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뉴스] 이동관 논란
[한줄뉴스] 이동관 논란
  • 이인호 기자
  • 승인 2023.06.08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후임 방송통신위원장 거론에 민주당 반발…아들 학폭과 언론탄압이 골자

 

이동관 특보는 동아일보 기자 출신으로 이명박 대통령 시절에 청와대 홍보수석을 역임했고, 윤석열 정부에서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별보좌관을 맡고 있다. 그는 방송통신위원장에 거론되고 있다. 그가 지명도 되기 전에 야당이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대변인은 66일자 논평에서 이동관 특보, 정치적·법적·도덕적 그 어떤 잣대로 봐도 자격미달·함량미달·수준미달이라는 제목의 논평을 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7정순신 사태도 더 글로리 사태도 부족했는지 윤 대통령이 이동관 특보를 방통위원장으로 내정했다는 말이 있다며 내정 철회를 촉구했다. 민주당이 이동관 특보에 반발하는 골자는 학폭, 언론탄압이다. 민주의 반발이 공개되자 언론들이 일제히 기사를 쏟아냈다. 윤 대통령 결심의 귀추가 주목된다.

 

이동관 특보 페이스북 사진
이동관 특보 페이스북 사진

 

새벽 430, 오늘도 확성기 소음에 잠이 깼다 -

아무리 내로남불이 민주당의 전매 특허라고는 하지만 지난해 문재인 대통령이 퇴임 후 양산 사저에서 집회 소음에 시달릴 땐 전직 대통령 사저 인근 집회 자체를 아예 금지하는 집시법 개정안까지 발의해놓고, 심야라도 좀 조용히 쉬고 싶다는 시민의 작은 바람을 담은 법안에는 위헌적 발상이라고 비판하니 좀 어이가 없다

 

진보는 보조금으로 오지 않는다 김정희원 애리조나주립대(한겨레)

시민단체의 생존이 당근과 채찍에 결판나지 않으려면 풀뿌리로부터 자원이 모여야 한다. 보조금에 기대지 않고 사회운동을 지속가능하게 하는 힘은 오직 평범한 사람들의 참여뿐이다. 소액이더라도 다수의 풀뿌리 후원이 장기적으로 이어진다는 전망이 있을 때 사회운동은 변절하지 않고 뚝심 있게 지속될 수 있으며, 그 활동기반을 두려움 없이 단단하게 다질 수 있다

 

▶ 中 겁박에 맞선 호주의 조용한 완승’ - 동아

호주는 굴복하지 않았다. 동맹과 우방을 중심으로 세계 각국에 중국의 강압에 맞선 대항전선 구축을 촉구했다. 호주 외교장관은 외부 인사를 만날 때마다 안주머니에서 중국 측이 던진 모욕적 요구, 이른바 ‘14개 불만 사항메모지를 꺼내 보이며 분노와 결의를 표시하곤 했다. 그런 호주의 배짱은 통했다. 호주가 감당해야 했던 고통은 일시적이었다

 

책 안 읽는 사회, 선동·여론조작의 먹잇감 - 윤혜준 연세대(한경)

젊은 층으로 내려갈수록 긴 호흡으로 사색하며 저자와 대화하는 독서를 회피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세대와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한순간 방영되다 사라지는 시각 매체에만 의존하거나, 짧은 SNS 속 댓글을 읽으며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확정하는 추세가 일상화되고 있다. 책을 읽지 않는 시민들은 선동과 여론조작이 삼켜 먹는 먹잇감이 될 수밖에 없다

 

김지하는 뛰어난 현대 문인화가였다 유홍준(중앙)

김지하는 1980, 7년간의 긴 감옥생활에서 풀려나 원주에 칩거하던 시절 무위당 장일순 선생에게 그림을 배우면서 난초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였다. 당시 김지하는 묵란에 의미 있는 화제(畵題)를 달아 그리운 벗들에게 선물하였다. 1984년 김민기에게 보낸 풍란에는 바람에 시달릴 자유밖에 없는 땅에서 피어나는 기묘한 난이라는 화제가 쓰여 있다

 

유럽 가스대란, ‘시장경제 역동성이 해결사 - 조선

시장이 놀라운 역동성으로 러시아 가스 공백을 메우자 천연가스 가격은 얼마 안 가 전쟁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지난겨울 유럽 가스대란을 막은 것은 따뜻한 날씨로 알려져 있지만, 실상은 애덤 스미스가 말한 보이지 않는 손이 해결사 역할을 했다

 

유엔 안보리 이사국, 벨라루스는 탈락 - 매경

이번에 러시아가 밀었던 벨라루스가 단 38표만 얻어 탈락한 것은 세계 평화를 위협하는 무력 폭거를 용인하지 않겠다는 국제사회의 의지가 표출된 결과다

 

한국노총 경사노위 중단, 이참에 청년·비정규직도 참여시키길 - 조선

우리나라 노조 조직률은 14%에 불과하다. 더구나 양대 노총은 정규직·대기업·공기업 노조 위주여서 이들의 입장을 과잉 대표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반면 MZ세대·여성·비정규직은 숫자가 늘어나는데 이들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단과 방법이 마땅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번 기회에 이들 대표가 경사노위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경사노위 구조를 바꾸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