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도기동 산성, 고구려의 남진 교두보 확인
안성 도기동 산성, 고구려의 남진 교두보 확인
  • 이인호 기자
  • 승인 2022.06.30 15: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백제 성을 고구려가 빼앗아 사용…목곽고와 목책열, 토기 발굴

 

경기도 안성의 도기동 산성은 안성천과 잇닿은 나지막한 구릉지에 축조한 산성으로, 20159월 창고를 짓기 위해 발굴조사를 하다가 삼국시대 목책성이 확인되어 긴급히 문화재 사적으로 지정된 곳이다. 구조와 출토유물로 볼 때 4~6세기 사이에 백제가 축조했고, 백제가 웅진으로 천도한 이후에는 고구려가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안성 도기동 산성 발굴조사 현장 /문화재청​
​안성 도기동 산성 발굴조사 현장 /문화재청​

 

재단법인 중앙문화재연구원이 20224월부터 6월까지 도기동 산성의 주변 지역을 대상으로 발굴조사를 실시해 삼국시대 목책열과 집자리, 저장구덩이 등과 고구려 목곽고를 확인했다.

이번 발굴조사는 도기동 산성을 구성하는 구릉의 남동쪽 사면부를 대상으로 했으며, 기존 조사에서 삼국시대 목책열과 토루, 저장구덩이 등이 확인되었던 유적과 인접한 곳이자, 도기동 산성의 범위에 포함될 것으로 추정되어 왔던 지역이다.

 

​안성 도기동 산성에서 발굴된 목책열 /문화재청​
​안성 도기동 산성에서 발굴된 목책열 /문화재청​

 

이번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유구 중 땅을 네모반듯한 모양으로 터를 파 내부공간을 마련하고 그 외곽을 목재로 이어 붙여 만든 구조물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이는 저장시설인 목곽고로 추정된다. 발견된 대부분의 목재가 탄화목으로 화재로 폐기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내부에서는 고구려 토기도 함께 출토되었다. 이로써 안성 도기동 산성이 백제 한성기에 축조된 이후 고구려가 남진하는 교두보로써 점유해 운영한 시설이었음이 재차 확인되었다.

또 이번 조사에서는 산성의 구릉 사면부를 계단식으로 터를 파 흙을 쌓아올린 토루(土壘)와 그 상부에 목책을 세운 기둥자리인 목책열을 확인했는데, 기존에 조사된 산성 내부의 목책열과 서로 연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안성 도기동 산성의 범위가 사적으로 지정된 구역보다 훨씬 넓다는 것을 알려준다.

 

안성 도기동 산성에서 발굴된 목곽고 /문화재청
안성 도기동 산성에서 발굴된 목곽고 /문화재청

 

안성 도기동 산성은 46세기 백제 한성기부터 고구려가 남진한 시기에 사용된 산성으로, 기존에 확인된 바 있는 서울 몽촌토성, 진천 대모산성, 청주 정북동토성, 세종 나성리토성, 대전 월평동산성 등과 마찬가지로 백제와 고구려의 흔적이 같이 나타나는 유적이다.

특히 이번 조사를 통해 경기남부에 위치한 안성지역에서도 고구려의 흔적이 확인됨에 따라 남한 지역에 대한 고구려의 지배 방식을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발굴에서 도기동 산성이 고구려의 남진 경로 상 경기도 남부에서 금강 유역으로 향하는 교통로 상 거점이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안성 도기동 산성에서 발굴된 각종 고구려 토기 조각 /문화재청
안성 도기동 산성에서 발굴된 각종 고구려 토기 조각 /문화재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