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아틀라스뉴스
뒤로가기
공산권 붕괴
소련 70년⑩…스탈린 사후 정치범 석방, 자유주의 물결 대두
흐루쇼프, 스탈린 격하하다…제한적 해빙무드
2021. 04. 13 by 김현민 기자

 

니키타 흐루쇼프(Nikita Khrushchev)는 러시아 쿠르스크에서 빈농의 아들로 태어나 학교도 제대로 다니지 못했다. 그는 아버지를 따라 우크라이나로 이사해 온갖 노동을 했으며, 금속 숙련공이라는 이유로 1차 대전 시기에 징집령도 피했다. 1917년 혁명이 터지자 우크라이나 지역의 한 도시에서 소비에트 위원장에 선출되었고, 적백 내전에서 적군에 참여했다.

이 일자무식의 볼셰비키는 공장에서 뛰어난 리더십을 발휘했다. 그는 뒤늦게 스탈린 공업학교에서 건설학을 공부하던 중에 스탈린의 부인 나데즈다 알릴루예바를 알게 된다. 그녀와의 인연이 그의 출세에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다만 그는 터널공사 등 난공사를 해결하는데 돌파력을 보였고, 당에 대한 그의 무조건적 충성은 인정을 받았다.

흐루쇼프가 스탈린의 기록에 처음 등장한 것은 1932년이다. 스탈린은 흐루쇼프를 충직한 부하로 보았고, 흐루쇼프도 이 독재자를 성심껏 따랐다. 2차 대전 중 스탈린그라드 전투에 흐루쇼프는 열악한 상황에도 돌격명령을 내려 전세를 역전시키는데 공훈을 세웠다. 종전후 우크라이나와 모스크바에서 고위간부가 되었다. 스탈린의 대숙청 시기에 그는 인민의 적들을 찾아내 제거하는데 앞장 섰고, 걸려든 사람은 예외없이 사형에 처했다.

 

스탈린과 흐루쇼프(1936) /위키피디아
스탈린과 흐루쇼프(1936) /위키피디아

 

195335일 절대권력 스탈린이 사망하자, 소련의 권력에 공백이 생겼다. 공산당과 소비에트의 거물들이 서로를 견제하며 집단지도체제를 형성했다. 비밀경찰을 장악한 라브렌티 베리아(Lavrentiy Beria)가 선두에 섰고, 각료회의 의장(총리격)인 게오르기 말렌코프(Georgy Malenkov), 소비에트 의장 클리멘트 보로실로프(Kliment Voroshilov) 등 권력 서열 10위권이 부상했다.

베리아는 권력을 장악한줄 착각했다. 그는 스탈린 치하에서 가장 막강한 비밀경찰을 앞세워 개혁을 드라이브했다. 그의 개혁안에는 굴락에 수용되어 있는 정치범을 석방하고, 동독과 서독을 통합해 중립국화하는 방안이 포함되었다.

흐루쇼프는 당시 중앙위원회 총비서로 서열이 뒤쳐져 있었다. 하지만 그는 필요에 따라 노선을 바꾸며 경쟁자를 제거하는 스탈린의 권력 쟁탈 수법을 써먹었다. 우선 베리아의 급진적 노선에 불만을 품은 세력을 규합해 626일 베리아를 체포했다. 일종의 쿠데타였다. 베리아는 재판이 열리기 전에 판결문이 낭독되어 사형에 처해졌다.

흐루쇼프는 베리아를 숙청하면서 급부상했다. 이번엔 개혁조치를 쏟아내며 보수적인 말렌코프 일파를 밀어냈다. 보르실로프도 제거되었다. 흐루쇼프는 단계적으로 정적을 제거하면서 스탈린 사후 2년후인 1955년에 소련 권력의 1인자로 올랐다.

 

1956년 흐루쇼프의 비공개 연설문 /위키피디아
1956년 흐루쇼프의 비공개 연설문 /위키피디아

 

흐루쇼프는 스탈린의 정책을 더 이상 유지할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했다. 그는 1921년 이후 모든 반혁명 범죄를 재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수백만명의 정치범이 시베리아 수용소에 갇혀 있는 현실이 사회주의 방식인가라는 숨죽인 한탄을 그는 들었다. 스탈린에게 한번도 ’(no)라는 말을 하지 않았던 그는 스탈린을 부정하지 않고선 분출하는 인민의 자유주의 바람을 막을수 없다고 판단했다. 밑바닥에서 정상까지 오르게 한 그의 천부적 재능은 상황판단을 잘하는 것이었다. 그렇다고 그는 사회주의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그는 레닌주의 원리로 돌아간다는 명분을 찾아냈다. 스탈린의 강압주의는 인민의 자유와 민족의 자율을 부여하는 레닌의 사상에서 일시적으로 일탈했다는 논리를 생산해 냈다.

 

흐루쇼프는 강제노동수용소(굴락)와 정착촌에 유배된 정치범들을 죄질에 따라 부분적으로 석방했다. 1953년부터 1960년까지 200만명의 정치범이 수용소군도에서 나와 집으로 돌아갔다. 또 감옥에 갇혔던 100만명중 4분의3 가량을 복권시켰다.

수용소에서 돌아온 사람들은 자유를 원했다. 그들은 스탈린의 강권통치를 비판했다. 아직도 수용소에 많은 복역자들이 강제 노동에 시달리고 있었다. 가족들은 아버지와 어머니, 아들과 딸의 석방 소식에 귀를 기울였다.

 

흐루쇼프의 지시로 구성된 특별위원회는 스탈린 시대의 박해에 관한 방대한 자료를 모아 정리했다. 그 자료가 당 중앙위원회에 보고되었다. 이 자료를 발표해야 할 것인지를 놓고 지도부에서 치열한 논쟁이 오갔다. 스탈린 시대의 불법과 탈법을 모두 공개하자니, 체제가 위협받을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었다. 당 제1서기인 흐루쇼프도 대숙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지도부의 누구도 과거의 잘못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었다. 지도부는 논란 끝에 흐루쇼프가 전당대회에서 그 내용을 비공개로 낭독하고, 대외비로 붙이기로 결론을 내렸다.

 

1956년 제20차 소련 공산당 전당대회에서 연설하는 흐루쇼프 /위키피디아
1956년 제20차 소련 공산당 전당대회에서 연설하는 흐루쇼프 /위키피디아

 

1956225일 흐루쇼프는 제1서기는 제20차 소련공산당 전당대회에서 무려 5시간에 걸쳐 역사적인 연설을 했다. 내용의 골자는 스탈린 격하였다.

그는 스탈린을 서기장에서 해임하라는 레닌의 유언장, 키로프 암살 사주, 대숙청, 독소전쟁 당시 저지른 악행들을 열거했다. 흐루쇼프는 "우리는 스탈린 덕분에 독일을 이긴 것이 아니라 스탈린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겼다"면서 "스탈린은 천하의 악당이며, 용서받을 수 없는 독재자"라고 성토했다.

그는 비밀을 유지하라고 요청하면서 연설을 마쳤다. 그의 연설을 들은 각 공화국, 동구권 공산당지도자, 지방 당원들은 큰 충격을 받았다.

흔히 그의 연설을 비밀연설(Secret Speech)이라고 표현하는데, 비밀이 유지되지 않았다. 연설문이 지구당에 내려갔고, 소련 위성국에도 전해졌다. 그 사본의 하나가 뉴욕타임스에 건네져 64일자에 전문이 보도되었다. 뉴욕타임스 기사는 거꾸로 동유럽에 전해져 많은 시민들이 그 내용을 알게 되었다.

 

2008년 8월 러시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이 솔제니친의 장례식에 참석하고 있다. /위키피디아
2008년 8월 러시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이 솔제니친의 장례식에 참석하고 있다. /위키피디아

 

흐루쇼프의 비밀 아닌 비밀연설은 소련 지식인들에게 큰 기대를 낳았다. 지식인들은 서유럽의 자유주의가 도입되기를 기대했다. 다당제를 원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흐루쇼프는 스탈린 격하운동과 함께 사상과 문화에 대해 일종의 규제완화 조치를 시행했다. 흐루쇼프의 해빙(Khrushchev Thaw)은 곧바로 표현의 자유로 나타났다. 스탈린의 망령이 걷히자, 문학가들은 소비에트 체제의 삶을 묘사하는 작품을 썼다.

대표적인 작품이 블라디미르 두진체프(Vladimir Dudintsev)빵만으로 살수 없다”(Not by Bread Alone), 보리스 파스테르나크(Boris Pasternak)닥터 지바고”(Doctor Zhivago)였다. “닥터 지바고는 서방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어 파스테르나크에게 노벨 문학상이 수여되었는데, 그는 공산당의 압력으로 수상을 거부했다. 대미는 알렉산드르 솔제니친(Aleksandr Solzhenitsyn)이었다. 솔제니친은 이반데니소비치의 하루”(One Day in the Life of Ivan Denisovich), “수용소군도”(Gulag Archipelago)를 출간하면서 강제노동수용소의 진실을 파헤쳤다.

 

서구인의 소련관광도 개방되었다. 유럽인과 미국인들이 청바지 차림에 팝송을 즐기고 자유롭게 활동하는 것이 소련 젊은이들에게 파급되었다. 헐리웃 영화도 들어왔다. 영화 타잔’, ‘황야의 7은 인기를 끌며 소련인들의 사고와 행동방식에 충격을 주었다.

서구의 퇴폐풍조도 유입되었다. 196212월 흐루쇼프가 마네게 광장에서에서 열린 미술전에 참석해 작품들을 보고 깜짝 놀랐다. 퇴폐적이고, 성적으로 문란한 작품, 소비에트에 반하는 작품이 있었고, 그는 그 작품을 보고 분노했다. 이후 문화계의 해방이 종말을 고했다고 한다.

흐루쇼프의 해빙은 한계가 있었다. 그는 탈스탈린을 외쳤지만 레닌주의를 고수했다. 그가 풀어준 자유주의는 공산주의의 틀 안에서 한정되어 있었다. 그 한계는 동유럽 자유주의 운동을 탄압하는데서 드러났다.

 


<참고자료>

Wikipedia, Nikita Khrushchev

Wikipedia, On the Cult of Personality and Its Consequences

Wikipedia, Khrushchev Thaw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