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이 2차대전서 알류샨열도 탐낸 까닭은?
일본군이 2차대전서 알류샨열도 탐낸 까닭은?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2.08.16 12: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개섬 1년간 점령후 퇴각…미국 서부 공격하기 위한 전략, 결국 실패

 

알류샨열도는 미국 알래스카반도에서 러시아 캄차카반도까지 활처럼 길게 늘어진 섬들의 집합이다. 동서 1,900km 구간에 14개의 화산과 55개의 작은 섬들로 구성되어 있다. 섬들을 다합친 면적은 17,670으로, 남한지역 강원도 면적과 비슷하다. 인구는 2000년 기준으로 8천명 정도인데 울릉도보다 적다. 양쪽의 반도와 함께 태평양과 베링해를 갈라놓는다

원주민은 알류트(Aleut)족이고, 이들의 언어는 알류트어다. 알류트어를 사용하는 원주민은 거의 사라지고, 150명 정도 남아 있다. 언어를 기준으로 종족을 비교하면 에스키모족으로 분류된다.

열도의 대부분이 미국령이고, 서쪽끝 일부만이 러시아령이다. 서양인으로 열도를 처음 방문한 사람은 1741년 러시아 정부의 지원으로 알래스카 탐험에 나선 알렉세이 치리코프와 비투스 베링이다. 치리코프가 현재 미국령 알류산열도를 발견했고, 베링은 표류하다가 러시아령 코만도르스키예 열도의 베링섬에서 표착, 그곳에서 사망했다. 미국령 알류샨 열도는 알래스카주에, 러시아령 섬은 캄차카주에 속해 있다.

환태평양 조산대의 일부구간으로 불의 고리’(Pacific Ring of Fire) 최북단에 위치한다. 따라서 활화산과 사화산이 많이 분포하고, 지진도 자주 발생한다. 해안선에 깎아지른 듯이 다가서 있고, 바다에 해류가 강력하고, 암초가 많다. 해양성 기후여서 안개가 잦고 습도가 높다. 1월평균기온 2, 8월평균기온 9내외다.

 

알류트족 여인 /위키피디아
알류트족 여인 /위키피디아

 

1867년 러시아가 알래스카를 미국에 매각할 때 캄차카 근처 일부섬을 제외하고 열도의 대부분을 미국에 넘겨주었다. 러시아는 100년 정도 알류샨 전체를 지배했는데, 그 기간에 알류트족의 저항이 있었지만 오래가지 못하고 러시아에 동화되었다.

알루샨 열도 주변에는 바다표범과 바다사자, 고래, 대구, 넙치 등 각종 물고기가 풍성했고, 해달도 많이 서식했다. 특히 해달 모피는 러시아와 유럽의 귀족사회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러시아인들은 알류트족의 해달 사냥을 대규모 사업으로 전환시켰다. 알류트족은 바이다르카(baidarka)라는 카약을 타고 해상 모피원정에 나섰다. 알래스카 싯카에 수도를 둔 러시아 식민정부는 무려 700척에 이르는 바이다르카 카약으로 선단을 조직해 해달 사냥에 나서도록 시켰다. 바다 모피에 대한 수요가 폭발했고, 러시아가 100년 정도 해달을 잡아 멸종 지경에 이르게 한 다음에 알래스카에서 손을 떼었다. 러시아 지배 시기에 러시아인과 알류트족 사이에 혼혈이 많이 생겼고, 러시아정교가 보급되었다.

미국이 지배한 이후 감리교가 진출했다. 1924년에 알류트족에게도 미국 시민권이 부여되되었고, 1933년에 어널래스카 섬에 병원이 설립되었다.

 

어널래스카 섬의 더치하버 /위키피디아
어널래스카 섬의 더치하버 /위키피디아

 

2차 대전 기간에 일본군이 알류산열도의 일부를 점령한 적이 있다. 다른 큰 전투에 밀려 이 사건을 그리 많이 알려지지 않았는데, 굳이 따지자면 외국군에 의해 미국 영토가 일시적으로 점령된 세 번의 사건중 하나다. 첫 번째가 1812년 영미전쟁, 두 번째가 1846~1848년의 미국-멕시코전쟁이며, 세 번째가 1942~1943년 일본군 침공이다.

1941127일 일본이 하와이 진주만을 공격하면서 태펴양 전쟁이 개시되었다. 일본군은 진주만에 대대적인 공습을 가하면서도 지상군을 투입, 점령하지는 않았다. 일본이 점령한 곳은 미군 병력배치가 가장 희박한 알래스카 알류샨 열도였다.

194262일 일본 해군은 폭격기를 동원해 알류샨의 중심지 어널래스카 섬(Unalaska Island)의 더치하버(Dutch Harbor)를 공습했다. 미군전투기들이 일본 항공모함과 함정을 공습했지만 기상악화로 실패했다.

67일 일본군은 키스카(Kiska) 섬에, 7일에 애튜(Attu) 섬에 상륙했다. 원주민들은 저항하지 않았고, 일본군은 손쉽게 두 섬을 점령했다.

미국과 캐나다로 구성된 연합군의 반격은 1년이 지나서 시작되었다. 1943511일 연합군 15,000명이 애튜섬에 상륙, 일본군을 공격했다. 20일간의 전투에서 일본군 2,900명중 28명만 포로로 잡히고 모두 사망하거나 자결했다.

키스카섬에는 미군과 캐나다군 34,000여명이 1943815일에 상륙했는데, 일본군은 이미 7월말에 철수하고 없었다. 애튜전투에서처럼 옥쇄를 벌여보았자 소용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일본군과 교전은 없었지만, 그들이 설치한 부비트랩에 사망하거나 짙은 연무로 인한 아군간 교전으로 연합군측에서 300여명의 사상자를 냈다.

 

알류샨 열도 /위키피디아
알류샨 열도 /위키피디아

 

일본군은 왜 알류샨 열도를 점령하려 했을까. 미국 서부를 공격하기 위한 거점을 알류샨 열도에 구축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알류산의 전략적 중요성은 미군도 파악하고 있었다. 미국 장군 빌리 미첼(Billy Mitchell)1935년 미 의회 청문회에서 누가 알래스카를 장악하는지에 따라 세계의 미래가 결정될 것이다. 그곳이 세계에서 전략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일본은 알류샨을 점령하고 활용하지 못했다. 17426월 미드웨이 해전에서 패배한 이후 태평양 전선에서 밀리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Wikipedia, Aleutian Islands

Wikipedia, Aleut

Wikipedia, Aleutian Islands campaign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