 폭력사태로 번지고, 국가 전체가 내란으로 함몰되는 되는데까지 그리 긴 시간을 끌지 않았다. 중공에 자유와 민주주의를 기대하긴 어려웠다.

해서파관 논쟁이 치열하던 당시 중국 국가주석은 류사오치였고, 공산당 주석은 마오쩌둥이었다. 공산국가는 당이 국가 위에서 군림하는 체제다. 마오쩌둥이 가장 높은 자리에 있었고, 그 아래 핵심 요직은 류사오치와 덩샤오핑의 실용파가 차지하고 있었다. 중앙당의 기밀과 문서처리를 맡고 있는 중앙판공청 주임에 양상쿤(楊尙昆), 중앙군사위원회 비서장이자 인민해방군 총참모장에 뤼루이칭(羅瑞卿), 수도 베이징의 시장이자 시당 서기장에 펑전(彭眞), 중앙당 선전부장에 루딩이(陸定一)가 맡았는데, 모두 류사오치 지지파였다. 류사오치와 덩샤오핑이 1959년에 제1선에 등장한지 6년이나 되었기에 정부와 당의 주요포스트에 자기 세력을 심어 두었다.

이에 비해 마오쩌둥을 미는 사람은 국방부장 린뱌오였고, 부주석 저우언라이는 중립적 위치를 견지했다.

 

뤼루이칭과 양상쿤 /위키피디아
뤼루이칭과 양상쿤 /위키피디아

 

마오쩌둥은 정신적 지도자의 위치에서 권력자들에게 대항했다. 그는 해서파관에 대한 논쟁에 야오위안을 지지하면서, “해서가 루산회의에서 자신을 비판한 펑더화이다고 밝혔다. 이에 펑전은 우한은 펑더화이와 관계가 없고, 해서파관은 루산회의와 관계가 없다고 반박했다. 마오쩌둥도 자신에게 대드는 펑전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마오는 류사오치의 팔을 하나씩 자르기 시작했다. 가장 먼저 날아간 인물은 양산쿤으로, 그는 야오원위안의 글이 실리던 1110일에 아무런 사전 통보도 없이 해임되었다. 죄목은 사무실에 개인적으로 도청장치를 설치하고 기밀문서를 다른 사람에게 유출했다는 혐의였다.

곧이어 1130일 린뱌오는 인민해방군내 자신의 라이벌인 뤼루이칭이 군권을 탈취하려 했다고 밀고했다. 국방부장관이 참모총장을 고발하는 기이한 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뤼루이칭은 미국의 침략에 대비해 소련과 제휴하자고 주장했다. 베트남전이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미군은 중국-베트남 국경을 공격할 가능성이 제기되던 상황이었다. 뤄루이칭의 주장은 흐루쇼프의 수정주의를 반대하고 비동맹노선을 주창하던 마오쩌둥의 견해에 위배되었다. 마오쩌둥은 린뱌오의 고발을 받아들여 196512월 상하이에서 당 정치국 상무위원회를 소집해 뤼루이칭의 직위를 해제했다. 이로써 류사오치의 군부 지지가반이 뿌리뽑히고, 린뱌오가 군부를 완전 장악하게 되었다.

 

해를 넘기며 사상투쟁은 격화되었다. 타깃은 베이징시였다. 수도 베이징에 대해 마오쩌둥은 물 샐 틈이 없고 바늘로 찔러도 들어갈 틈이 없는 보루라고 비판했다. 베이징은 펑전이 시장을 맡아 언론과 대학을 장악했고, 류사오치를 중심으로 한 당권파의 요새였다.

당서열 8위인 펑전은 19662, 선전부장 루딩이, 중앙당 이론소조 조장 캉성(康生), 중앙당 선전부 부부장 저우양(周揚), 신화사 및 인민일보 사장 우렁시(吳冷西) 등을 불러 해서파관 사태에 대한 입장을 정리했다. 이들은 해서파관이 학술적 비판에 불과하므로 정치논쟁으로 확대해서는 안되며, 좌파도 정풍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논의에서 캉성은 반대의견을 냈다. 펑전은 캉성의 견해를 무시하고 회의 내용을 요약해 ‘2월 요강초안을 작성하고, 이를 상무국 동의를 거쳐 류사오치의 승인을 얻어 중앙당 견해로 정리했다. 마오쩌둥은 ‘2월 요강을 보고 코웃음을 쳤다. 마오는 좌파도 정풍을 해야 한다는 대목을 특히나 못마땅해 했다.

한편 마오쩌둥의 부인 장칭은 상하이에서 린뱌오와 결탁해 군부의 지도자들을 모았다. 인민해방군 총정치부 부주임 류즈젠, 문화부장 셰당중, 부부장 천야딩, 선전부장 리만춘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2월 요록을 작성해 마오쩌둥의 재가를 얻어 당 중앙 문건으로 하달했다. ‘2월 요록문예계가 마오쩌둥 노선에 상충하는 노선에 의해 독점되고 있으며, 문화 전선에 사회주의 대혁명을 결연하게 추진하자고 선언했다.

두 개의 다른 문건이 같은 시기에 전국으로 내려갔다. 전국의 하부조직은 마오쩌둥이 두 문건 중 ‘2월 요록을 지지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1966328일 류사오치는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을 방문하기 위해 베이징을 떠났다. 바로 그날 펑전은 자취를 감추었고, 곧이어 파면 소식이 전해졌다. 루딩이도 파면되었다.

이로써 중앙당 당무, 군사 실무, 선전, 수도 행정의 핵심요직에 있던 류사오치의 손발이 모두 잘려나갔다. 이제 것은 류사오치와 덩샤오핑의 몸통만 남았다.

 

문화혁명 기간에 베이징대에 내걸린 대자보 /위키피디아
문화혁명 기간에 베이징대에 내걸린 대자보 /위키피디아

 

19665월 중앙정치국 확대회의가 베이징에서 열렸다. 베이징이 마오쩌둥의 손에 들어온 것이다. 회의에서 양상쿤, 뤼루이칭, 펑전, 루딩이를 반당음모집단으로 규정했다. 천보다, 캉성, 장칭, 장춘차오, 야오원위안 등 마오쩌둥파는 5·16통지를 통과시켰다. 이 문건은 문화대혁명의 강령과 같은 것으로, 문화혁명소조를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산하에 두도록 했다. 문혁소조가 권력의 핵심으로 부상했다. 문혁소조에는 마오쩌둥의 비서 천보다(陳伯達)를 핵심으로 부인 장칭, 류즈젠, 장춘차오, 야오원위안 등이 참여했다. 이 신생 혁명조직은 먼저 펑전이 주도한 ‘2월 요강을 폐기했다. 5·16통지는 당하부조직에 문화혁명을 일으키라고 지시한 마오쩌둥의 명령서였다.

525일 베이징대 여성투사 녜위안쯔(聶元梓) 조교는 대학당국을 규탄하는 대자보를 내걸었다. 베이징대, 칭화대와 인민일보, 신화사 등 베이징의 대학과 언론이 펑전 일파에 의해 장악되어 있었다. 녜위안쯔의 대자보를 계기로 대학가에 긴장감이 고조되었다. 그 틈에 린뱌오는 정예 38군을 베이징에 진주시켰다.

5월말에 문혁소조는 인민일보를 접수하고, 61일자에 모든 잡귀를 소탕하라는 사설을 통해 4(四舊, 낡은 사상, 낡은 믄화, 낡은 풍속, 낡은 습관)을 타파할 것이 프롤레타리아 문화대혁명이라고 규정했다.

젊은이들이 길거리로 뛰쳐 나왔다. 그들은 문혁을 앞세워 당관료와 지식인을 협박했다. 5·16통지 이틀후인 518일 인민일보 편집장을 역임한 후 잡지 전선의 주간을 맡고 있던 덩퉈가 자살했다. 수많은 인재들이 붉은 띠를 둘러맨 젊은이들에 의해 위협을 받았다.

류사오치와 덩샤오핑은 혼란을 막기 위해 공작조를 파견했지만, 청년들은 공작조를 부정하는 조반(造反)운동을 벌였다. 공작조 내에서도 조반파가 생겨났다.

그해 7월 마오쩌둥은 양쯔강을 헤엄쳐 건넜다. 마오는 이를 통해 그의 건강에 대한 우려를 말끔히 씻어내고, 체력적으로 문화혁명을 이끌어낼수 있음을 입증했다. 곧이어 85일 마오쩌둥은 인민일보에 사령부를 폭파하라는 사설을 자신의 이름으로 게재했다. 그 사령부란 류사오치와 덩샤오핑을 지칭하고 있음은 누구나 알수 있었다.

 


<참고자료>

Wikipedia, Cultural Revolution

Wikipedia, Red August

Wikipedia, Nie Yuanzi

Wikipedia, Four Olds

-현대 중국사(), 이매뉴얼 C.Y., 까치, 2013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