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키신저②…현실주의 외교관
헨리 키신저②…현실주의 외교관
  • 김위영 고전연구가
  • 승인 2023.12.19 08: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서의 향기] 12명 美 대통령에게 조언…미국 국익에 우선하는 외교 추구

 

김위영 고전연구가, B2B 산업번역 크리덴셜(https://credloc.com/ko/) 대표이사

 

<다빈치>, <스티븐 잡스>, <아인슈타인>, <프랭클린> 등의 전기를 쓴 전기전문 작가 월터 아이작슨은 <키신저, 2005>을 통하여 그가 독일 나치의 치하에서 유대인으로 축구광이면서 운동장도 못 가고 머리를 똑바로 들고 걸을 수 없었다고 했다. 키신저는 가족을 따라 1934년 미국으로 이주했고 그대로 남은 친척 12명은 홀로코스트로 희생되었다고 한다. 키신저는 약자의 고통을 몸소 느낀 경험을 바탕으로 Realpolitics(현실주의 정치)로 들어갔다고 아이작슨은 밝히고 있다.

It would be wonderful to banish the role of military power from world affairs, but the world is not perfect, as he had learned as a child. Those with true responsibility for peace, unlike those on the sidelines, cannot afford pure idealism. They must have the courage to deal with ambiguities and commodations, to realize that great goals can be achieved only in imperfect steps. --Walter Iscaason, Kissinger, P.766

(군대의 역할을 세상사(世上事)에서 추방하면 정말 좋겠지만, 그가 어렸을 때 배운 것처럼 세상은 완벽하지 않다. 평화에 대한 진정한 책임을 가진 사람들은 비관적인 사람들과 달리 순수한 이상주의를 가질 여유가 없다. 그들은 모호함과 타협을 다룰 수 있는 용기를 갖고, 위대한 목표는 불완전한 과정을 통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월터 아이작슨, <키신저> 중에서 )

키신저가 조언한 미국 대통령은 12명이며 닉슨 행정부 때부터 유지돼온 대중 정책 기조를 뒤집어버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조차 그에게 조언을 구했다. 키신저가 현실정치를 추구하다 보니 과실도 나타나기 마련이다. 유혈 쿠데타를 통해 칠레 좌파 정부를 무너뜨린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정권을 암묵적으로 지지했다는 점, 아르헨티나 군부가 자국민을 탄압한 더러운 전쟁을 외면했다는 점, 키프로스나 동티므로 등의 전쟁과 분쟁에 개입한 점 등은 원칙과 윤리가 없다고 비판받고 있다. 특히 1969~73년의 캄보디아 폭격과 관련해선 전범’(戰犯) 취급을 받기도 했다.

키신저는 최근에 일어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는 세계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균형추로서 존속해야 하며 러시아의 완충지대인 크림반도 지역은 러시아의 영토로 인정해야 한다는 견해를 2022년 다보스 포럼에서 밝혔다. 우크라이나는 서방과 러시아의 전초기지가 아니라 다리 역할을 하며 핀란드처럼 중립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럽의 패권을 놓고 러시아를 침공한 나폴레옹의 프랑스와 히틀러의 독일과의 전쟁을 겪으며 완충지대인 돈바스 지역 등 크림반도를 상실한다면 당연히 러시아는 전쟁을 벌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키신저의 현실정치와 세계 질서의 유지는 평화를 목적으로 해야 할 원칙이다. 참혹한 유혈의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세계를 구현하기 위하여 각국의 외교가 필요한 것이고 힘의 균형이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베스트팔렌 평화조약이나 빈 체제에서 이루어낸 100년 평화는 세력 균형을 이루고 협조체제를 유지해야만 가능한 것이었다.

키신저는 권력을 잡고 있던 시절에 유명한 여배우들과 숱한 염문을 뿌리는 등 사생활로도 유명세를 탔다. 당시 추문을 해명하는 과정에서 “Power is the best aphrodisiac(권력은 최고의 최음제)”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기도 했다. 국익이 권력에 우선하고 이민온 제2의 조국인 미국의 국익을 위해 외교를 활용한 현실정치 외교의 거목 키신저는 <진정한 외교관>이었다.

 

헨리 키신저(2016년 4월) /위키피디아
헨리 키신저(2016년 4월) /위키피디아

 

On China(중국 이야기, 2012)

키신저는 중국의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역사적인 사실을 언급하며 중국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 나라 지도자가 상호 간에 신뢰 관계를 구축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American exceptionalism is missionary. It holds that United States has an obligation to spread its value to every part of the world. China’s exceptionalism is cultural. China does not proselytize; it does not claim that its contemporary institutions are relevant outside China. But it is the heir of the Middle Kingdom tradition, which formally graded all other states as various levels of tributaries based on their approximation to Chinese cultural and political forms; in other words, a kind of cultural universality. --P.xvi

미국의 예외주의는 선교사의 사역과 같다. 미국이 세계 전역에 자신의 가치관을 퍼뜨릴 의무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비해 중국의 예외주의는 문화적이다. 중국은 다른 나라를 개종시키려 하지 않는다. 중국의 현재 제도가 중국 밖에서 적절하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것은 다른 모든 나라를 중국 문화 및 정치 형태와의 근접성에 기반하여 여러 등급의 진공국(進貢國)으로 나누어진 중화(中華) 전통의 상속자이다. 다시 말하면 문화적 보편성의 일종이다.

 

China’s splendid isolation nurtured a particular Chinese self-perception. Chinese elites grew accustomed to the notion that China was uniquenot just “ a great civilization” among others, but civilization itself. --P.10

중국의 찬란한 고립은 특별히 중국적인 하나의 자아 인식을 양성했다. 중국의 엘리트들은 중국이 독특하여 많은 문명 가운데 단지 하나의 '위대한 문명'이 아니라 문명 그 자체라는 개념에 점점 더 익숙해졌다.

 

China had not survived for four thousand years as a unique civilization and for two millennia as a united state by remaining passive to near-rampant foreign intrusions. For all that period, conquerors had been obliged either to adopt Chinese culture or to be gradually engulfed by their subjects, who masked their practicality by patience. --P.69

중국이 거의 만연한 외세 침략에 수동적으로 대항으로써 4000년 동안 독특한 문명으로 또한 2000년을 통일 국가로 살아남은 것은 아니다. 그 오랜 세월 동안 정복자들은 중국 문화를 채택하거나 인내로써 실용성을 가렸던 백성들에 의해서 서서히 흡수되었다.

 

If Chinese exceptionalism represented the claims of a universal empire, Japanese exceptionalism sprang from the insecurities of an island nation borrowing heavily from its neighbor, but fearful of being dominated by it. --P.78

중국의 예외주의가 보편적인 제국이라는 주장을 대표한다면, 일본의 예외주의는 이웃에게 많이 빌렸지만 이웃의 지배받는 것에 대한 두려운 섬나라의 불안정에서 파생했다.

 

Nevertheless, it enabled China to preserve the elements of sovereignty, however attenuated, through a century of colonial expansion in which every other targeted country lost its independence altogether. It transcended humiliation by seeming to adapt to it. --P.85

그렇지만 중국은 다른 모든 대상 국가가 독립을 상실한 한 세기의 식민지 확장을 통하여 약해졌지만 주권의 여러 요소를 보존할 수 있었다. 중국은 수모에 적응하는 것으로 보이면서 수모를 넘어선 것이다.

 

Mao was the first ruler since the unification of China to tear apart Chinese traditions as a deliberate act of state policy. He conceived of himself as rejuvenating China by dismantling, at times violently, its ancient heritage. --P. 93

마오쩌둥은 중국이 하나로 통일된 이래 국가정책의 의도적 행동으로 중국의 전통을 찢어버린 첫 번째 통치자였다. 중국의 오랜 유산을 때로는 난폭하게, 해체함으로써 중국을 다시 활력을 넣는다고 자신을 인식했다.

 

Still he was enough of a Sun Tzu disciple to pursue seemingly contradictory strategies simultaneously. The United States, in any event, had no such capacity. It opted for a U,N.-endorsed demarcation line along the Yalu over what it could protect with its own forces and its own diplomacy along the narrow neck of the Korean Peninsula. --P. 145

마오쩌둥은 아직도 겉으로 보기에 모순적인 전략을 동시에 추구하는 손자(孫子)의 충실한 제자였다. 미국은 아무튼 이러한 능력이 없었다. 미국은 자신의 병력과 외교로 한반도의 좁은목(원산-평양)을 따라 보호하는 것보다 U.N.이 승인한 압록강을 따른 경계선을 선택했다.

 

The argument that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re condemned to collision assumes that they deal with each other as competing blocs across the Pacific. But this is the road to disaster for both sides. --P 528

중국과 미국은 충돌할 수밖에 없는 운명이라는 주장은 두 나라가 태평양을 건너 서로 경쟁하는 블록으로 취급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이것은 양쪽 모두를 파멸시키는 길이다.

 

 

World order(세계 질서, 2014)

키신저는 세계가 공유된 국제 질서를 만들어 가야 할 방법과 해결책을 '힘의 균형''정당성' 위에 세워진 질서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The Westphalian peace reflected a practical accommodation to reality, not a unique moral insight. It relied on a system of independent states refraining from interference in each other’s domestic affairs and checking each other’s ambitions through a general equilibrium of power. --P.3

베스트팔렌 체제의 평화는 독특한 도덕적 인식이 아니라 현실에 대한 실용적 적응을 반영했다. 이 조약은 서로의 국내 문제에 간섭을 억제하고 일반적인 세력 균형을 통해 서로의 야심을 규제하는 독립적인 국가들로 이루어진 체계에 의존했다.

 

The genius of this system, and the reason it spread across the world, was that its provisions were procedural, not substantive. If a state would accept these basic requirements, it could be recognized as an international citizen able to maintain its own culture, politics, religion, and internal politics, shielded by the international system from outside intervention. --P. 27

베스트팔렌 체제의 재능과 이 체제가 전 세계에 확산된 이유는 이 조약의 규정들이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절차적이기 때문이다. 이 기본 요건들을 받아들인 국가는 외부의 간섭으로부터 국제 체제로 보호받으면서 자신들의 문화와 정치, 종교, 국내 정책을 유지할 수 있는 국제 시민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었다.

 

Three tiers of institutions buttressed the Vienna system: the quadruple Alliance to defeat challenges to the territorial order; the Holy Alliance to overcome threats to domestic institutions; and a concert of powers institutionalized through periodic diplomatic conferences of the heads of government of the alliances to define their common purposes or to deal with emerging crises. --P. 65

세 단계의 제도가 빈 체제를 지탱했다. 영토 질서에 대한 도전을 격퇴할 4국 동맹, 국내 제도에 대한 위협을 극복해 줄 신성동맹, 그리고 공통의 목적을 규정하거나 새로이 등장한 위기에 대처하려는 동맹국 수반들의 정기적인 외교 회담을 통해 제도화된 강대국들의 협조체제다.

 

As “the East,” it has never been clearly parallel to “the West.” There has been no common religion, not even one splintered into different branches as is Christianity in the West. Buddhism, Hinduism, Islam, and Christianity all thrive in different parts of Asia. There is no memory of a common empire comparable to that of Rome. --P.172

아시아는 동양으로서 서양에 분명하게 대등한 적이 결코 없었다. 공통된 종교도 없었고, 서양 기독교처럼 여러 분파로 갈라진 종교조차 없었다. 불교, 힌두교, 이슬람교, 기독교 모두 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번창한다. 로마 제국에 대한 기억과 비교할 만한 공통 제국에 대한 기억도 없다.

 

Several alternatives presented themselvesfor example, holding the advance at narrow neck of the peninsula on a line from the cities of Pyonyang to Wonsan, a line roughly 150 miles short of the Chinese frontier. This would have destroyed most of the North’s war-making capacity and brought nine-tenths of the North Korean population into a unified Korea while staying well clear at the Chinese border. --P.290

여러 가지 대안이 제시되었다. 예컨대, 중국 국경선에서 240Km 정도 떨어져 있는 평양의 도시에서 원산을 잇는 노선인 한반도의 가장 좁은 부분까지 진격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것은 중국 국경선에 가까이 가지 않으면서 북한의 전쟁 수행능력을 대부분 파괴하고 북한 인구의 90%를 통일된 한국에 흡수했을 것이다.

 

To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two aspects of orderpower and legitimacyis the essence of statesmanship. Calculation of power without a moral dimension will turn every disagreement into a test of strength; ambition will know no resting place; countries will be propelled into unsustainable tours de force of elusive calculations regarding the shifting configuration of power. --P. 367

질서의 두 측면인 힘과 정당성--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는 일은 정치력의 핵심이다. 도덕적 차원이 없는 힘의 계산은 모든 의견 충돌이 힘의 시험으로 바뀔 것이다. 야심은 쉴 줄을 모르고, 국가들은 변화하는 힘의 배치에 관한 알기 어려운 계산을 하는 지속불가능한 절묘한 솜씨를 추진해야 할 것이다.

 

Yet world order cannot be achieved by any one country acting alone. To achieve a genuine world order, its components, while maintaining their own values, need to acquire a second culture that is global, structural, and juridicala concept of order that transcends the perspective and ideals of any one region or nation. --P. 373

하지만 세계 질서는 홀로 행동하는 한 국가에 의해서는 달성될 수 없다. 진정한 세계 질서를 달성하려면 그 질서의 구성요소들이 각자의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세계적이고 체계적이며 법률적인 제 2의 문화를 획득해야 한다. , 질서 개념은 어떤 지역이나 국가의 관점과 이상을 초월한다.

 

 

The Age of AI and Our Future

( 인공지능 시대와 인류의 미래, 2021)

 

인공지능이 미래에 미칠 내용을 담고 있다. AI가 우리 삶에 더 깊이 통합되는 과정과 제공하는 기회 및 한계를 밝히고 있다.

 

No expert, no matter his or her field, can single-handedly comprehend a future in which machines learn and employ logic beyond the present scope of human reason. Societies, then, must cooperate not only to comprehend but also to adapt. --P. 6

어떤 전문가도 자신의 분야를 막론하고 기계가 인간의 현재 영역을 초월한 논리를 배우고 이용하는 미래를 혼자서는 이해할 수 없다. 따라서 사회 전체가 그런 미래를 이해할 뿐 아니라 적응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

 

Although AI can draw conclusions, make predictions, and make decisions, it does not possess self-awarenessin other words, the ability to reflect on its role in the world. It does not have intention, motivation, morality, or emotion; even without these attributes, it is likely to develop different and unintended means of achieving assigned objectives. But inevitably, it will change humans and the environments in which they live. --P.26

AI는 예측하고, 결정하고, 결론을 도출할 수 있지만 자기 의식은 없다. 다시 말해, 이 세상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역할을 사유하는 능력은 없다. AI는 의도도, 동기도, 양심도, 감정도 없다. 이런 속성이 없이도 주어진 목표를 달성할 다르고 의도하지 않은 수단을 개발할 것 같다. 그러나 불가피하게, 인간이 사는 환경과 인간을 변화시킬 것이다.

 

When information is contextualized, it becomes knowledge. When knowledge compels convictions, it becomes wisdom. --P. 52

정보가 맥락화될 때 지식이 된다. 그리고 지식이 소신을 강요할 때 지혜가 된다.

 

As solitude diminishes, so, too, does fortitudenot only to develop convictions but also to be faithful to them, particularly when they require the traversing of novel, and thus often lonely, roads. Only convictionsin combination with wisdomenable people to access and explore new horizons. t--P52

혼자서 생각하는 고독이 줄어들면서 불굴의 용기가 위축된다. 용기는 소신을 발전시킬 뿐만 아니라 소신에 충실해야 하며, 특히 새로운 길, 그래서 대체로 외로운 길을 걸을 때 요청된다. 인간은 지혜를 갖춘 신념이 사람으로 하여금 새로운 지평을 접근하고 탐색하게 한다.

 

But as it is being applied to more elements of our lives, it is altering the role that our minds have traditionally played in shaping, ordering, and assessing our choices and actions. --P. 53

하지만 AI가 우리 삶의 많은 부분에 적용되면서, 우리의 정신이 우리의 선택과 행동을 형성하고, 체계화하고, 평가하는 데 전통적으로 작용한 역할을 변형시키고 있다.

 

It follows that in the age of AI, whenever such a significant issue is at stake, the deciders will need to be qualified, non-anonymous humans who can offer reasons for the choices made. --P.197

AI 시대에도 이와 같은 중대한 문제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결정자는 선택에 대한 이유를 제공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익명이 아닌 인간이어야 한다는 점이 뒤따른다.

 

With the use of AIs to navigate masses of information comes the challenge of distortionof AIs promoting the world humans instinctually prefer. In this domain, our cognitive biases, which AIs can readily magnify, echo. And with those reverberations, with that multiplicity of choice coupled with the power to select and screen, misinformation proliferates. --P. 218

방대한 정보를 탐색하기 위한 AI의 사용으로 왜곡의 도전이 발생한다. , 인간이 본능적으로 선호하는 세상을 촉진한다. 이 영역에서 AI가 쉽게 증폭할 수 있는 우리의 인지적 편향이 메아리친다. 그 울림이, 그 편향된 선택의 다양성이 선택하고 심사하는 힘과 맞물려 잘못된 정보가 확산된다.

 

Understanding this transition, and developing a guiding ethnic for it, will require commitment and insight from many elements of society: scientists and strategists, statesmen and philosophers, clerics and CEOs. This commitment must be made within nations and among them. Now is the time to define our partnership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reality that will result. --P. 227

이런 전환을 이해하고 그 길잡이가 되는 윤리를 개발하려면 과학자와 전략가, 정치인과 철학자, 성직자와 CEO 등 사회의 여러 구성원에서 헌신과 통찰을 요청한다. 이런 헌신은 국가 내에서 그리고 국가들 사이에서 요구된다. 이제 우리가 인공지능과의 협력과 초래할 현실을 정의해야 할 시간이다.

 

 

Leadership(리더십, 2022)

 

키신저의 마지막 저서로 직접 만나본 세계 지도자 6(아데나워, 드골, 닉슨, 사다트, 리콴유,대처)의 리더십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리더로서 갖추어야 할 자격에 대해 밝히고 있다.

 

Leaders think and act at the intersection of two axes: the first,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the second, between the abiding values and aspirations of those they lead. Their first challenge is analysis, which begins with a realistic assessment of their society based on its history, mores, and capacities. Then they must balance what they know, which is necessarily drawn from the past, with what they intuit about the future, which inherently conjectural and uncertain. --P.xv

리더는 두 축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생각하고 행동한다. 첫째는 과거와 미래를 사이의 축이고, 둘째는 불멸의 가치와 리더를 따르는 사람들의 열망을 사이의 축이다. 리더의 첫 번째 과제는 분석이다. 이 분석은 역사, 관습, 가능성에 기초한 사회를 현실적인 평가로 시작한다. 그리고 리더는 과거에서 필연적으로 도출되어 알게 된 지식과 불확실하고 추측 섞인 미래에 대해 직관하는 것 사이에 균형을 잡아야 한다.

 

Most leaders are not visionary but managerial. In every society and at every level of responsibility, day-to-day stewards are needed to guide the institutions entrusted to their care. But during periods of crisiswhether of war, rapid technological change, jarring economic dislocation or ideological upheavalmanagement of the status quo may be the riskiest course of all. --P. xxiii

리더는 대부분 선지자가 아니라 경영인이다. 모든 사회와 모든 수준의 책임에는 일상적인 관리인은 자신의 관심에 맡겨진 기관들을 지도하기 위해 필요로 한다, 그러나 전쟁이나 급격한 기술, 경제 혼란, 사상적 변혁 같은 위기의 시대에는 현상 관리가 가장 위험한 과정 수 있다.

 

Great leadership results from the collision of the intangible and the mallesble, from that which is given and that which is exerted, Scope remains for individual effort to deepen historical understanding, hone strategy and improve character. --P. 416

위대한 리더는 만질 수 없는 것과 만져 나갈 수 있는 것, 주어진 일과 분투할 일의 충돌에서 탄생한다. 그 범위는 역사적 이해를 심화하고 전략을 연마하며 인격을 수양하는 개인의 노력에 달려 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