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共 건국④…몽골은 왜 갈라졌나
中共 건국④…몽골은 왜 갈라졌나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1.12.17 14: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련에 의해 외몽골 독립…네이멍구 자치에 우란푸의 역할 지대

 

역대 중원의 왕조들은 고비사막을 경계로 몽골족을 막남(漠南)과 막북(漠北)으로 나눴고, 청조는 외몽골과 내몽골로 분류했다. 1912년 청조가 멸망하자 외몽골은 곧바로 칸국(khanate)으로 독립했다가 베이징 군벌에 의해 붕괴되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의 파도가 밀려오면서 외몽골은 적군과 백군의 싸움터가 되었으며, 1921년 외몽골은 소련의 지원에 힘입어 몽골인민공화국으로 독립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외몽골은 소련의 위성국가에 지나지 않았다.

내몽골(네이멍구)은 중국령으로 남아 있었지만 1933년 러허(熱河)성이 일본의 괴뢰국인 만주국에 점령되었다. 이어 1939년에 차하르(察哈爾)성과 쑤이위안(綏遠)성에서 칭기즈칸의 후손인 데므치그돈로브(德王)가 몽장국(蒙疆國)을 수립했다. 이 나라도 관동군의 지원으로 수립된 일본의 괴뢰국이었다.

194989일 소련군이 만주로 진격하기 직전에 몽골의 옛영역은 소련의 위성국과 일본의 괴뢰국으로 분리되었다. 몽골 분리주의자들이 각기 외세를 끌어들여 나라를 세웠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국민당과 공산당은 외몽골과 내몽골의 국가 수립을 인정하지 않고, 모두 중국의 영토라고 주장했다.

 

1942~1944년 동아시아의 일본 괴뢰국과 점령지 /위키피디아
1942~1944년 동아시아의 일본 괴뢰국과 점령지 /위키피디아

 

소련의 태평양전쟁 참전 조건에 외몽골 독립이 포함되었다. 외몽골군은 2차 대전 중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독일군에 대해 혁혁한 전과를 세웠다. 스탈린은 외몽골을 중국에 돌려주어선 안 되겠다고 마음을 먹었다.

19452월 얄타회담에서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과 영국의 처칠 총리는 태평양전쟁에 소련군을 끌어들이기 위해 스탈린을 설득하는데 주력했다. 스탈린은 외몽골의 독립을 조건으로 요구했다. 말이 독립이지, 소련의 위성국으로 유지시키겠다는 것이었다. 중병에 걸려 있던 루스벨트는 쉽게 스탈린의 요구를 받아들였고, 처칠은 인도를 구하기 위해 동의했다. ··소 지도자들은 이 조건을 비밀조항으로 숨겼다. 뒤늦게 밀약을 알게 된 장제스는 처남 쑹쯔원(宋子文)을 모스크바에 보내 항의했지만, 스탈린은 중국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았다.

 

1945년 10월 독립여부를 묻는 몽골 국민투표의 선전물(왼쪽)과 투표용지(오른쪽) /위키피디아
1945년 10월 독립여부를 묻는 몽골 국민투표의 선전물(왼쪽)과 투표용지(오른쪽) /위키피디아

 

194589일 새벽, 소련군 100만 대군이 만주국 국경을 넘었고, 다음날인 10일 몽골인민공화국은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고 2만명을 파병했다. 국민정부는 내륙 깊숙한 충칭으로 후퇴해 있었고, 공산정부도 산시성 옌안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소련은 국민정부를 정통정부로 인정하고 외몽골 독립의 조항이 포함된 중소우호조약을 요구했다. 장제스 정권은 일본이 항복을 선언하기 하루전인 814일 이 조약에 서명했다. 이로써 중국은 외몽골의 독립을 인정하게 되었다. 다만 조건이 있었다. 외몽골 국민을 대상으로 국민투표를 실시해 독립여부를 묻는다는 것이었다.

국민투표는 그해 1020일에 실시되었다. 투표에는 국민정부 사람들도 참관했다. 개표 결과, 전체 유권자의 98.47%가 투표에 참여해, 투표자 전원(100%)이 독립에 찬성했다. 반대표는 한표도 없었다. 장제스는 더이상 따지지 않았다. 중화민국 정부는 194615일 몽골의 독립을 승인하고, 25일에 정식으로 국교를 수립했다.

 

우란푸(오른쪽)와 내몽골 인민회의 대표들. /위키피디아
우란푸(오른쪽)와 내몽골 인민회의 대표들. /위키피디아

 

일본 괴뢰정권 치하의 내몽골에선 국민군과 공산군의 유격부대가 괴뢰국 또는 일본군에 대항해 투쟁을 벌였다. 내몽골에선 1,700명 정도가 국민당 군대에 참여했다.

내몽골 공산군은 우란푸(烏蘭夫)에 의해 조직되었다. 우란푸는 1907년 내몽골 투모터좌기(土默特左旗)의 유목민 아들로 태어나, 192417살의 나이에 공청(공산당청년연맹)에 가입한 후 공산당 활동에 뛰어들었다. 베이핑(베이징)에서 대학을 공부하고, 모스크바에서 장제스의 장남 장징궈(蔣經國)와 함께 수학했다. 1929년 공부를 마치고 내몽골로 돌아가 공산당 조직운동을 시작했다. 그는 공산군을 조직해 중일전쟁에서 내몽골로 진격하는 일본군과 싸웠고, 1941년 중공의 거점인 옌안으로 가 내몽골 대표로 활동했다.

 

19458월 소련군이 만주에 진격하고 일본의 괴뢰정권인 만주국과 몽장국이 해체되었다. 곧이어 내몽골에도 중국에서 독립하자는 운동이 잠시 있었다. 99일 내몽골의 좌파지도자 80여명이 쑤니터우기(蘇尼特右旗)에 모여 내몽골 인민공화국 수립을 결의했다.

이들은 울란바토르에 대표단을 보내 몽골인민공화국(외몽골)과 통합할 것을 요청했다. 외몽골은 그 요청을 거절했다. 외몽골은 이 때 중소우호조약에 의해 국민투표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었고, 안팎의 몽골이 통일을 도모할 경우 소련과 중국이 견제할 가능성을 우려한 것이다. 외몽골은 제코가 석자였고, 내몽골 독립을 도와줄 여력이 없었던 것이다.

중공과 국민정부도 내몽골의 독립을 반대했다. 국민당 정부는 군대를 내몽골에 파병했고, 공산정부도 우란푸를 보내 좌파들을 설득했다. 중국공산당은 내몽골 분리주의를 우려했다. 우란푸는 내몽골의 독립보다는 자치를 원했다.

우란푸는 내몽골 상황을 접수하고, 인공의 해체를 명령했다. 내몽골인민공화국은 두달을 버티지 못하고 그해 116일 해체되었다. 우란푸는 중공에 내몽골의 독립 대신에 자치를 확대할 것을 요청했고, 공산당 지도부도 이에 동의했다.

 

내몽골자치구 후룬베이얼 /위키피디아
내몽골자치구 후룬베이얼 /위키피디아

 

이후 국공내전이 시작되었고, 우란푸가 이끄는 내몽골 공산부대는 핑진전투, 랴오선전투 등 주요전투에서 국민군을 섬멸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1947년 내몽골을 중국에서 최초의 자치구가 되었으며, 우란푸는 내몽골자치구 주석에 취임했다.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마오쩌둥은 외몽골의 독립을 승인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중공과 소련은 우호적 관계에 있었고, 마오쩌둥은 스탈린을 거역하지 않았다. 19491016일 중공은 몽골인민공화국과 수교했다.

내전을 종식시킨 후 중공 지도부는 우란푸를 비롯해 내몽골 공산주의자들의 도움을 보답하는 차원에서 자치구의 영토를 확장시켜 주었다. 서쪽 간쑤·닝샤의 몽골족 거주지역 일부와 헤이룽장성의 후룬베이얼(呼倫貝爾)을 떼서 내몽골에 붙였다. 후룬베이얼의 면적은 26. 남북한을 합친 것보다 넓다. 후룬베이얼이 따라오면서 내몽골(네이멍구)의 전체 면적은 118로 한반도의 6배나 될 정도로 넓어졌다. 면적에서 내몽골은 외몽골(몽골인민공화국)156보다 다소 좁지만, 인구에서 내몽골은 2020년 기준 2,400만명으로, 외몽골의 335만명보다 훨씬 많다.

몽골의 인구 구성은 몽골부족의 일원인 할하족이 86%를 차지하고, 또다른 몽골족인 오이라트족, 부라야트족과 투르크족이 나머지 14%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비해 내몽골의 인구 구성은 한족이 79%, 몽골족 17%, 만주족 2% 등으로 되어 있다. 외몽골은 순수 몽골족의 나라인데 비해 내몽골은 한족화가 이미 성숙 단계에 이른 상태다..

 

한족 중 일부는 몽골족 출신인 우란푸가 내몽골을 통치하는 것을 못마땅해 했다. 1966년 문화혁명이 일어났을 때 우란푸는 홍위병에 의해 수모를 당했다. 홍위병들이 내몽골로 진입해 오자 우란푸는 군대를 보내 저지하려 하다가 실패했다. 홍위병들은 우란푸에게 내몽골을 독립왕국처럼 지배했다고 비난하고 그를 자치구 주석 자리에서 끌어 내렸다.

문화혁명 10년 동안에 내몽골에선 34만여명이 체포되고 16,000여명이 살해되고 8만여명이 부상당하거나 불구가 되었다. 우란푸는 자리를 잃었지만 베이징의 동료들의 구조로 신체적 피해를 입지 않았다.

홍위병들의 주장에 의해 내몽골의 면적은 얫만주의 후룬베이얼과 간쑤와 닝샤의 영역을 원래대로 복귀시키는 바람에 크게 크게 줄어 들었다. 하지만 마오쩌둥이 사망하고 문혁세력이 패배한 이후 1979년에 내몽골의 영역은 다시 회복되었다. 우란푸는 다시 네이멍구 주석에 올랐고, 1983년 중국인민공화국 국가부주석으로 승진했다.

우란푸는 몽골왕이라고 불린다. 그의 아들 부허(布赫), 손녀 부샤오린(布小林)3대째 네어멍구 주석을 맡았다.

 


<참고자료>

Wikipedia, History of Mongolia

Wikipedia, 1945 Mongolian independence referendum

Wikipedia, Inner Mongolia

Wikipedia, Ulanhu

Wikipedia, Inner Mongolian People's Republic

Wikipedia, Hulunbuir

Wikipedia, Inner Mongolia inciden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