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의 향기] 아랍과 중동…정체성
[원서의 향기] 아랍과 중동…정체성
  • 김위영 고전연구가
  • 승인 2023.11.14 08: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②오스만제국 패전후 영·불의 일방적 국경 분할…오늘날 중동문제의 근원

 

김위영 고전연구가, B2B 산업번역 크리덴셜(https://credloc.com/ko/) 대표이사

 

오스만제국은 중동과 유럽의 일부 지역을 지배한 거대한 제국이었다. 1830년대 발칸반도 유럽 국가들(루마니아,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등)이 오스만의 멍에(Turkish yoke) 벗어나 독립을 추구했다. 오스만제국은 유럽처럼 15세기의 르네상스와 산업혁명을 거치지 못하여 유럽에 뒤처지고 1895년에 유럽의 환자(Sick man of Europe)가 되어버렸다. 오스만제국은 근대화 개혁을 하고자 하였으나 영국의 지원을 받지 못하여 비스마르크의 독일에 의존하게 되어 제1차 세계대전에 독일 편에 섰다가 패전국이 되었다. 오스만제국의 영토는 승전국인 영국과 프랑스에 의해 분할되었고, 종교적 갈등과 부족 간의 분쟁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국경이 그어진 것이 오늘날 중동 문제의 근원이 되었다.

영국이 러시아의 남하를 저지하기 위해 중동에 개입한 것처럼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미국은 러시아의 남쪽 바다로의 진출을 막기 위해 저명한 외교전문가 George Kennan(조지 케넌, 1904 ~ 2005)의 봉쇄정책(Containment policy)에 따라 중동지역에 깊숙이 관여하게 되었다. 미국은 이란을 교두보로 삼아 팔레비 왕조를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1970년대에 이란은 중동지역에서 민주화가 가장 잘 되어 여성들이 미니스커트를 입고 테헤란을 활보할 정도로 개방적이었다. 하지만 1979년 호메이니의 이란 혁명으로 밀월관계가 끝났다. 미국은 1984년 이란을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하였고 지금까지 경제제재를 유지하고 있다.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미국(무기)과 사우디아라비아(자금), 파키스탄(훈련장 제공)은 아프가니스탄에서 낮에는 러시아를 상대로 게릴라전을 벌이고, 밤에는 코란 경전을 공부하는 젊은 이슬람 전사로 구성된 무자헤딘(Mujahideen)10년간 지원했다. 1989년 소련이 철수하고 오사마 빈 라덴(1857~2011)을 수장으로 하는 이슬람 테러단체인 알카에다(Al-Qaeda)가 창설되어 왕정을 타도하고 중동에서 미국을 축출하고 이슬람 정부를 세우는 이슬람 극단주의가 대두되었다. 이들은 급기야 2001년 미국에서 9·11 테러를 감행하여 세계무역센터를 붕괴시켰다. 미국이 이라크에서 전쟁을 일으켜 수니파의 사담 후세인을 제거하고 이라크 국정을 관여했던 중간급 간부 2,000여명이 감옥에 투옥하였다. 2006년 이라크의 알 카에다를 중심으로 다수의 수니파 무장조직과 부족이 연합하여 설립한 단체가 Islamic State of Iraq(IS)이다. IS는 수니파 중간 간부들의 도움으로 이라크 은행에서 10억 달러의 현찰을 확보하고 쿠르드족에게 석유를 판 돈으로 조직원에게 급여도 주고 싸우다가 순교하면 천국에 간다고 선전하여 많은 이슬람 젊은이들을 확보했다. 최근에는 ISIS-K로 진화하면서 이슬람 전사가 인간 병기가 되어 누구나 테러리스트가 되어 세계의 지형을 바꾸고 있다.

대부분 중동과 아랍국가들의 지도자는 외세와 치열한 독립투쟁의 과정을 겪지 않고 정권을 잡았기 때문에 독립이후에 소수의 독재자와 그 측근들이 국가의 부를 점유하고 있으며 정치는 예일대 교수 Amy Chua(에이미 추아, 1962~ )가 주장하는 Political tribes(정치적 부족주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하나의 정체성 Quwmiyyah(까우미아, 아랍문화의 정체성)Ummah(움마:이슬람 신앙공동체)에 몰입하는 중동의 Assabiyyah(아싸비야: 사회적 연대)를 벗어나 세계주의로 환원하여 개방적인 사회로 전환되어 찬란한 이슬람 문화를 이룩한 초기 이슬람의 시기가 다시 재현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Muqaddimah: An Introduction to History

(무깟디마: 역사서설,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 2015)

 

중세 이슬람 세계의 역사학자, 사상가, 정치가인 Ibn Khaldun(이븐 할둔, 1332~ 1406)은 문명의 개념을 포괄적으로 정리했고 역사를 하나의 학문으로 수립했다. 1377년 출간된 본서는 영역본이 3권으로 되어 1,500 페이지가 넘는 방대한 양이나,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서론 부분인 무깟디마만 별도로 출간했으며 다방면에서 우수한 이슬람 문명을 소개하고 있다.

 

History is a discipline widely cultivated among nations and races. It is eagerly sought after. The men in the street, the ordinary people, aspire to know it. Kings and leaders vie for it. --P.50

역사는 여러 민족과 종족에서 널리 배양된 분야이며 열성적으로 추구되어야 한다. 시정의 사람인 평민들도 역사를 알려고 소망한다. 왕과 지도자들도 역사를 알려고 경쟁한다.

 

The (writing of history) requires numerous sources and much varied knowledge. It also requires a good speculative mind and thoroughness, which lead the historian to the truth and keep him from slips and errors. --P.58

역사서술은 수많은 자료와 다양한 지식을 요구한다. 또한 뛰어난 사변과 철저함을 요구하며 이는 역사가들로 하여금 실수를 범하지 않고 진리에 이르도록 인도한다.

 

Human social organization is something necessary. The philosophers expressed this fact by saying: ‘Man is “political” by nature.’ That is, he cannot do without the social organization for which the philosophers use the technical term ‘town’ (polis).

This is what civilization means. (The necessary character of human social organization or civilization) is explained by the fact that God created and fashioned man in a form that can live and subsist only with the help of food. --P. 102

인간의 사회 조직은 필연적인 것이다. 철학자들은 이런 사실을 인간은 본질적으로 정치적이다라는 말로 표현했다. 이는 곧 인간은 사회 조직이 없이는 살 수 없다는 것이며 철학자들은 도시(polis)’라는 기술적 용어를 사용한다. 이는 곧 문명이 의미하는 것이다. (인간의 사회적 조직과 문명의 필연적 특성은) 신이 인간을 식량의 도움으로만 생존하고 존속할 수 있는 형태로 창조했다는 사실로도 설명된다.

 

Group feeling results only from blood relationship or something corresponding to it

(Respect for) blood ties is something natural among men, with the rarest exceptions. It leads to affection for one’s relations and blood relatives, (the feeling that) no harm ought to befall them nor any destruction come upon them. --P.173

집단감정은 혈연관계나 그에 상응하는 것에서 나온다. 혈연관계(에 대한 존경)은 극히 예외적인 경우도 있지만 인간에게 본성적인 것이다. 이는 친척과 혈연에 대한 애정을 낳고 어떠한 위기가 그들에게 닥치지 않고 어떠한 파괴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감정)이다.

 

Royal authority and large-scale dynastic power are attained only through a group and group feeling. This is because aggressive and defensive strength is obtained only through group feeling which means affection and willingness to fight and die for each other. --P.209

왕권과 광대한 왕조의 힘은 특정한 집단과 그들이 지닌 집단감정을 통해서만 획득될 수 있다. 이것은 공격적이고 방어적인 힘은 집단감정을 통해서만 획득되며 이런 집단감정은 서로를 위해 싸우고 죽을 수 있다는 애정과 의지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Royal authority is an institution that is natural to mankind. We have explained before that human beings cannot live and exist except through social organization and co-operation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their food and other necessities of life. --P.247

왕권은 인간에게 자연적인 제도이다. 앞서 설명했듯이 인간은 식량과 기타 생필품을 획득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회 조직과 협력을 통해서만 생존하고 존속할 수 있다.

 

It has become clear that to be caliph in reality means acting as substitute for the Lawgiver (Muḥammad) with regard to the preservation of the religion and the political leadership of the world. --P. 274

실제로 칼리프는 종교의 수호와 현세의 정치적 지도력에 관하여 입법자(무함마드)의 대리인으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분명해졌다.

 

Language is a technical habit. All languages are habits similar to crafts. They are habits in the tongue and serve the purpose of expressing ideas. The good or inadequate (character of such expression) depends on the perfection or deficiency of the habit. --P. 638

언어는 기술적인 습관이다. 모든 언어는 기예와 유사한 습관이다. 그것은 혀에 밴 습관이며 개념을 표현하는 목적에 사용된다. 그러한 표현의 적합과 부적절함(그러한 표현의 성격)은 습관의 완벽함과 결함에 달려 있다.

 

 

A peace to end all peace(모든 평화를 끝내기 위한 평화, 2009) 

the fall of the Ottoman Empire and the creation of the modern Middle East(2009)

(오스만제국의 몰락과 현대 중동의 탄생)

 

미국의 역사학자로 보스턴 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David Fromkin(데비드 프롬킨, 1932~ )은 본서를 통해서 오스만제국의 해체된 1914년부터 1922년까지 중동 탄생의 비화를 소개하고 있다. 오늘날 중동에 20여개 국가가 출현된 경위를 알아볼 수 있다.

 

At the time, the political landscape of the Middle East looked different from that of today. Israel, Jordan, Syria, Iraq, and Saudi Arabia did not exist then. Most of the Middle East still rested, as it had for centuries, under the drowsy and negligent sway of the Ottoman Empire, a relatively tranquil domain in which history, like everything else, moved slowly. --P.25

그 무렵의 정치지형은 오늘날과 달랐다. 이스라엘, 요르단, 시리아,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만 해도 지도상에 존재하지 않았다. 대다수 중동은 여전히 지난 수 세기 동안 그랬던 것처럼 오스만제국의 느슨한 지배를 받으며, 다른 모든 것과 마찬가지로 역사가 더디게 움직이는 비교적 평화로운 영역이었다.

 

Religion had some sort of unifying effect, for the empire was a theocracy--a Moslem rather than a Turkish stateand most of its subject were Moslems. The Ottomans Sultan was regarded as caliph(temporary and spiritual successor to the Prophet, Mohammed) by the majority group within Islam, the Sunnis. --P. 35

종교는 다소간 통합효과를 가졌다. 오스만제국은 신정국가터키 국가라기보다는 무슬림였고 대부분의 신민은 무슬림이었다. 오스만 술탄은 이슬람에서 다수를 점한 수니파에 의해 칼리프(예언자, 무함마드의 일시적이고 영적인 후계자)로 간주되었다.

 

The British government lacked even the most elementary type of informationincluding mapsof the empire with which it was at war. In 1913-14, one of Kitchener’s intelligence officers had secretly surveyed and mapped a wildness area close to British Egypt’s Sinai frontier. --P.86

영국 정부는 심지어 전쟁을 벌이는 제국의 가장 초보적인 정보지도를 포함하여조차 가지고 있지 않았다. 1913 14년 사이 영국 전쟁 장관 키치너의 정보 장교들 가운데 한 사람이 이집트 시나이반도에 접한 사막 지대를 몰래 측정해 지도를 작성했다.

 

The Sykes-Picot Agreement was approved by the British and French Cabinets at the beginning of February 1916. But its terms and even its existence were kept secret; the very fact that the Allies had reached an agreement about the postwar Middle East was not revealed until almost two years later. --P.195

사이크스-피코 협정은 19162월 초에 영국과 프랑스 내각에 의해 승인되었다. 그러나 협정 내용과 그 존재조차도 비밀에 부쳐졌다. 연합국이 전후 중동에 관한 협정에 도달했다는 사실은 거의 2년이 지나도록 알려지지 않았다.

 

Addressed to the most illustrious name in British Jewry, the foreign Secretary’s letter of 2 November 1917 stated: ----- His Majesty’s Government view with favour the establishment in Palestine of a national home for the Jewish people, and will use their best endeavours to facilitate the achievement of this object..... --P.297

외무장관 벨푸어가 영국에서 가장 이름난 유대인 라이아넬 로스차일드(로스차일드 남작)에게 1917112일 서한 형식으로 보낸 선언문의 내용은 이러했다....“영국 정부는 팔레스타인에 유대민족의 조국을 건설하는 것을 지지하고, 그 목적이 달성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도울 것이다”.....

 

Egypt, with its vital Suez Canal, was one of the key strategic positions on Britain’s road to India; Afghanistan, with its mountain passes leading into the Indian plains, was another. Over the course of a century British armies had repeatedly been bloodied in the course of their efforts to prevent hostile forces from controlling the fierce mountain kingdom. --P. 421

중요한 수에즈운하가 있는 이집트가 인도로 가는 영국의 노선에 주요 전략지점의 하나였다. 인도 평원으로 이어지는 산맥 길이 있는 아프가니스탄은 또 다른 영국의 전략지점이었다. 1세기가 넘게 영국군은 적대국(러시아)이 사나운 산악왕국을 장악하지 못하도록 막으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피를 흘렸다.

 

The Arabic-speaking section of the Ottoman Empire had now been politically redesigned. The Turks no longer ruled it. In the east, Kurdish, Sunni, Shi’ite, and Jewish populations had been combined into a new Mesopotamian country named Iraq, under the rule of an Arabian prince; it looked like an independent country, but Britain regarded it as a British protectorate. Syria and a greatly enlarged Lebanon were ruled by France. --P.528

오스만제국의 아랍어권 지역은 이제 정치적 재편이 되어 튀르크는 더 이상 지배할 수 없었다. 동쪽에서 아라비아 왕자의 지배하에서 쿠르드족, 수니파 무슬림, 시아파 무슬림, 유대인 인구가 뒤섞여 이라크라 이름 지어진 메소포타미아 산생국가 되었다. 독립국처럼 보였으나 영국은 보호령으로 간주했다. 이라크에 접한 시리아와 크게 확대된 레바논은 프랑스의 위임통치령이 되었다.

 

The Middle East became what it is today both because the European powers undertook to re-shape it and because Britain and France failed to ensure that the dynasties, the states, and the political system that they established would permanently endure. During and after the First World War, Britain and her Allies destroyed the old order in the region irrevocably; they smashed Turkish rule of the Arabic-speaking Middle East beyond repair. --P.563

중동이 오늘처럼 된 것은 유럽 국가들이 재편을 맡았기 때문이고 영국과 프랑스가 왕조, 국가, 정치시스템만 구축해 놓고 그것들이 지속되도록 보장을 실패했기 때문이다. 전시와 종전 뒤 영국과 연합국은 중동의 구질서를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파괴하였다. 아랍어권 중동지역에서의 오스만 체제를 회복 불가능하게 파괴시켰다.

 

 

The Arabs: a History(아랍의 역사, 2017)

 

옥스퍼드 대학교의 중동 근대사 교수 Eugene Rogan(유진 로건, 1960~ )1516-17년 오스만제국의 아랍정복에서 현재까지 500년의 역사를 추적하며 아랍의 역사를 아주 잘 소개한 명저이다.

 

Moreover, the administrative language of the Ottoman Empire was Turkish, not Arabic. The Arabs began navigating the modern age by other people’s rules. The Ottomans ruled the Arabs for four of the past five centuries. --P.8

게다가 오스만제국의 행정 언어는 아랍어가 아닌 튀르크어였다. 아랍인들은 다른 민족의 통치하에 근대를 항해하기 시작했다. 오스만인들은 지난 5세기 중 4세기 동안 아랍인들을 지배했다.

 

The fall of Ottoman Empire in 1918 at the end of World War Ι seemed to many in the Arab world like the threshold of a new age of independence and national greatness. They hoped to resurrect a greater Arab kingdom from the ashes of the Ottoman Empire and took heart from U.S. president Woodrow Wilson’s call for national self determination as set out in his famous Fourteen Points. --P.9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이 종식되고 오스만제국의 몰락은 다수의 아랍인들에게 독립과 민족의 위대한 새로운 시대가 열릴 문턱처럼 보였다. 그들은 오스만제국의 잔재 속에서 위대한 아랍 왕국의 부활을 희망했고 미국 대통령 윌슨의 그 유명한 14개 조에 담긴 민족자결권 선언에 용기를 얻었다.

 

Oil put the Middle East on the map in the twentieth century. In the eighteenth century, it was cotton that generated extreme wealth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European demand for cotton dates back to the seventeenth century. Whereas the British Lancashire mills drew primarily on cotton from the West Indies and the American colonies, the French relied on Ottoman markets for the bulk of their cotton imports. --P.58

석유는 20세기에 중동을 중요하게 했다. 18세기에 동부 지중해에 엄청난 부를 가져다준 것은 면화였다. 면화에 대한 유럽의 수요는 그 기원이 1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영국 랭커셔 공장들이 주로 서인도 제도나 아메리카 식민지의 면화에서 실을 뽑았다면, 프랑스는 대부분의 면화 수입을 오스만 시장에 의존했다. --70,

 

The Ottoman central government was next to declare bankruptcy, in 1875. In the course of twenty years, the ottoman had contracted sixteen foreign loans totaling nearly 220 million(1.21 billion). With each loan, the Ottoman economy fell deeper into European economic dominion. --P. 132

오스만 중앙정부는 다음 차례로 1875년에 파산을 선언했다. 20년 동안 오스만은 총 22,000만 파운드(121,000만 달러)에 가까운 16개의 해외차관을 계약했다. 차관이 들여올 때마다 오스만 경제는 유럽의 경제적인 지배에 깊이 빠졌다.

 

The ‘self-denying protocol’ of 1840 was a dead letter, and the partition of North Africa followed. France extended its rule over Tunisia in 1881, Britain occupied Egypt in 1882, Italy seized Libya in 1911, and the European powers consented to a Franco-Spanish protectorate over Morocco(the only North Africa state to have preserved its independence from Ottoman rule) in 1912. Before the outbreak of the First World War, the whole of North Africa had passed under direct European rule. --P.136

1840년의 무사(無私)협약이 사문화되면서 북아프리카의 분할이 이어졌다. 프랑스는 1881년에 튀니지로 지배권을 확장했고, 영국은 1882년에 이집트를 점령했으며, 이탈리아는 1911년에 리비아를 장악했고, 유럽 열강은 1912년에 모로코(오스만 지배로부터 독립을 지켰던 유일한 북아프리카 국가였다)에 대한 프랑스-에스파냐 보호령을 인정했다. 1차 세계대전이 반발하기 전에, 북아프리카 전체는 유럽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게 되었다.

 

The Arab world had been utterly transformed by the Egyptian Revolution. In the course of the 1950s Egypt had emerged as the most powerful state in the region and Nasser the undisputed leader of the Arab world. Nasser rose the peak of his power in 1958 with the union of Egypt and Syria in the United Arab Republic. The union sent shock waves across the Arab world that nearly toppled the fragile government in neighboring Lebanon and Jordan. --P.462

아랍 세계는 이집트 혁명으로 완전히 변형되었다. 1950년대 동안 이집트는 지역 내 최강대국으로 등장했고 나세르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아랍 세계의 지도자였다. 나세르는 이집트와 시리아가 통일 아랍공화국으로 통합된 1958년 권력의 정점에 도달했다. 이 연합은 아랍 세계 전역에 충격파를 보냈고 이웃인 레바논과 요르단의 유약한 정부를 거의 무너뜨릴 뻔했다.

 

The notion that all Arab states were homogeneous and that one revolutionary template would fit them all proved the fallacy of the Arab spring. It soon became apparent that Muammar al-Qadhafi’s Libya, with its near total absence of state institutions, differed completely from Bahrain, with Sunni-Shiite sectarian issues, which differed again from Yemen with its long history of regionalism, which bore no resemblance to Syria under minority rule of its Alawite community. --P.624

모든 아랍국가는 동질적이고 하나의 혁명적 견본이 모두에게 들어맞을 것이라는 개념은 아랍의 봄이 낳은 오류를 입증했다. 국가 기관이 거의 부재했던 무아마르 알 카다피의 리비아는, 수니파와 시아파 간의 종파 문제를 가지고 있던 바레인과는 완전히 달랐고, 지역주의의 오랜 역사를 가진 예멘과도 달랐으며, 알라위파라는 소수 종파의 지배 하에 있던 시리아와도 닮지 않았다는 것이 곧 명백해졌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