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아틀라스뉴스
뒤로가기
철의 세계
중·소 첫 전쟁…러시아, 만주국, 러시아, 중국으로 소유권 네 번 이전
동북아 철도전쟁⑦…동청철도와 봉소전쟁
2020. 12. 28 by 김현민 기자

 

철도는 대량의 병력과 군수물자를 빠른 시간에 수송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열강들이 19세기에 경쟁적으로 철도를 놓았다. 그러나 철도가 적의 수중에 떨어질 때 적군의 침략을 가속화시키는 역효과도 있다. 소련이 적백내전 때에 그런 경험을 했다. 시베리아 철도가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에 점령되고, 그 루트를 타고 백군이 모스크바를 향해 진격했다. 1922년 소련이 출범하기 이전까지 시베리아철도의 상당 부분과 중국 영내의 동청철도가 백군에 점령되어 있었다.

 

1919722일 러시아 소비에트 정부의 레프 카라한(Lev Karakhan) 외무위원장은 중국 장제스(蔣介石) 중국 정부에 동청철도(東淸鐵道)를 아무런 조건 없이 반환하겠다는 내용의 전보를 보냈다. 대금도 받지 않겠다고 했다.

당시 러시아는 백군과 적군의 내전기였다. 이르쿠츠크 동쪽은 백군이 장악하고 있었고, 만주의 동청철도도 백군의 소굴이었다.

소비에트 정권이 동청철도를 중국에 무상으로 돌려기로 한 것은 자신들이 유럽과 미국, 일본의 제국주의와 다르다는 점을 국제적으로 선전하고, 중국 군벌을 백군 타도에 활용하는 전략적 선택이었다. 중국인들 사이에 외국에 내준 철도 이권을 되돌려 받자는 철도이권회수운동과 중국자본으로 철도를 건설하자는 자판운동(自辦運動)이 강하게 제기되면서 동청철도의 반환 문제가 중국 내에서 대두되었던 시기였다.

동청철도는 중동철도(中東鐵道), 장춘철도(長春鐵道)라고도 하는데, 시베리아철도가 만주를 관통하는 부분이다. 청일전쟁 후 러시아가 삼국간섭을 통해 일본의 요동반도 이권을 무산시킨 후 중국에서 반대급부로 얻는 철도로, 1901년에 완공되었다. 동청철도는 시베리아철도가 러시아국경을 돌아가는 것보다 거리와 시간을 절약해 주었다. 이 철도는 1905년 러일전쟁에서 러시아가 패하고 남만주 철도 절반을 내주면서도 러시아의 권리와 경영권이 유지되고 있었다.

 

러일전쟁 때 송화강(松花江) 일대 동청철도를 지키는 러시아 코사크부대. /위키피디아
러일전쟁 때 송화강(松花江) 일대 동청철도를 지키는 러시아 코사크부대. /위키피디아

 

하지만 소비에트 정권이 내전에서 백군을 제압하고 1922년 소련을 출범시킨 후, 그들은 입장을 바꿨다. 동청철도를 언젠가는 돌려줄 것인데, 그때까지 안전사고를 막고 자국인의 일자리를 보장하기 위해 공동경영을 하자고 나온 것이다. 만주군벌 장쩌린(張作霖)은 당시 직예파 군벌과 전쟁 중이었기 때문에 소련과 군사적 충돌을 벌일 여력이 없었다. 이런 기회를 이용해 소련은 19243월 중국정부와 동청철도 공동경영에 관한 협정을 체결하고, 그해 9월 장쩌린과 별도의 봉소협정(奉蘇協定)을 체결했다. 두 협정은 공동경영에 관해서는 동일하지만, 부속권리에 대해선 다른 조항을 채택했다. 소련이 중국 정부와 봉천 정권에 이중계약을 체결하면서 봉천의 장쩌린을 속인 것이다.

협정에 따라 동청철도는 중국측에서 5, 러시아측에서 5명씩으로 이사회를 구성하고 이사장은 중국측, 부이사장은 러시아측이 맡았다. 양국의 이해가 상충하는 안건은 이사 7명의 찬성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그러나 소련측이 쥐고 있는 관리국장이 철도의 주요한 지역을 장악했기 때문에 사실상 소련의 마음대로 철도가 운영되었다.

 

1929년 봉소전쟁 때 소련군이 장쉐량의 군기를 빼앗아 공개하고 있다. /위키피디아
1929년 봉소전쟁 때 소련군이 장쉐량의 군기를 빼앗아 공개하고 있다. /위키피디아

 

동청철도의 불평등조약 폐지를 요구하는 시위가 전국적으로 벌어졌고, 이런 가운데 1924년 장쩌린이 1928년 일본 관동군의 음모로 사망했다. 곧이어 장쩌린의 아들 장쉐량(張學良)이 봉천군벌을 계승하고 철도이권회수운동을 지지했다. 장쉐량은 국민당정부 깃발을 내거는 동북역치 (東北易幟)를 명령하고, 북벌을 단행한 장제스(蔣介石) 정부에 복속했다. 봉천정부와 남경정부가 하나가 되어 외세배척, 공산당척결, 단일정부 수립에 합의한 것이다.

장쉐량은 당장 일본의 철도를 빼앗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판단하고 동청철도를 무력으로 몰수하기로 했다. 1929527일 장쉐린은 병력을 동원해 하얼빈의 소련영사관을 수색해 대량의 문서를 압수하고 영사관직원 39명을 체포했다. 이어 만주의 다른 소련영사관도 강제수색했다.

장쉐린은 소련이 극동에서 병력을 동원하지 않을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소련의 이오시프 스탈린은 만주에 출병을 명령했다. 그해 817일 소련군 156,000명이 국경을 넘어 동청철도로 향했다. 이 전쟁을 중동철도전쟁 또는 봉소전쟁(奉蘇戰爭)이라 부른다. 현대사로 첫 중소전쟁으로 꼽힌다.

봉천군벌은 일부에서 저항했지만 소련군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 소련군은 3개월만에 동청철도를 장악했다. 봉천군은 소련군과 정전협정을 맺고 1924년의 철도협정으로 되돌아간다는데 서명했다.

 

동청철도와 시베리아철도 /위키피디아
동청철도와 시베리아철도 /위키피디아

 

소련은 동청철도를 되찾았지만 언제 다시 중국인들이 철도를 빼앗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사로잡혔다. 만주에 토비(土匪)들이 출몰해 철도유지 비용이 많이 드는데다 일본이 부설한 길회철도(吉會鐵道)와의 치열한 경쟁으로 화물운송량이 줄어들고 있었다. 게다가 소련은 하바로프스크를 돌아가는 철도를 이미 부설했기 때문에 굳이 동청철도를 보유할 필요가 없었다.

결국 소련은 이 철도를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처음에 프랑스와 교섭했다. 프랑스로선 이 철도를 운영할 이유가 없었다. 소련은 중국 정부에 동청철도를 사가라고 제의했다. 당시 일본이 이 철도를 사려는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에 중국 정부는 돈을 들여 구매할 의사를 보였다. 소련이 중국에 요구한 금액은 8억 루블이었다. 중국은 그만한 금액을 조달할 능력이 없었다.

 

1931918일 일본 관동군이 류탸오후사건(柳條湖事件)을 일으켜 장쉐린의 봉천군과 전쟁을 시작했다. 관동군은 봉천군을 몰아내고 19323월 괴뢰 만주국(滿洲國)을 수립했다.

소련으로선 중국에 동청철도를 팔 명분을 잃었다. 유일한 매각상대는 만주국이었고, 그 배후의 일본이었다.

소련과 일본 사이에 동청철도 매각 협상이 벌어졌다. 소련은 62,500만 루블을 요구했다. 이에 일본측은 철로와 기관차가 노후한데다 경제적 가치가 낮다는 이유로 5,000만엔을 불렀다. 당시 1루블=1.04엔이었으니까 소련과 일본의 제시가격은 12배 이상 현격하게 벌어졌다.

협상은 러시아에게 불리했다. 일본과 전쟁이 벌어지면 사실상 빼앗기게 될 철도를 놓고 터무니없는 가격을 부를수 없었다. 일본측에서도 러시아를 끌어들일 필요가 있었다. 국제연맹이 만주국을 비토하고 일본도 국제연맹을 탈퇴했기 때문에 소련의 만주국 승인이 필요했다.

외교적 필요에 의해 매각 가격이 일본이 처음 부른 것보다 3배 가까이 오른 14,000만엔에 낙착되었다. 1935311일 만주국과 소련은 협정을 체결해 동청철도 매각협상을 종결했다. 이어 323일 소련은 만주국을 사실상 승인했다. 서방의 반발이 제기되자 소련은 이 승인이 법률상 의무를 지는 것이 아니라고 한발 뺐다.

 

하얼빈역 /위키피디아
하얼빈역 /위키피디아

 

만주국은 동청철도를 오래 유지하지 못했다. 10년 후인 194589일 소련군이 태평양전쟁에 참가해 만주에 진입했다. 소련은 동청철도를 장악해 중국 국민당정부와 공동운영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이 때 소련은 과거 봉천군벌에게 했던 것처럼 말이 공동경영이지 사실상 독점을 시도했다. 소련은 만주를 소비에트공화국으로 전환해 연방에 포함시킬 의도를 갖고 있었다.

하지만 1949년 중국 공산당 정권이 수립되면서 동청철도(중동철도)의 반환을 요구했다. 소련은 더 이상 만주 소비에트 수립이나, 철도 소유의 명분을 잃게 되었다. 1949년부터 중국공산당과 소련의 협상이 시작되었고, 1950년 중소우호협정이 체결되면서 중동철도는 중국으로 이관하기로 양국이 타결을 보았다. 중동철도의 모든 권리는 19521231일 중화인민공화국에 이관하기로 되어 있었으나, 한국전쟁으로 연기되어 1955년에 중국에 넘어갔다.

현재 중국인 이 철도를 하얼빈-만주리철도(濱洲鐵路)로 개명해 운영하고 있다.

 


<참고자료>

Wikipedia, Chinese Eastern Railway

Wikipedia, Sino-Soviet conflict (1929)

Wikipedia, Return of the Chinese Eastern Railway

Wikipedia, Manchukuo

김지환, 철도를 둘러싼 동북아 각국의 각축전, 2014, 학고방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