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가기
1920년 후반에 전통적 수묵화법에 서양화의 색채 기법 절충 시도
최초의 서양화가 고희동, 왜 동양화로 전환했나
2022. 10. 10 by 김현민 기자

 

창덕궁 담벼락을 따라 북쪽으로 가면 원서동이 나오고 그 끄트머리 쯤에 고희동 가옥이 있다. 고희동(高羲東, 1886 ~ 1965)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로 기록된다. 호는 춘곡(春谷)이다.

고희동은 고영철(高永喆)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역관인 아버지를 따라 한성법어학교에서 프랑스어를 공부했다. 1904년 궁내부 주사, 예식관 등의 관직을 역임하며 대한제국의 궁내 프랑스어 통역, 문서 번역을 담당했다.

1904년 을사보호조약이 맺어지자 관리 생활을 버리고 현실 도피책으로 그림을 시작했다. 당대에 어진(임금의 초상화)를 그리던 안중식과 조석진 문하에 드나들었다. 하지만 당시 화단은 중국의 화보를 베끼는 게 고작이었고, 이에 환멸을 느껴 궁내부 시절 외국인들과 접촉하면서 보았던 서양 그림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09년 국비 장학금을 받고 도쿄미술학교 서양화과에 들어가 일본에 최초로 서양 미술을 도입한 구로다 세이키 밑에서 그림을 배웠다. 19153월 미술학교 졸업 후 서양화가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경성부(서울) 중앙고등보통학교, 휘문고등보통학교, 보성학교, 중동학교의 교원으로서 유화를 가르치며 작품 활동을 했다. 이때 가르친 제자가 소설가이자 시인인 이상, 화가 도상봉, 간송 전형필이었다.

1918년 분가하면서 원서동에 집을 지었는데, 그 집을 고희동이 직접 설계했다.

 

서울 원서동 고희동 가옥 /김현민
서울 원서동 고희동 가옥 /김현민

 

1920년 후반에 그는 동양화로 전향했다. 그는 전통적 수묵화법에 서양화의 색채 및 기법을 쓰는 절충양식의 새로운 한국화를 시도했다.

당시 그는 이렇게 말했다. “회화예술이란 무엇인가. 꼭 서양화가를 고집해야 할 이유가 나에게 있는가. 서양화는 지금의 사회와 아주 동떨어진 예술이 아닌가. 동양화나 서양화나 그림에는 다를 것이 없다. 그리고 사회는 동양화를 요구하고 있다.”

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 서양화는 생소했다. 고희동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라는 딱지를 달았지만 당시 조선사회와 신미술 사이에는 괴리감이 켯다. 그는 흑백의 동양화에 실경을 묘사하고 색채를 넣었다. 서양화의 기법을 동양화에 가미한 것이다. 고희동은 특히 청색을 좋아했는데, 후반에 갈수록 대담한 필치와 화려한 원색을 화폭에 구현했다.

 

고희동 상(원서동 가옥) /김현민
고희동 상(원서동 가옥) /김현민

 

해방이 되고 1945년 조선미술협회 초대회장, 1950년 대한미술협회 회장, 1954년 대한민국예술원 초대회장을 역임했고, 대한민국미술전람회(1~9) 심사위원으로 활동했다. 정계에도 진출해 1960년 민주당 참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1965년 향년 80세로 타계했다.

 

​남호추수벽어람 /종로문화재단​
​남호추수벽어람 /종로문화재단​

 

그가 살던 서울 종로구 원서동의 가옥은 서울시 등록문화재 84호로 지정되었고, 그가 그린 부채를 든 자화상은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부채를 든 자화상” /종로문화재단
“부채를 든 자화상” /종로문화재단
화조도 /종로문화재단
화조도 /종로문화재단
유해 금강도 /종로문화재단
유해 금강도 /종로문화재단
산수인물화 /종로문화재단
산수인물화 /종로문화재단
산수화 /종로문화재단
산수화 /종로문화재단
자화상 /종로문화재단
자화상 /종로문화재단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