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주의②…푸틴의 제국 복원
유라시아주의②…푸틴의 제국 복원
  • 김위영 고전연구가
  • 승인 2024.01.16 08: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서의 향기] 유라시아주의를 패권 전략으로 활용…우크라이나 침공이 그 시작

 

김위영 고전연구가, B2B 산업번역 크리덴셜(https://credloc.com/ko/) 대표이사

 

18세기 러시아의 Peter the Great(표트르 대제, 1672~1725)에 시작된 유럽화가 한 세기를 넘었을 때인 1812년에 나폴레옹과 조국전쟁을 치르고 난 다음, 러시아 지식인들은 유럽화의 길을 계속 갈 것인가와 슬라브 전통을 찾을 것인가에 대한 갈림길에 섰다. 대표적인 슬라브주의자였던 문호 Dostoevsky(도스토예프스키, 1821~ 1881)<작가일기>에서 다음과 같이 러시아의 정체성을 말하고 있다.

In Europe we were hangers-on and slaves, while in Asia we shall be masters. In Europe we were Tatars, while in Asia we can be Europeans. --Dostoevsky, Writer’s Diary. --P.1374

우리는 유럽에서 불청객이고 노예였지만, 그러나 아시아에서는 우리가 주인이다. 유럽에서

우리는 타타르였지만, 아시아에서 우리는 유럽인이다.--도스토예프스키, <작가일기>중에서

도스토예프스키는 슬라브주의자와 서구주의자들을, 인텔리겐치아와 민중을 그리고 러시아와 유럽을 서로 화해시키고자 시도했으며 진정한 러시아인이 되는 것은 바로 모든 이들의 형제, 즉 전() 인류적 인간(a universal man)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모스크바의 크렘린 궁 /위키피디아
모스크바의 크렘린 궁 /위키피디아

 

Neo-Urasiaist(신유라시아주의자) Dugin(두긴)<지정학의 기초>에서 우크라이나를 러시아 친화적인 동부 지역과 유럽에 가까운 서부 지역을 동서로 나눌 것을 제시했다. 두긴은 해양세(카르타고, 아테네, 네덜란드, 영국, 미국)와 육지세(로마, 러시아)의 대결에서 승리하기 위해 러시아는 <독일-일본-이란>3대 축으로 하는 대공간의 연합을 이루어 해양세인 <미국-영국-중국-터키>을 대항해서 다극 세계를 건설할 것을 주창한다.

푸틴은 러시아에서 유라시아주의, 애국주의, 러시아 민족주의를 부르짖고 있다. 미국 예일대학교 정치학자 Timothy Snyder(티머시 스나이더,1969~ ) 교수의 The Road to Unfreedom(부자유에의 길, 2018)에 의하면, 푸틴은 대통령이 되고 자신의 권력이 강화하기 위해 제정러시아의 정치철학자이자 정교(正敎) 파시즘의 원조인 Ivan Ilyin(이반 일린,1883~ 1954)을 소환했고 자신의 측근인 Oligarch(과두 재벌)로 하여금 파산 직전의 부동산업자 Trump의 부동산을 구입하여 회생시켜서 미국 대통령이 되도록 미국 대선에 개입했다고 한다. 푸틴은 일린의 기독교 전체주의를 중심으로 레프 구밀료프의 유라시아주의와 알렉산드르 두긴의 신유라시아주의나치즘을 결합해서 러시아 파시즘의 뼈대를 세웠다. 유라시아라는 이름 아래 제국을 복원하기를 바라는 푸틴은 우크라이나부터 시작하려 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를 절대로 유럽에 넘겨줄 수 없었고 우크라이나 침공은 당연한 논리적 귀결이었다.

2000년부터 러시아 정권을 잡은 독재자 푸틴은 2014년 크림반도를 점령하고 우크라이나가 NATO 가입을 추진하자 2022년에 나토의 러시아에 향한 동진(東進)를 빌미로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벌이고 있다. 세계적인 지리학자 Tim Marshall(팀 마샬, 1959~)은 푸틴의 크림반도 합병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If they were aware, then they must have considered Putin’s annexation of Crimea a price worth paying for pulling Ukraine into modern Europe and the western sphere of influence. --The Prisoners of Geography, P.18

서구의 외교관들이 인식했다면, 그들은 푸틴의 크림반도 합병을 서구가 우크라이나를 현대 유럽과 서구 영향권으로 끌어넣은 행위의 대가로 봐야 한다. --<지리의 죄수들> 중에서

아마도 두긴의 예언대로 우크라이나가 동서로 나뉘어 러시아 친화적인 동부 지역을 러시아에게 양도하는 것이 우-러 전쟁을 끝낼 최상의 정책으로 보인다.

푸틴은 러시아 제국을 복원하기 위해 유라시아주의를 정책적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러시아의 가부장적 권위주의 통치로 장기집권을 하고 있다. ()유라시아주의가 러시아의 독재적 국가주의, 집단주의, 러시아 민족주의를 이용해 유라시아에서 패권국을 지향하는 정략으로 사용된다면, 러시아는 광활한 유라시아 공간에서 40개국에 이르는 다양한 민족(국가)들을 아우르는 제국으로 거듭날 수가 없다고 생각된다. 유라시아에서 러시아의 과제는 동양과 서양, 아시아와 유럽 중 그 어느 한쪽으로 경도(傾倒)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반되는 다른 두 대륙을 종합하여 유라시아에서 평화와 번영을 추구하는 길이다.

러시아는 절대 권력을 전복하고 자기 운명을 완전히 뒤집는 19172월 혁명과 10월 혁명을 통해 지배자와 피지배자, 부자와 빈자가 바뀌는 경험을 했다. 모든 것을 단번에 뒤엎을 수 있는 DNA(유전자)가 러시아 민족에게 있다. 이런 러시아가 유라시아대륙에서 행하는 앞으로의 행보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Eurasian mission: an introduction to Neo-Eurasianism

(유라시아 과업: 신유라시아주의 개론, 2014)

 

러시아의 정치철학자이자 지정학자로 전략가인 Alexander Dugin(알렉산드르 두긴, 1968~)<지정학의 기초>, <The Rise of the Fourth Political Theory, 4의 정치이론의 부상, 2017>등으로 유명하다. 본서를 통해 자신의 유라시아주의에 대한 견해를 피력했다.

 

First of all, Eurasianism is a philosophy, and as all true philosophy it is implicitly contains a political perspective, an approach to history and the possibility of being transformed into an ideology. --P. 8

우선 유라시아주의는 철학이며, 모든 진정한 철학으로서 정치적 관점과 역사에 대한 접근, 이념으로의 전환 가능성을 함축적으로 포함한다.

 

The primary concern of Eurasianist philosophy is civilization. There are different civilizations, not only one. Each of them has its own structure that defines the elements of which it consists, and which gives them meaning and coherence. --P. 8

유라시아주의 철학의 주된 관심사는 문명이다. 문명에는 하나만이 아니라 서로 다른 문명이 존재한다. 각각의 문명에는 문명을 구성하는 요소를 정의하고 의미와 일관성을 부여하는 자신의 고유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Eurasis is dipolar. It consists of Europe and Asia, West and East. Human history is a constant dialogue and a dialectic exchange of energy, values, technology, ideas and other things that have been moving between these two poles for more than a thousand years. --P.37

유라시스는 양극성이며, 유럽과 아시아, 서양과 동양으로 구성된다. 인류의 역사는 천 년 이상을 이 두 극을 오가는 끊임없는 대화이자 에너지, 가치, 기술, 사상 등의 변증법적 교환이다.

 

Eurasianism rejects the center-outskirt model of the world. Instead, the Eurasian Idea suggests that the planet consists of a constellation of autonomous living spaces that are partially open to each other. These areas are not nation-states, but rather a coalition of states, reorganized into continental federations or “ democratic empires” with a large degree of domestic self-government. --P.43

유라시아주의는 세계의 중심-주변부 모델을 거부한다. 대신 유라시아 이념은 지구가 서로에게 부분적으로 열려 있는 자율적인 생활 공간의 행성을 구성한다고 생각한다. 이 지역들은 국민국가가 아니라 대륙연맹체나 대규모 차원의 국내 자치를 가진 민주적 제국으로 재편된 국가연맹체이다.

 

Eurasianism absolutely rejects the supposed universalism of Atlanticism and Americanism. The pattern of Western Europe and America has many attractive features that can be adopted and praised, but, as a whole, it is merely a cultural system that has a right to exist in its own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ontext, but only alongside other civilization and cultural systems. --P.44

유라시아주의는 대서양주의와 아메리카니즘의 보편주의를 절대적으로 거부한다. 서유럽과 미국의 양상은 채택되고 찬사를 받을 만한 매력적인 요소들을 많이 가지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그 자체의 역사적, 지리적 맥락에서 존재할 권리가 있는 문화 체계일 뿐이며, 다른 문명과 문화 체계와 함께 존재할 뿐이다.

 

The fourth meridian zone comprises the integration of the Russian Central Asian meridian. The central issues of this progress is the implementation of a Moscow-Tehran axis. The whole process of integration depends on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a strategic middle-and long term partnership with Iran. --P.49

4 자오선 지역은 러시아-중앙아시아 자오선의 통합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진보의 핵심 쟁점은 모스크바-테헤란 축의 이행이다. 통합의 모든 과정은 성공적인 이란과의 전략적 중장기 동반자체제의 구축에 달려 있다.

 

Russian history has not come to its end, and the Russian people remain devoted to their historical mission, which is why Russia is destined to become the leader of a new global, Eurasian alternative to the Western vision of the world’s future. Eurasianism offers a plan for a new global sociopolitical organization for all the peoples of the Earth. --P.73

러시아 역사는 끝나지 않았고, 러시아 국민들은 그들의 역사적 사명에 여전히 헌신하고 있으며, 이것이 러시아가 서구의 세계 미래 비젼에 대한 새로운 세계적인 유라시아 대안의 지도자가 될 운명인 이유이다. 유라시아주의는 지구의 모든 국민들을 위한 새로운 세계적 사회 정치 조직의 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I think that all the anti-liberal ideologicsCommunism, socialism, and fascismare not relevant anymore. They all tried to fight liberal capitalism, and they failed. This is partly the case because, at the end of time, it is evil that prevails; partly it is also because of their inner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It is time to deeply revise the anti-liberal ideologies of the past. --P.102

모든 반민주적 이념인 공산주의, 사회주의, 파시즘은 더 이상 관련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모두 자유주의적 자본주의와 싸우려다 실패했다. 이는 시간의 끝에 이기는 것은 악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내적 모순과 한계 때문이기도 하다. 과거의 반자유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깊은 수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He was much better than Yeltsin. He saved Russia from a complete crash in the 1990s. Russia was on the verge of disaster. Before Putin, Western-style liberals were in a position to dictate politics in Russia. Putin restored the sovereignity of the Russian state. That is the reason why I became his supporter. --P. 178

푸틴은 옐친보다 훨씬 뛰어났다. 그는 1990년대 러시아를 완전한 붕괴로부터 구했다. 러시아는 재앙 직전이었다. 푸틴 이전에 서구식 자유주의자들은 러시아의 정치를 좌우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푸틴은 러시아 국가의 주권을 회복했다. 그것이 내가 그의 지지자가 된 이유다.

 

 

Between Europe and Asia(유럽과 아시아 사이, 2015)

The origins, theories, and legacies of Russian Eurasianism (유라시아주의의 기원, 이론, 전설)

 

 

미국 출신의 스웨덴 쇠테르테른 대학교 지정학 교수 Mark Bassin(마크 바신,1953~ ), 미국 Smith College 역사학 교수 Sergey Glebov(세르게이 그레보브), 프랑스 출신의 역사학자 Marlene Laruelle(마를렌 라뤼엘, 1972~ )여사가 공동저술했다. 20세기 유라시아주의에 대한 다각적인 설명을 제공하고 역사, 정치, 문학 또는 지리와 이 운동의 지적 얽힘을 다루는 연구서이다.

 

Historians have long noted the tortured path of Russia’s self-identification vis-à-vis Europe, the West, or modernity on one hand, and the organization of the domestic political community on the other. At time, the Russian Empire appeared as a European imperium with a civilizing mission in Asia and elsewhere, and at other times it was imagined as an anti-Western force, a bulwark of Romantic visions of spirituality opposed to Western individualism and mechanistic relations. --P.1

역사학자들은 오랫동안 러시아가 한편으로는 유럽, 서구, 혹은 근대와 다른 한편으로는 국내 정치 공동체의 조직을 마주하며 자기 정체성 확립의 고뇌에 찬 길을 주목해 왔다. 당시 러시아 제국은 아시아 등지에서 문명화된 사명을 띤 유럽 제국으로 나타났고, 다른 때에는 서구의 개인주의와 기계론적 관계에 반대되는 영성에 대한 낭만주의적 비전의 방벽인 반서방 세력으로 상상되었다.

 

Scholars have treated Eurasianism as a geographical ideology, a conservative movement akin to German antimodernists in the Weimar period and beyond, as a form of Russian nationalism and as a modernist response to Russia’s imperial entanglements. --P.1

학자들은 유라시아주의를 지리적 이념으로, 바이마르 시대와 그 이후의 독일 반근대주의자들과 유사한 보수적 운동으로, 러시아 민족주의의 한 형태로, 러시아의 제국주의적 난맥에 대한 모더니즘적 대응으로 다루어왔다.

 

To the Eurasianists, their homeland was heir not to the medieval principalities of Kievan Rus’ but to the steppe empire of Chingis Khan and his heirs. The Mongols were important for the Eurasianists for several reasons. First, they were treated as the first unifiers of the Eurasian space, whose conquests and empire building provided Eurasia for the first time with a state tradition embracing the entire “continent.” --P.8

유라시아주의자들에게, 그들의 고국은 키에브국()의 중세 공국들에 대한 상속이 아니라 칭기스칸의 스텝 제국과 그의 상속자들이었다. 몽골인들은 여러 이유로 유라시아주의자들에게 중요했다. 첫째, 그들은 유라시아 공간을 최초의 통일한 사람들로 대접을 받았는데, 그들의 정복과 제국 건설은 최초로 유라시아에 전체 "대륙"을 포용하는 국가 전통을 제공했다.

 

In nineteenth-century Russia, the Mongol yoke was considered not only the nation’s main historical trauma but also the source of a pernicious legacy that left an imprint of Oriental despotism on the Russian political system. --P. 24

19세기 러시아에서 몽골의 멍에는 국가의 주요한 역사적 외상(外傷)일 뿐만 아니라 러시아 정치 체제에 동양적 전제주의의 흔적을 남긴 사악한 유산의 근원으로 간주되었다.

 

For the Eurasianist movement, Eurasian culture can be neither European nor Asian; it is a peculiar space, which affirms simultaneously its internal unity and its difference from the rest of the world. “Russia’s culture is neither a European nor an Asian culture, nor is the sum or mechanical combination of elements of one or another.” --P.69

유라시아주의 운동에 있어 유라시아 문화는 유럽적일 수도 아시아적일 수도 없다. 이는 유라시아 문화의 내적 통일성과 여타 세계와의 차이점을 동시에 확인시켜주는 독특한 공간이다.

"러시아의 문화는 유럽 문화도 아니고 아시아 문화도 아니며, 이런저런 요소들의 합이나 기계적 결합도 아니다.”

 

He proclaimed that reintegrating the post-Soviet space under its leadership is Russia’s “natural” geopolitical destiny and the country cannot be denied this vocation. He stated that the European Union(EU) has been a successful to follow and that Russia should offer an “EU-like” construction to Eurasia. --P.191

푸틴은 러시아의 지도하에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을 재통합하는 것이 러시아의 "자연스러운" 지정학적 운명이며, 이 소명을 부정할 수 없다고 선언했다. 그는 유럽연합이 성공적으로 따라왔다며 러시아가 유라시아에 "EU와 같은" 공동체의 건립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Black wind, White snow( 검은 바람, 하얀 눈, 2017)

Russian’s new nationalism(러시아의 새로운 민족주의)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즈 전 모스크바 지국장이었던 Charles Clover(찰스 클로버, 1958~)는 현대 러시아 정치를 이해하는 수단으로 원시 유라시아 문명에 기초한 러시아 민족 정체성 이론인 '유라시아주의'의 지적 역사를 추적한다.

 

Putin’s ambitions for ‘Euasia’ - and, to be fair, the West’s ambitions to thwart himdirectly provoked the war in Ukraine, it seems, in an effort to complicate any plans for a ‘Eurasian Union’, the EU offered states of the former Soviet Union association agreements in 2013. --P.16

'유라시아'에 대한 푸틴의 야망, 공정하게 말하자면, 그를 좌절시키려는 서방의 야망은 직접적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을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 '유라시아 연합'을 위한 어떤 계획도 복잡하게 만들기 위한 노력으로, EU2013년에 구소련 연합의 국가들에게 협정을 제안했다.

 

The Eurasianist’ penchant for Mongol-centric history was, for the most part, not a serious ethnographic theory but rather a symbolic rejection of Russia’s Western heritage and an embrace of the native and primitive. It was more an aesthetic element of their utopian theory than a serous attempt to reconcile the steppe cultures with Russian history. --P.53

몽골 중심의 역사에 대한 유라시아주의자들의 경향은, 대부분 심각한 민족지학적 이론이라기 보다는, 러시아의 서구 유산에 대한 상징적 거부와 토착민과 원시인에 대한 포용이었다. 그것은 스텝 문화와 러시아 역사를 조화시키려는 진지한 시도라기보다는, 그들의 유토피아적 이론의 미학적 요소였다.

 

The key to creating “Eurasia” is to reject a narrow nationalistic agenda, which could alienate potential allies. He quoted New Right theorist Jean-François Thiriart, who said “the main mistake of Hitler was that he tried to make Europe German. Instead, he should have tried to make it European.” Russia, it followed, would not be making a Russian Empire, but a Eurasian one. --P.235

"유라시아"를 창조하는 핵심은 잠재적인 동맹국들을 소외시킬 수 있는 편협한 민족주의 의제를 거부하는 것이다. 두긴은 뉴라이트 이론가 장 프랑수아 티리아트(1922~1992)의 말을 인용했다. "히틀러의 주요 실수는 유럽을 독일식으로 만들려고 한 것이었다. 대신에, 그는 유럽식으로 만들려고 노력했어야 했다." 러시아는 러시아 제국이 아니라 유라시아 제국을 건설해야 한다.

 

A German-Russian alliance would reorient Europe away from Atlantic influence and towards Eurasia. France would be encouraged to orient towards Germany, which would cement the Eurasian vector of Europe around ‘Moscow-Berlin-Paris’ axis. --P.237

독일과 러시아의 동맹은 유럽을 대서양의 영향에서 벗어나 유라시아로 향하게 할 것이다. 프랑스는 '모스크바-베를린-파리' 축을 중심으로 유럽의 유라시아 매개체를 공고히 할 독일 쪽으로 향하도록 할 것이다.

 

Of course, it went without saying in Dugin’s view that the USSR must be put back together; Georgia must be dismembered and Ukraine annexed: “Ukraine, as an independent state with certain territorial ambitions, represents an enormous danger for all of Eurasia.” Azerbaijan, though, could be given away to Iran in exchange for a “MoscowTehran axis.” Finland could be added to the Russian province of Murmansk, while Serbia, Romania, Bulgaria, and Greece would join Russia as an Orthodox “Third Rome” or Russian South. --P.238

물론 소련은 다시 통합되어야 하고 조지아는 해체되어야 하며 우크라이나는 합병되어야 한다는 것이 두긴의 견해이다. "우크라이나는 특정한 영토적 야망을 가진 독립 국가로서 유라시아 전체에 엄청난 위험을 나타낸다." 하지만 아제르바이잔은 "모스크바-테란 축"의 대가로 이란에게 넘겨질 수 있다. 핀란드는 러시아의 무르만스크주에 편입할 수 있고, 세르비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그리스는 러시아에 정통 "3의 로마" 혹은 러시아의 남부로 속할 수 있다.

 

Additionally, Russia’s land-based civilization was not just a strategic opponent of sea-based powers, but culturally and civilizationally anomalous, inherently more hierarchical and authoritarian than the more mercantile and democratic Atlantic world. Dugin argued that empire was the only way to stop the march of liberalism, which was antithetical to Russia’s value system.--P.238

더불어, 러시아의 육상 문명은 단순히 해상에 기반을 둔 강대국들의 전략적 상대가 아니라 문화적, 문명적으로 변칙적이었고, 본질적으로 중상주의적이고 민주적인 대서양 세계보다 위계적이고 권위주의적이었다. 러시아의 가치 체계에 반하는 자유주의의 행진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제국이라고 두긴은 주장했다

 

The Eurasianist revolution represented the conquest of culture rather than politics. But via culture, it was a conquest of reality itself. And the scope of its victory and the reputation has only been enhanced by its arbitrariness, its flimsiness, and its fakery. --P. 331

유라시아주의자의 혁명은 정치가 아니라 문화의 정복을 표상한다. 그러나 문화를 통한 현실의 정복이었다. 그리고 그 승리의 범위와 명성이 자의성과 변덕스러움, 그리고 위조품으로 인해 높아졌을 뿐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