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제르로 완성된 아프리카 쿠데타 벨트
니제르로 완성된 아프리카 쿠데타 벨트
  • 박차영 기자
  • 승인 2023.08.26 21: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헬지역 쿠데타, 국제분쟁화…ECOWAS 군사행동 움직임에 지역 군부 동맹

 

아프리카 사헬지대(Sahel zone)는 사하라 사막과 사바나기후 지역 사이에 넓게 띠 모양으로 분포하는 반건조기후 지대를 말한다. 사헬은 아랍어로 '가장자리' 또는 '변두리'를 뜻하는 단어로, 대략 북위 12°~20°에 위치하며, 폭은 약 200~300km, 길이는 약 6,400km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을 이루고 있다.

사헬지역의 나라들에 최근들어 쿠데타가 빈발, 쿠데타 벨트(Coup Belt)라는 오명일 뒤집어 쓰고 있다. 726일 민주적 절차로 대통령을 선출하고 상대적으로 안정된 민주주의를 운영해온 니제르에서 쿠데타가 발생, 쿠데타 벨트가 완성되었다. 쿠 벨트에 포함되는 나라는 동부 수단에서 시작해 차드, 니제르, 말리, 부르키나파소를 거쳐 서쪽 기니에 이른다. 이중 수단만 영국 식민지를 거쳤고, 나머지 나라들은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았다.

가장 최근의 쿠데타를 꼽아보면, 20208월 말리, 20215월 말리, 20219월 기니, 20214월 차드, 202110월 수단에서 일어났다. 부르키나파소에서는 20221월과 9월에 두 번 일어났고, 가장 최근의 쿠데타가 지난 7월의 니제르다. 기니 비사우에서도 20222월 쿠데타 시도가 있었으나, 불발로 끝나고, 갬비아에서도 지난해 불발쿠데타가 있었다. 인근 시에라레온에서도 올 8월에 쿠데타 시도가 있었다.

대부분 가난한 나라다. 통계에 의하면, 1990년 이래 사헬지역에서 27번의 쿠데타가 일어났는데, 이중 80% 가까이 프랑스 식민지에서 독립한 나라에서 일어났다. 일부에서는 프랑스가 구식민지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에서 쿠데타를 자초한 것이란 비난이 제기된다.

 

아프리카 쿠데타 벨트 /위키피디아
아프리카 쿠데타 벨트 /위키피디아

 

니제르는 아프리카 중심부에 있고, 인구도 2,500만명이나 되는 중견국이다. 특히 우랴늄 매장이 세계 4위다. 미국과 유럽은 지정학적으로 니제르를 아프리카의 린치핀(linchpin)으로 중시했으나, 이 나라도 쿠데타에 휘말리게 되었다. 민선 대통령인 모하메드 바줌 대통령이 12년동안 경호부대를 장악해온 압두라흐마네 치아니를 해임하는 과정에서 치아니가 쿠데타를 일으켜 대통령을 실각시킨 것이다.

서부아프리카 국가들은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 Economic Community of West African States)를 조직해 EU처럼 경제와 안보 면에서 공동행동을 하고 있다. ECOWAS는 니제르 군부에 바줌 대통령의 복귀를 요구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군사행동을 취할 것임을 경고했다. 니제르 군부는 이를 거부했다. 니제르 쿠데타 세력은 이웃 말리와 부르키나 파소의 쿠데타 세력과 공조해 ECOWAS에 대항하는 한편, 러시아의 용병기업인 바그너 그룹에게도 지원을 호소했다.

 

니제르 군부는 현지시간 825일 실뱅 이테 니제르 주재 프랑스 대사에게 48시간 이내에 니제르를 떠날 것을 요구했다. 니제르, 말리, 부르키나 파소의 쿠데타 세력들은 반프랑스 공동전선을 펴고 있다. 세나라의 쿠데타 세력은 정권을 합리화하는 수단으로 반프랑스 정서를 활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프랑스는 식민통치 시절에 가혹하게 탄압하고 착취했으며, 문화이식, 인종차별 행동을 벌여 사헬 지역 주민들에 반감을 크게 샀고, 그 잔재가 지금도 강하게 남아 있다.

니제르에 앞서 말리와 부르키노 파소에서도 프랑스 대사의 철수를 요구한 바 있다. 니제르 군부는 프랑스가 니제르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했다고 이유를 댔다. 쿠데타가 발생하기 전에 니제르는 프랑스와 협력해 지하드의 폭력에 맞서 싸웠고, 프랑스는 니제르에 대테러작전을 이유로 2,000여명의 병력을 주둔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서방이 밀려난 지역에 러시아 기가 올라가고 있다고 했다. 러시아 바그너 그룹의 입장에서 수장이었던 예브게니 프리고진의 쿠데타 시도와 죽음 이후 기로에 있는 상황이지만, 아프리카에서 돌파구를 찾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아프리카 국가별 쿠데타 성공회수(2023년 8월 1일 기준) /위키피디아
아프리카 국가별 쿠데타 성공회수(2023년 8월 1일 기준) /위키피디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