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왕궁터에서 갑옷. 백제 멸망의 흔적일까
부여 왕궁터에서 갑옷. 백제 멸망의 흔적일까
  • 이인호 기자
  • 승인 2024.02.27 11: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북리유적에서 불 탄 목탄과 함께 칠피갑옷 출토…멸망 당시 혼란 상황 추정

 

백제가 멸망할 당시 수도였던 부여의 왕궁터에서 검은 숯과 함께 갑옷이 발굴되었다. 이런 모습은 백제가 멸망하는 순간에 혼란스러웠던 상황의 일면을 보여준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부여 관북리유적 백제 사비기 왕궁시설로 추정되는 건물지의 구덩이에서 칠피갑옷을 발굴했다고 발표했다. 칠피갑옷은 옷칠한 가죽을 연결해 만든 갑옷이다.

 

관북리 2호 수혈 칠피갑옷 세부 /문화재청
관북리 2호 수혈 칠피갑옷 세부 /문화재청

 

철피갑옷은 왕궁의 조당(朝堂)로 추정되는 장랑식 1호 건물지의 구덩이에서 출토되었다. 처음에는 매우 얇은 조각 일부만 노출되어 갑옷으로 단정할 수 없었으나, 발굴조사가 진행됨에 따라 유물이 점차 모습을 드러내면서 겹겹이 쌓인 모서리를 둥글게 만든 사각형의 미늘과 각각의 미늘을 연결했던 원형의 구멍을 확인하였다. 이후 출토 조각의 성분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옻을 칠한 갑옷임을 알 수 있었다.

출토된 총 6점의 칠피갑옷 중 2호 수혈유구에서 확인된 갑옷이 비교적 잔존상태가 양호하다. 전체 크기는 잔존 폭이 18.2cm, 잔존 너비 49.2cm이고, 개별 미늘의 길이는 7.5~7.8cm, 너비 4.2~4.4cm이며, 미늘을 연결하기 위한 원형의 구멍은 0.2~0.3cm이다.

2호 수혈유구 주변의 기와폐기층에서는 말 안장 부속품 중 발 받침대인 등자가 출토되었고, 3호 수혈유구에서는 말의 아래턱 뼈로 추정되는 동물유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주변 출토유물 상황과 갑옷의 형태를 고려할 때 2호 수혈유구에서 출토된 갑옷은 말갑옷(馬甲)으로 추정된다.

백제시대 문화층에서 칠피갑옷이 출토된 사례는 공주 공산성(2011) 이래로 부여 관북리유적이 두 번째다. 또한, 관북리유적과 공주 공산성에서 발견된 칠피갑옷과 동일하게 주변에 폐기된 다량의 유물과 불에 탄 목탄이 함께 출토되었다. 이것은 백제 멸망 당시의 혼란스러웠던 사회 상황의 일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관북리유적 칠피갑옷 투공 흔적 /문화재청
관북리유적 칠피갑옷 투공 흔적 /문화재청

 

관북리 유적은 부소산성 남쪽에 위치하며, 백제의 마지막 왕궁터로 추정되는 곳이다. 이곳엔 1982년부터 발굴조사가 시작된 이래 대형 전각건물지와 연못지 등 왕궁과 관련한 중요 유구가 확인되었고, 21일부터 16차 발굴조사가 진행 중이다.

2023년 조사에서는 백제 사비기의 건물지 세 개의 동이 남북방향으로 길게 확인되었는데, 궁과 사찰에서 주로 사용하는 중심건물 주변을 둘러싸도록 기다랗게 만든 이른바 장랑식(長廊式) 건물로, 위치와 규모 등을 고려할 때 왕궁 내 조당 공간의 일부로 추정된다.

 

관북리유적 2호 수혈 칠피갑옷 출토 모습 /문화재청
관북리유적 2호 수혈 칠피갑옷 출토 모습 /문화재청
관북리유적 말 안장구(등자) 출토 모습 /문화재청
관북리유적 말 안장구(등자) 출토 모습 /문화재청
관북리유적 말뼈 중 하악골 출토 모습 /문화재청
관북리유적 말뼈 중 하악골 출토 모습 /문화재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