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장성군 삼계면 수옥리에 위치한 평림댐이 8월 21일을 기점으로 가뭄 ‘심각’ 단계에 진입했다고 환경부가 밝혔다. 평림댐은 영산강 수계에 있다.
이는 남부지방에 비가 충분히 내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올들어 8월 22일까지 평림댐 유역에 내린 강수량은 544㎜로 예년 대비 57%에 불과한 수준이다. 이로 인해 평림댐은 지난 6월 19일 가뭄 ‘관심’ 단계에 진입했으며, 7월 2일 ‘주의’ 단계, 8월 21일 ‘심각’ 단계로 격상되었다.
남부지방 11곳 댐 가운데 ‘심각’ 단계에 진입한 댐은 경북 청도의 운문댐을 포함해 2곳으로 늘어났다. 현재 ▲관심단계에 있는 댐은 군위댐, 연초댐 2곳이며, ▲주의 단계는 안동댐・임하댐・영천댐, 밀양댐, 합천댐 등 5곳, ▲경계단계는 주암댐・수어댐 2곳, ▲심각단계는 운문댐, 평림댐 2곳이다.

평림댐은 용수댐인데, 댐 용수공급 조정기준에 따라 가뭄단계를 관심-주의-심각 3단계로 구분해 용수공급량을 관리하고 있다. 환경부는 가뭄 ‘주의’ 단계부터 평림댐의 하천유지용수 전량(0.35만톤/일)을 감량했고, 농업용수는 탄력적으로 감량해 현재 농업용수의 50%(0.85만톤/일)를 감량하여 공급하고 있다. 환경부는 가뭄 ‘관심’ 단계부터 한국농어촌공사와 협력, 인근 농업용 저수지 2곳(장성호, 수양제)과 연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평림댐의 용수 일부(최대 1.5만톤/일)를 대체 공급하고 있다.
현재 평림댐에서 담양군과 장성군에 공급하는 생활·공업용수(2.38만톤/일)는 차질 없이 공급하고 있다고 환경부는 밝혔다.
환경부는 평림댐의 가뭄상황이 더 심화될 경우에 대비, 담양군, 장성군 등을 대상으로 물 절약을 독려하고 있다. 또 물 사용량을 줄인 지자체에 수도 요금을 지원하는 ‘자율절수 수요 조정제도’에 해당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