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아틀라스뉴스
뒤로가기
지리 이야기
국토지리정보원, 지명 분석…가장 긴 지명은 ‘옥낭각씨베짜는바위’
우리나라서 가장 흔한 지명은 새터, 신촌, 양지말
2020. 10. 06 by 이인호 기자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지명은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에 있는 옥낭각씨베짜는바위. 바위의 이름이 9자로 이뤄져 있다. ‘각씨각시를 뜻하는 경상도 사투리다.

이 바위는 앞에 가창저수지를 내려다 보고 있는데, “바위산이 베를 짤 수 있을 정도로 넓다고 한다. 옛날 이 바위 속에서 옥낭각시가 베를 짜다가 총각에게 쫓겨서 하늘로 올라갔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또 임진왜란 당시 마을의 처녀와 결혼하기로 한 총각이 전쟁터에 나가 전사하고 돌아오지 못하게 되자, 처녀는 이 바위에 올라가 죽을 때까지 총각을 그리워 했다고 한다. 그래서 옥녀바위또는 각시바위라고 부른다는 이야기가 있다.

 

‘옥낭각씨베짜는바위’ 위치 /국토교통부
‘옥낭각씨베짜는바위’ 위치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이 109일 한글날을 맞아 전국의 고시된 지명 약 10만개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지명은 대구시 가창면의 옥낭각씨베짜는바위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전국 대다수 지명은 고유어와 한자어, 그리고 이 둘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중 순우리말로 이루어진 고유어 지명은 11,771, 한자어는 45,961, 혼합어 지명은 17,657개로 나타났다.

 

‘옥낭각씨베짜는바위’ 가는길 /국토교통부
‘옥낭각씨베짜는바위’ 가는길 /국토교통부

 

고유어 지명 중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지명은 새로 마을이 생겼다는 의미의 새터이며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을 비롯해 전국에 273개가 있다. 그 뒤를 이어서 절골’(142), ‘새말’(110), ‘안골’(96), ‘큰골’(68), ‘뒷골’(66) 등이 있다.

한자어 지명으로는 새로 생긴 마을이라는 뜻의 신촌’(新村)’ 263개로 가장 많으며, 그 뒤를 이어 신기’(新基, 192), ‘평촌’(坪村, 138), ‘송정’(松亭, 126), ‘내동’(內洞, 119) 등이 있다.

혼합어 지명의 대표적인 사례는 점말()이다. ‘’()은 가게, 상점 등을 의미하는 한자로, 고유어인 ’(마을)과 합쳐 만들어졌다. 혼합어 지명 중 양지말’(陽地)97개로 가장 많으며, 이어서 점말’()장터’()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명의 종류를 나타내는 속성도 고유어와 한자어로 분류해 볼 수 있다. 마을의 경우 ’, ‘’, ‘’(, ), ‘’(), ‘등으로 나타나고, 산의 경우에는 ’, ‘’(), ‘오름등으로, 고개는 ’(), ‘’, ‘’, ‘’(), ‘’(, )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마을을 나타내는 지명 가운데 어미레 골이 들어간 지명은 6,127개로, (, 2,701), (2,049), (, 1,599), 마을(487), (146) 등이 들어간 지명보다 월등히 많으며, 6,127개 중 뒷골’, ‘안골같은 고유어는 2,854개가 있다.

산을 나타내는 지명중에 전북 고창군 심원면의 활뫼’(弓山)를 비롯해 와 제주도의 기생화산 오름이 들어간 고유어 지명은 161개로 한자어 산 지명 3,985개나 혼합어 지명 823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또 전국에서 같은 이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산 지명은 남산(南山)이며 101개가 있다. 봉우리의 경우는 국사봉(國師峰)으로 80개가 쓰이고 있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산과 봉우리의 구분 없이 모두 산으로 통용되고 있다.

 

자료: 국토교통부
자료: 국토교통부

 

최근에는 외래어 지명을 사용하는 등 지명을 상품화하고 상업화하려는 경우도 있으나, 여전히 우리의 고유 지명이 지역별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흥미로운 유래를 가진 지명도 많이 있다.

장승은 돌이나 나무에 사람의 얼굴을 새겨서 마을 어귀나 길가에 세운 푯말로, 이정표 또는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한다고 전해져 오고 있다. ‘장승과 관련된 지명은 전국에 39곳이 있으며, 이는 우리의 생활과 삶이 지명에 그대로 녹아있는 사례로 볼 수 있다.

 

국토지리정보원 사공호상 원장은 앞으로는 고유어 지명을 지명제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 및 보전하기 위해 전국의 미고시된 지명, 국토개발로 인해 사라진 고유 지명의 발굴과 일본식 지명 등을 정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국의 고시지명에 관한 위치, 유래 및 발간 책자(지명유래집) 등은 국토지리정보원의 국토정보플랫폼(http://map.ngii.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