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이 중국 땅이라고 주장하는 투바공화국
대만이 중국 땅이라고 주장하는 투바공화국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2.07.22 11: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나라가 준가르 제압하며 지배…1911년 신해혁명 이후 러시아에 넘어가

 

러시아의 투바공화국(Tuva Republic)은 러시아 영토 중앙 남단에 위치하며 몽골과 국경을 접한다. 면적은 17로 대한민국의 1.7배이며, 인구는 30만명에 불과하다. 2010년 센서스에서 인구의 80%가 몽골계 투바인이고, 61%가 티베트불교 신자다. 투바 정부는 수도 키질(Kyzyl)이 아시아의 중심이라는 러시아 지리학자들의 견해를 받아들여 2015년에 아시아의 지리 중심’(geographic center of Asia)을 상징하는 탑을 세웠다.

이 자치공화국은 1911년 중국의 신해혁명 이전까지 청나라 영토였는데, 대만의 국민당은 지금도 투바가 중국영토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1921년부터 23년간 형식적으로 독립국이었다가 1944년 소련에 병합되어 러시아연방에 속했다.

 

투바공화국의 위치 /위키피디아
투바공화국의 위치 /위키피디아

 

투바 지역은 동아시아 역사에서 흉노, 선비, 유연, 몽골()의 영역이었으며, 청나라 초기엔 서몽골 오이라트의 준가르제국에 속해 있었다. 이 지역이 청나라의 통치권에 들어온 시기는 준가르가 멸망한 1758년이었다.

청이 새로 얻은 영토는 앞서 1727년 캬흐타 조약에서 러시아와 합의한 국경선에서 서쪽으로 연장된 지역이었다. 청국은 이 땅을 우량카이(烏梁海)라 부르며, 외몽골과 분리 통치했다. 이 우량카이가 한국어 오랑캐의 어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청의 만주족은 울리아스타이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우량카이를 지배했으며, 부족 단위로 분할해 부족장들에게 자치권을 부여했다. 그중 하나가 타누우량카이이고, 다른 하나가 알타이우량카이다.

1860년대에에 러시아인들이 장사를 하기 위해 또는 종교적 자유를 위해 우량카이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우량카이는 예니세이강의 상류 지역이므로 중국인보다 러시아인이 접근하기 수월했다. 러시아는 청에 우량카이에 대한 국경협상을 요구해 1864년 타르바가타이조약(Treaty of Tarbagatai)을 체결했다. 청나라는 아편전쟁으로 베이징이 위태로웠기 때문에 러시아와 영토협상에 전념할수 없었다. 협상은 러시아에 일방적으로 유리하게 진행되었고, 조약에 의해 알타이우량카이는 러시아에 떼주고, 타누우량카이는 청의 영토로 남았다.

 

1820년 청나라 영토와 행정구역 /위키피디아
1820년 청나라 영토와 행정구역 /위키피디아

 

타누우량카이에 본격적으로 러시아인이 몰려온 것은 1878년 동부 지역에서 금광이 발견되면서부터였다. 한 러시아인이 금을 캐서 큰 부자가 되었다는 소문이 삽시간에 번져나갔다. 황금에 눈이 어두운 사람들이 우량카이로 몰려들었다. 청나라 영토에 몰려든 러시아 상인과 광부들은 차르정부에 군사적 개입과 보호를 요청했다. 이에 러시아 정부는 우니스크감독청을 설치했다. 이 조직은 청 본국과 상대하지 않고 우량카이 귀족들을 접촉했다. 러시아인의 입국비자를 지방정부에서 받도록 하고 러시아인에 대한 사실상의 경찰권을 행사했다.

러시아의 의도는 청을 자극하지 않고 타누우량카이를 지배하는 것이었다. 러시아언론 시비리스카야가제트는 타누우량카이가 언젠가 러시아 영토가 될 것이라는 내용을 싣기도 했다. 차르정부는 타누우량카이에 대한 경제적 지배권을 굳히기 위해 러시아인들에게 현지에서 집을 사고 농사를 짓고 가축을 기르며 정착하도록 했다. 청 제국은 뒤늦게 러시아인들의 위협을 인지했지만 외세의 침입으로 보다 큰 소동에 휘말렸기 때문에 변방에 개입할 여력이 없었다. 1909년 타누우량카이에 정착한 러시아인이 9,000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우량카이 공화국 /위키피디아
우량카이 공화국 /위키피디아

 

투바가 러시아로 넘어간 것은 중국 본토의 정치적 변동에 기인한다. 191110월 중국에 신해혁명이 일어나 청나라가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수립되었다. 청나라에 복속한 외몽골 부족들은 대칸을 겸한 청 황제가 소멸되었기 때문에 독립을 주장할 충분한 명분을 가졌다. 투바의 부족장들 사이에 러시아에 의지해 독립할 것인지, 외몽골에 편입할 것인지를 놓고 의견이 갈렸다. 최고통수권자인 곰보도르주(Gombo-Dorzhu)는 중국의 침공을 막기 위해 러시아의 보호를 받아 독립하자고 주장했고, 다른 두 부족장은 외몽골에 합칠 것을 주장했다.

곰보도르주는 선수를 쳐 러시아에 보호령으로 받아달라는 청원을 넣었다. 차르 니콜리아 2세는 망설였다. 투바를 보호령으로 삼으면 중국을 자극할 가능성이 컸다. 차르 조정은 몇 달간 중국의 상황전개를 지켜보고 논의를 거치는 모양새를 취한후 투바의 보호령 제의를 수락했다. 1912년 타누우량카이는 러시아의 보호령이 되어 우량카이공화국(Urjanchai Republic)으로 독립했다. 하지만 러시아는 금새 본색을 드러내 19144월 우량카이를 합병해 차르 직할령인 우량카이 크라이(Uryankhay Kray)로 격하해 예니세이스크 총독의 관할로 배속시켰다.

러시아 혁명후 내전이 터지면서 19187월부터 19197월까지 백군 사령관 알렉산드르 콜차크에게 점령되었고, 그후 볼셰비키군에 넘어갔다. 19202월에 중화민국이 우랑카이가 청나라의 영토였다는 이유로 침공해 점령했다. 중화민국 국민정부를 계승한 대만 정부가 투바를 중국령이라고 주장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1921년에 러시아 볼셰비키의 도움으로 외몽골에서 공산혁명이 일어나 중국군을 쫓아냈고, 타누우량카이에서도 중국군이 물러났다. 러시아 볼셰비키정권은 타누우량카이에 형식적으로 독립을 부여했다. 이때 처음으로 투바라는 명칭이 사용되어 투바인민공화국(Tuvan People's Republic)이라는 공산국가가 수립되었다. 이 나라는 소련이 중국의 눈치를 보면서도 몽골인민공화국에는 념겨주고 싶지 않은 미묘한 관계에서 1921년부터 1944년까지 23년간 독립을 유지했다.

투바인민공화국은 티베트불교를 국교로 인정했는데, 공산국가로 종교를 인정했다는 점이 특이히다. 투바인민공화국을 공인한 나라는 소련과 몽골인밈공화국 2개국뿐이다.

2차대전 종전 직전인 19448월 소련은 투바의 독립국 지위를 박탈하고 병합했다. 이후 투바자치주(Tuvan Autonomous Oblast)로 러시아 연방에 편입되었고, 1961년에 공화국의 지위로 회복했다.

소련 해체이후 1993년 투바는 주민투표를 통해 공화국으로 변경했으며, 공식 표기를 Tuva에서 Tyva로 변경했다.

 

1915년 키릴에 세워진 ‘아시아의 지리 중심탑’ /위키피디아
1915년 키릴에 세워진 ‘아시아의 지리 중심탑’ /위키피디아

 

수도 키질은 예니세이강 상류에 위치해 있는데, 제정러시아 시기인 1914년 러시아인들에 의해 조성되었다. 초기 이름은 벨로차르스크(Belotsarsk), ‘흰색 차르의 도시라는 의미였다. 공산정권이 수립된 이후인 1926년에 붉다’(red)는 의미인 키질(Kyzil로 바꾸었다. 인구는 10만명 남짓으로, 투바인구의 3분의1을 차지한다.

러시아에서 변방, 중국에서도 변방인 이 공화국이 아시아의 중심인 것은 순전히 지리적 계산에서 나온 것이다.

 

<참고자료>

Wikipedia, Tuva

Wikipedia, History of Tuva

Wikipedia, Uryankhay Republic

Wikipedia, Tuvan People's Republic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