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위 혼잡도’ 예측 모델 나왔다
‘바다위 혼잡도’ 예측 모델 나왔다
  • 아틀라스
  • 승인 2024.01.24 17: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공데이터 활용해 해상선박 혼잡도 72시간후까지 예측…격자별 혼잡도 차등표시

 

우리나라 연안은 아주 붐빈다. 특정기간 또는 시간에 한 장소에 배가 집중적으로 몰려 혼집을 이루는 경우도 허다하다. 따라서 선박 충돌사고도 잦다. 중앙해난심판원에 따르면, 2018~2022년 사이에 2,479건의 해난사고가 났는데, 이중 31.5%782건이 충돌사고였다.

이에 정부는 해양 안전사고 예방과 해양 교통정책 수립을 위해 각 기관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해상 혼잡도 예측분석 모델 개발을 마치고 대국민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선박간 충돌사고 예방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모델은 현재 해수부와 해양경찰청에서 각각 관리하고 있는 선박위치 데이터(AIS:해수부, V-PASS:해양경찰청)를 통합분석하여 해상 혼잡도를 예측한 사례로서 국내에서는 처음이다. 행정안전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와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은 지난해 7월부터 공공데이터 분석을 통해 해상 선박사고 예방에 활용될 해상 혼잡도 예측 모델개발을 추진해 왔다. 모델개발 과정에는 선박위치데이터(선박의 위도, 경도, 속도)와 선박제원정보(길이, 너비, 종류), 기상정보(파고, 해상풍) 등 약 9억 건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격자별 해상혼잡도 조회 /행안부
격자별 해상혼잡도 조회 /행안부

 

예측 모델은 선박의 구역 내 체류시간, 선박의 제원 정보를 토대로 일정구역 내 유효선박면적을 산출하고 해상의 기상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혼잡도를 예측하게 된다.

모델은 배타적 경제수역(EEZ) 전체와 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일부 해역의 혼잡도를 조회일 기준 3(72시간)까지 1시간 단위로 예측한다. 예측된 정보를 통해 해역을 최소 2.5km×2.5km 격자로 세분화하고 격자 단위 유효선박면적을 토대로 낮음, 보통, 높음, 매우높음의 4단계로 혼잡도를 지도상에 표출하게 된다.

 

제주 인근 혼잡도 예측결과(1월 17일 04시) /행안부
제주 인근 혼잡도 예측결과(1월 17일 04시) /행안부

 

행정안전부는 이번에 개발된 모델이 해양 레저활동과 관련된 사고를 예방하고 관계 기관의 해양 정책추진 등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육로에 비해 장거리 이동이 많은 해상에서 항로 설정시 예측 혼잡도가 높은 해수역은 우회할 수 있고, 낚시·스노클링 등 해양레저활동을 위한 정박시 안전한 위치선정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게 된다. 또 해상 안전관리 기관은 해상혼잡도의 상시 모니터링을 통해 여객선 등 운행선박에 대한 상황전파 등 선제적 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

해양수산부와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은 혼잡도 예측모델을 국민이 안전한 해양레저 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1월 중 공단이 운영하는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을 통해 개방하고, 상반기 중 공단 선박모니터링시스템(VMS)에 연계하여 여객선 안전운항관리 업무에 활용할 예정이다.

김준희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국장은 관련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융합해, 국민 안전수준을 높이는 실질적 계기를 마련했다, “데이터를 통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디지털플랫폼정부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