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가기
삼척항로는 서풍 기다리고 수종 있어 문제…나중에 월송항로 이용
울릉도 수토사의 뱃길⑤…해류와 바람을 타다
2022. 11. 02 by 이효웅 해양전문가

 

(에서 계속)

. 맺음말

 

울릉도 수토사의 뱃길은 수토 초기에는 삼척 영장이 있는 삼척포와 월송 만호가 있는 구산포에서 교대로 출항하였다. 삼척에서는 서풍에서만 울릉도를 갈 수 있는데, 수토 시기인 46월에는 서풍이 많지 않아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했다. 그래서 삼척진영에서 출항하여 장오리와 죽변진으로 이동하면서 서풍을 기다렸다. 그리고 삼척 항로에는 수종 지역이 있어서 해난사고를 자주 일으켰다. 그러나 월송 항로는 구산포에서 남서풍(남풍)과 동한난류를 이용하여 순풍항해를 하여 삼척 항로보다 안전성과 효율성이 좋았다. 그리고 울릉 항로의 경험 축적으로 수토사들은 삼척 항로의 문제점을 건의하여 수토 중기부터 월송 항로가 정식 항로가 되었다. 수토 말기에는 울릉 항로에 나침반 항해를 하면서 더 빠르고 더 안전한 항해를 할 수 있었다.

해류병 실험을 통해 울릉 항로의 특성을 살펴보니, 삼척에서 6월에는 동한난류가 강하지 않았으나 7월에는 동한난류가 강하였다. 울릉 항로 80100km 지역에서 소용돌이 해류로 역류가 발생하여 수종을 일으키는 두 곳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초여름의 서풍으로 발생하는 냉수대의 안개는 한류가 표층으로 올라오면서 발생하는데, 삼척 장호리를 경계로 남쪽에는 안개가 거의 없다. 이 현상은 장호리 해저의 만곡지형 안쪽에서 북한한류가 상승하면서 안개를 만들고 동한난류는 밖으로 밀려서 외양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류와 난류는 삼척지역 연안에서 만나 울릉도 조경 수역으로 이동한다고 본다.

 

이효웅 해양탐험가 /본인 제공
이효웅 해양탐험가 /본인 제공

 

연구자는 울릉도 수토사의 뱃길을 직접 항해 및 체험을 해보았고, 아울러 해류병 실험을 통해 조선시대 수토사의 울릉 항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삼척 항로는 서풍과 수종 지역 두 곳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둘째, 삼척-울릉 항로의 해류병실험에서 80100km 지역 두 곳에서 3개의 해류병이 역류하였다.

셋째, 수종은 항해와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김인우해산 지역에서 저기압이 동해상으로 지날 때 소용돌이 해류에서 발생한다.

넷째, 초여름의 동한난류는 삼척 장호의 해저 만곡지형부터 북한한류를 만나 안개를 만들고 외양으로 이동한다.

다섯째, 월송 항로는 남서풍과 동한난류를 이용한 순풍 항해를 하였다. 그러나 귀항할 때 는 동풍을 받아 삼척 연안에 모여서 남쪽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에 귀항이 더 힘들었다.

여섯째, 수토말기에는 나침반 항해를 하면서 더 빠르고 안전한 항해를 하였다.

일곱째, 조선시대 울릉도 수토 62회 일람표월송 만호 121명 일람표를 만들 어 울릉도 수토를 체계적으로 알 수 있게 하였다.

여덟째, 조선 어민들이 다녀온 요도·삼봉도·우청도는 독도라고 추정된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울릉 항로에서 나타나는 수종의 원인과 장호 해저의 만곡지형에 따른 해류의 변화를 계절별로 면밀히 조사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2017년 독도에 표류한 북한 어민들처럼 조선 어민들이 다녀온 삼봉도·요도·우청도는 독도라고 추정되므로 독도 표류항로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이효웅 해양탐험가 /본인 제공
이효웅 해양탐험가 /본인 제공

 


참 고 문 헌

 

도서

  • , 배재홍 옮김, 국역 척주 선생안, 삼척문화원, 2003.
  • , 삼척도호부 암각문 연구, 퍼플, 2020.
  • 편저, 배재홍 옮김, 삼척향토지, 삼척시립박물관, 2016.
  • , 육향정, 가락삼척종친회, 1984.
  • , 독도·울릉도의 역사, 영남대학교독도연구소 독도연구총서, 경인문화사, 2007.
  • ,라페루즈의 세계 일주 항해기, 국립해양박물관, 번역총서 1. 2016.
  • , 문헌·금석문 자료로 본 두타산 무릉계,동해문화원, 2005.
  • , 삼척군지, 강원일보사출판국, 1984.
  • , 박미현 편저, 울릉도·독도 품은 강원도 사람들, 삼척시·강원도민일보, 2012.
  • 토시테루 저, 권정 역, 안용복과 원록각서,한국학슬정보, 2011.
  • , 흉허물 없는 사람 있소?, 비지아이, 2021, 174.
  • (宇田道隆),水産試驗場報告5, 수산시험장, 昭和 93(1934).
  • /이한길, 정라진 문화사,삼척포진 영장, 삼척시립박물관, 2016.
  • , 독도견문록, 웅진싱크빅, 2008.
  • , 독도강치 멸종사, 서해문집, 2016.
  • , 이장우 역, 지도해설 독도의 진실, 일본학자가 조사한 독도는 한국 땅, 부산민족학교 독도학당, 2017, 9395.
  • 유지· 세종대 독도종합연구소 저, 대한민국 독도, 성인당, 2010, 16.

 

논문

  • ·이규태, 1932년 일본의 동해 해양조사의 숨은 배경과 과학적 의미, 수산교육연구29권 제5, 통권 89, 2017, 13771379.
  • , 봄철 영동지역 국지 하강풍 메커니즘과 지형 효과에 대한 연구, 2006. Atmosphere, 16(2), 67.
  • , 독도의 영유권 확립을 위한 연구, 연구결과보고서, 영남대학교독도연구소, 2010, 6465.
  • ·김수윤·최병주·변도성, 1991년부터 2017년까지 표층 뜰개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동해의 평균 표층 해류와 해류 변동성, 바다, 한국해양학회지, 2019, 211~212.
  • , 수토사 장한상의 관력과 주요 행적, 이사부와 동해16, 한국이사부학회, 2020, 138141.
  • , 조선후기 울릉도 수토제도의 주기성과 그 의의,이사부와 동해6, 한국이사부학회, 2013, 160182.
  • , 울릉도 수토와 장한상,이사부와 동해5, 한국이사부학회, 2013, 5059.
  • , 조선후기 수토기록의 문헌사적 연구」「울릉도 수토 연구의 회고와 전망,한일관계사 연구통권 51, 한일관계사학회, 2015, 103105.
  • , 조선전기 요도와 삼봉도의 실체에 관한 연구, 한일관계사연구44, 2013, 57~78.
  • ,안용복의 도일활동과 그 의미,이사부와 동해16, 한국이사부학회, 2020, 9398.
  • , 조선시대 울릉도 수토정책(搜討政策)에 대한 고고학적 시·공간 검토,영토해양연구6, 동북아역사재단, 2013, 176180.
  • , 울릉도독도의 명칭 변천과 독도인식의 연속성, 해양정책연구 2021년 겨울호362, 3437.
  • , 월송포 진성 발굴 의의와 울릉도 수토 출발지 변천사,이사부와 동해5, 한국이사부학회, 2013, 113117.
  • , 해류병 실험을 통해 본 이사부함대의 동해 항로,이사부와 동해16, 한국이사부학회, 2020, 237255.
  • , 검찰사 이규원의 생애와 영토수호 활동,이사부와 동해16, 한국이사부학회, 2020, 163168.

정연식, 15세기의 蓼島, 三峯島와 울릉도, 조선시대사학보92, 2020, 4194.

  • , 무릉등처안무사 김인우의 활동에 대하여, 이사부와 동해16, 한국이사부학회, 2020, 5373.

선우영준, “조선 성종때 발견한 삼봉도는 독도가 맞다”, 한겨레(2007.10.27.).

  • (db.history.go.kr/index.jsp), 한국고전번역원(db.itkc.or.kr),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Google Earth Pro, 네이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