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아틀라스뉴스
뒤로가기
공산권 붕괴
공산권 붕괴③…프라하의 봄 탄압 21년만에 민주정부 수립
가짜뉴스에 무너진 체코슬로바키아 공산정권
2021. 04. 28 by 김현민 기자

 

체코슬로바키아는 1968년에 이른바 프라하의 봄’(Prague Spring)이라는 민주화시위를 경험했다.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Socialism with a human face)를 표방한 알렉산드르 두브체크(lexander Dubček)가 제1서기에 오르면서 민주화를 추구했지만, 소련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그후 체코슬로비키아 공산정권은 인권과 민주화운동을 탄압했다. 그들은 사회주의국가가 영원히 유지될 것으로 믿었다.

하지만 198911월 체코슬라비아 공산정권은 시위가 벌어진지 1주일만에 붕괴되었다. 이는 동유럽 공산정권이 소련군에 의해 지탱된, 허약한 권력이었음을 입증한 사례에 불과했다. 고르바쵸프가 동유럽에 더 이상 군사개입을 하지 않을 것임을 천명한 이후, 체코슬로바키아 정권은 스스로 개혁과 개방을 추구했어야 했다. 하지만 이 나라의 공산주의자들은 폴란드와 헝가리, 동독에서 일어나는 거대한 물결을 거스르고 있었다.

체코와 슬로바키아인들은 폴란드의 자유노조운동, 헝가리의 민주화 조치, 동독인들의 탈출을 지켜보고 있었다. 정권이 국내 언론을 통제했지만 이웃나라에서 들어오는 전파는 그들의 눈과 귀를 막을수 없었다. 1989119일 체코슬로바키아인들은 드디어 동독과 서독을 가른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는 충격적인 모습을 보았다.

 

1989년 11월 프라하 도심의 시위대 /위키피디아
1989년 11월 프라하 도심의 시위대 /위키피디아

 

후에 벨벳혁명(Velvet Revolution)으로 명명된 체코슬로바키아의 민주화운동은 우연하게 출발했다.

19891117일은 국제학생의 날’(International Students Day) 50주년 기념일이었다. 이날은 프라하의 대학생들이 19391117일 나치 독일의 체코 점령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다 9명이 죽고 1,200명을 수용소에 끌려간 사건을 기념하는 날이었다.

행사 주체는 공산당 하부조직인 사회주의청년연맹이었다. 이날 오후 4, 고등학생, 대학생을 중심으로 15,000명이 프라하 시내에서 차분하게 행진을 했다. 미래에 공산당원이 될 청년들은 1시간여의 행진을 마치고 행사를 마무리했다. 그때 열혈청년 일부가 시내로 들어가지고 외쳤고, 군중은 프라하 시내로 이동했다. 대열 속에서는 조금씩 공산정권에 반대하는 구호가 나오기 시작했다.

530분 경찰은 나로드니가(Národní Street)에서 시위대를 막고 진압작전에 돌입했다. 이때 시위참가자 한 사람이 쓰러졌다. 경찰은 그를 앰뷸런스에 태워 싣고 갔다.

이 사태가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다. 함께 시위에 참여한 한 목격자는 쓰러진 시위자가 병원에 이송되어 사망했으며, 그 이름이 마르틴 스미트(Martin Šmíd)라고 주장했다. 목격자는 자신도 시위 도중에 다쳐 병원에 갔고, 그 병원에서 시위자의 사망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 소식이 유럽자유방송을 타고 흘러 나갔다.

 

나중에 밝혀진 일이지만, 이날 시위에서 죽은 사람은 없었다. 곤혹스럽게 된 공산정권을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카를대학 학생 가운데 마르틴 스미트라는 두 학생을 찾았는데, 한 학생은 시위에 가담하지 않았고, 다른 학생은 해산 직전에 빠져나와 멀쩡했다. 목격자로 지목된 다르고미라 드라츠카(Dragomíra Dražská)라는 여성은 끝까지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으나, 그후 정권이 바뀌어도 그녀의 주장은 규명되지 않았다. 현재로는 시위자 사망설은 루머였고 사망자는 가공의 인물이었다고 규정된다. 어쨌든 당시 체코슬로바키아에선 시위대 사망설은 사실로 믿어졌다. 이 가짜뉴스가 체코슬로바키아를 1주일간 흔든 것이다.

 

당시 체코슬로바키아의 공산당 서기장 밀로시 야케시(Miloš Jakeš)은 강경파였고, 총리 라디슬라프 아다메츠(Ladislav Adamec)는 온건파였다. 두 명의 학생이 아다메츠 총리의 자택으로 찾아가서 시위진압 과정의 일을 따졌다. 총리는 진상을 확인하겠다고 말했다.

벨벳 혁명에 불을 지른 사람들은 연극인들이었다. 시위대 사망설이 돌자 프라하의 대형극장들은 공연을 취소하고 관객들과 토론을 벌였다. 프라하예술대 학생들이 휴업 시위에 나섰다. 극작가이자 반체제인사인 바츨로프 하벨(Václav Havel)이 반정부조직으로 시민포럼(Civic Forum)을 결성했다. 시민포럼은 시위자사망 진상조사, 공산정권 지도부 퇴진, 정치범 석방을 요구했다.

정부는 TV방송을 통해 시위중 사망자가 없었다고 주장하며, 마르틴 스미트라는 학생을 내보내 자신이 죽지 않았음을 밝히도록 했다. 아무도 정부의 주장을 믿지 않았다.

 

1989년 11월 프라하 시위자들의 표어 /위키피디아
1989년 11월 프라하 시위자들의 표어 /위키피디아

 

1119일 시위는 슬로바키아 수도 브라티슬라바, 체코의 브르노, 오스트라바로 확산되었고, 예술가동맹, 문학가동맹이 반정부 성명을 내고 시위에 참여했다. 프라하 극장의 관객들도 하벨의 대열에 가담했다.

시위대는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났다. 112020만명이 시위에 참여했고, 그 다음날엔 50만명이 늘어났다.

1121일에는 80만명이 프라하 도심을 메웠다. 이날 로마카톨릭 보헤미아교구의 추기경도 학생들을 지지하며 정부를 비난했다. 시위대의 수위는 갈수록 높아져 헌법 개정, 복수정당제를 요구했다. 시민포럼은 노동자들에게 총파업을 요구했다. 학생들은 지방에 내려가 공장노동자를 설득했다.

 

경찰에게 꽃을 선물한 1989년 프라하 시위대 /위키피디아
경찰에게 꽃을 선물한 1989년 프라하 시위대 /위키피디아

 

1123일 국방장관은 군에 동원령을 내렸다. 아다메츠 총리는 군의 동원을 반대했다. 정권내에 강경파와 온건파가 논란을 벌인 끝에 군의 동원을 포기했다. 더 이상 시위대를 해산할 길을 없는 듯했다.

1124일 마침내 밀로시 야케시 공산당 서기장이 사임을 발표하고, 온건한 카렐 우르바네크(Karel Urbánek)가 서기장에 되었다. 이로써 1117일 우발적 시위가 시작된지 1주일만에 당서기장이 교체되고 벨벳혁명이 절정에 달하게 된다.

 

2010년 벨벳혁명 21주년 기념식에서 바츨라프 하벨 /위키피디아
2010년 벨벳혁명 21주년 기념식에서 바츨라프 하벨 /위키피디아

 

이후 벨벳혁명은 수습기에 들어갔다. 1127일 정오부터 오후 2시까지 전국적인 시한부 총파업이 전개되었다. 이 파업을 지지한 사람은 전국민의 75%에 달했다.

1127일 연방의회는 공산당 일당독재를 규정한 헌법조항의 삭제를 의결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오스트리아와 독일 국경에 설치된 철조망을 걷어 냈다.

1210일 구스타프 후사크 대통령이 사임하고, 1968프라하의 봄의 주역이었던 알렉산드르 두브체크가 연방의회 의장이 되었다. 1229일 의회는 바츨로프 하벨을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이로써 체코슬로바키아엔 공산당의 지배구조가 해체되었다.

 

19901월 체코슬로바키아 주둔 소련군 73,000명은 철수를 시작했다. 19906월에 실시된 자유선거에서 하벨의 민주정권이 압도적인 표결로 국민들의 지지를 얻었다.

민주정부 수립 이후 슬로바키아는 독립을 원했다.

1993년 체코와 슬로바키아는 연방해체를 결의하고, 합의에 의해 이혼을 했다. 이후 체코공화국과 슬로바키아공화국은 분리되었다.

 


<참고자료>

Wikipedia, Velvet Revolution

NYT, Ladislav Adamec, 80, Premier During Czechoslovak Revolution, Dies

Wikipedia, Czechoslovakia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