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시조집 「청구영언」 보물 지정 예고
최초 시조집 「청구영언」 보물 지정 예고
  • 이인호 기자
  • 승인 2022.02.28 18: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선 시대 전적 국보 추가지정…고려 청자·조선 불교조각 보물 예고

 

1993년 국보 지정된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가운데 추가로 발견된 조선 시대 전적 2건을 국가지정문화재 국보로 추가 지정된다. , 우리나라 최초의 가곡집(歌曲集)청구영언과 사자모습을 본 뜬 고려 시대 상형청자(像形靑磁), 조선 시대 전적 및 불교조각 등 총 5건에 대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된다.

문화재청은 이같이 국보와 보물 7건에 대해 국기지정문화재 지정을 예고하고,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보 또는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4 내지 /문화재청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4 내지 /문화재청

 

국보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에 추가된 전적 2

불상의 배 안에서 나온 유물로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4’백지금니 묘법연화경 권5-변상도2건이다. 조선 15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두 작품 모두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복장(腹藏)에서 추가로 발견되었다. 변상도(變相圖)는 불교경전 내용이나 교리를 알기 쉽게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그림이다.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4’는 이미 지정된 감지은니 묘법연화경235와 서지적 형태가 동일하고 백지금니 묘법연화경 권5-변상도역시, 기 지정된 백지금니 묘법연화경 권2-변상도와 형태적으로 동일해 같은 시기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두 건 모두 복장유물로서 일괄로 납입되었을 정황이 분명하므로, 추가로 지정해 복장유물의 완전성을 높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청구영언 본문 첫곡 /문화재청
청구영언 본문 첫곡 /문화재청

 

청구영언(靑丘永言)

보물로 지정 예고된 이 문화재는 조선 후기까지 구비 전승된 총 580수의 노랫말을 수록한 우리나라 최초의 가집(歌集, 시조집)으로, ‘해동가요(海東歌謠)’, ‘가곡원류(歌曲源流)’와 더불어 조선 3대 가집으로 불린다. 청구영언은 조선 후기 시인 김천택(金天澤)1728년 쓰고 편찬한 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그의 친필(親筆)인지는 비교자료가 없어 단정하기 어렵다.

청구영언은 조선인들이 선호했던 곡을 중심으로 전체적인 틀을 짜고, 작가가 분명한 작품을 작가별로, 작자미상의 작품은 주제별로 분류한 체계적인 구성을 갖추었다. 또한, 작가는 신분에 따라 구분해 시대순으로 수록하여 전승내역을 최대한 밝히고 있다. 이러한 청구영언의 체제는 이후 가곡집 편찬의 기준이 되어 약 200종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발간되었을 정도로 후대에 끼친 영향이 매우 지대하다.

청구영언은 우리나라 최초의 가집이자, 2010년 유네스코 세계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가곡(歌曲)’의 원천이 된 자료로서, 내용의 중요성 뿐 아니라 조선 후기까지 다양한 계층에서 사용한 언어와 유려한 한글서체 등 국어국문학사와 음악사, 한글서예사, 무형유산 등 여러 분야에서 의미가 지대하므로, 보물로 지정해 가치를 더욱 알릴 필요가 있다.

가곡(歌曲)은 조선 시대 전통 성악곡으로 관현악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선비들의 풍류음악으로, 2010년 유네스코 세계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되었다. 18세기 이후 가곡이 대중화되면서 일반인들도 반주악기 없이 장구 혹은 무릎장단에 맞춰 시조창을 즐겼다.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문화재청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문화재청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사자의 모습을 한 뚜껑과 네 굽이 달린 받침으로 구성된 고려 시대 향로다. 2007~2008년 동안 충청남도 태안군 대섬 앞바다에서 발견된 고려선박인 태안선(泰安船)’을 조사하던 중 출수(出水)된 도자기다.

이 청자 향로는 둥근 몸체에 사자형 장식을 단 뚜껑이 묶음을 이루고 있다. 향로 뚜껑의 사자는 앞다리를 세우고 웅크리고 앉아 있으며 다리 사이에는 보주(寶珠, 장식구슬)를 끼고 있다. 쫑긋 솟은 두 귀, 활짝 벌린 입, 혓바닥 등이 투박하지만 해학적으로 표현되었고 등에는 갈기가 새겨져 있다. 다소 파격적이고 거칠게 표현된 사자의 형상은 세련된 조형성으로 알려진 고려청자에서 잘 볼 수 없는 이례적 모습이어서 고려인들의 또 다른 미감(美感)을 보여준다.

비록 도자기를 굽는 과정에서 몸통 일부가 정제되지 못했으나, 이 또한 상형청자의 제작이 어렵다는 사실을 반증해주는 모습이기도 하다.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는 제작사례가 희소한 상형청자로서, 발견 시기와 장소가 명확하고, 투박한 표현과 해학적인 조형미를 보여주는 매우 독특한 고려 시대 도자유물이다. 청자 제작의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서울 조계사 목조여래좌상

조선 15세기에 조성된 불상으로, 전라남도 영암 도갑사(道岬寺)에 봉안되었으나, 19386월 조선불교 총본산(總本山) 건립에 맞춰 지금의 조계사 대웅전에 봉안하기 위해 이안(移安, 옮겨옴)된 상징적인 불상이다. 불상 이안은 일제강점기 왜색불교를 배척하고 조선불교의 자주성과 정통성 확보를 열망한 당시 불교계의 염원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에 한국불교사와 불교미술사에서 차지하는 역사적 의의가 크다.

이 불상은 중국 명나라의 티베트 불상 양식을 수용한 매우 희귀한 사례에 속한다. 전체적으로 날씬하고 가는 신체, 높은 육계와 장식적이고 유려한 옷주름 등이 특징이며, 여기에 생각에 잠긴 듯 한 고요한 얼굴, 안정된 비례, 탄력적인 양감, 생동감 있는 세부 표현 등이 조선 전기 불상의 대표작으로 꼽을 만큼 높은 수준과 완성도를 갖추고 있다. 유례가 드문 15세기 불상 중 우수한 조형성과 예술성이 돋보인다.

 

달마대사관심론(達磨大師觀心論)

불교의 한 종파인 선종(禪宗)의 창시자인 달마대사(?~528)가 설법한 교리를 정리한 불경이다. 지정예고 대상은 1335(고려 충숙왕 복위 4) 경주 계림부에서 개찬된 목판에서 인출된 1책의 목판본이다.

이 책은 현재 전하는 동일자료 중 시기적으로 가장 앞서는 조선 초기 인출본으로, 마지막 장에 간행기, 판각에 참여한 각수(刻手), 간행에 관여한 경주부(조선 시대 경주를 이르는 말) 인물 등이 기록되어 있어 강행상황을 정확히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서지학 뿐 아니라, 역사자료로서도 가치가 높다.

 

춘추경좌씨전구해 표지 및 권수제 /문화재청
춘추경좌씨전구해 표지 및 권수제 /문화재청

 

춘추경좌씨전구해(春秋經左氏傳句解) 1~9, 20~29, 40~70

춘추시대 역사서인 춘추(春秋)의 주석서이다. 지정 예고 대상은 1431(세종 13) 경상도 청도에서 원판을 번각한 책이며, 지금까지 완질본은 알려져 있지 않다.

춘추경좌씨전구해는 소장기관마다 2책 내외의 적은 분량이 남아 있는 것에 비해, 지정 예고 대상 자료는 505책으로 현존 수량이 가장 많이 남아 있을 뿐 아니라 인괘와 보존상태 역시 양호해 앞으로 관련 분야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