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키신저①…20C의 메테르니히
헨리 키신저①…20C의 메테르니히
  • 김위영 고전연구가
  • 승인 2023.12.12 06:58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서의 향기] 세계 외교의 주역…미중 수교-베트남 종전 주도, 한반도에도 깊은 관심

 

김위영 고전연구가, B2B 산업번역 크리덴셜(https://credloc.com/ko/) 대표이사

 
지난 1129일에 미국 외교의 거목이자 국제정치와 외교를 주도한 Henry Kissinger(헨리 키신저, 1923~ 2023)100살로 별세했다. 국내 언론은 그의 부고만 알렸고 어느 매체도 특집판 기사를 게재한 것을 보지 못했다. 미국의 뉴욕타임스(NYT)는 첫날에 3, 다음 날은 9면의 특집기사를 실어서 마치 그의 전기를 읽은 느낌을 주었다. 이에 Atals news에서 2회에 걸처 그의 저서 7권을 소개하려고 한다.

 

헨리 키신저(2016) /위키피디아
헨리 키신저(2016) /위키피디아

 

키신저는 하버드대학교에서 19세기 오스트리아 재상 Metternich(메테르니히, 1773- 1859)의 빈 체제를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후에 그의 논문은 <회복된 세계>로 출간되었다. 그는 닉슨 대통령 행정부에서 미국 역사상 유일하게 안보 보좌관과 국무장관을 동시에 역임했다. 학자에서 외교관으로 변신하면서도 21권의 저서를 출간했고, 그에 대한 전기도 하버드대학교 역사학자 Niall Ferguson(니얼 퍼거슨, 1964~)과 저명한 전기작가 Walter Isaacson(월터 아이작슨, 1952~ ) 이외도 20여 권이 넘을 정도로 다양하다.

키신저는 냉전으로 공산국가인 소련을 견제하기 위하여 중국의 수상인 주은래(周恩來)와 협상을 통해 1971 핑퐁외교로 중국을 개방하였고 미국이 수렁에 빠진 베트남 전쟁을 종식시켜 1973년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그러나 수많은 사람의 죽음을 담보로 상을 받았다는 반대 여론으로 상금을 기부했다.

키신저는 한국전쟁에 대해 자신의 저서에서 언급하고 있다. 방대한 저서인 <Diplomacy(외교, 1993)>에서 인천상륙작전을 성공한 맥아더 사령관이 한국 인구의 90%를 차지할 수 있는 한반도 동과 서의 길이()가 가장 좁고 짧은 청천강과 함흥만을 잇는 선에서 북진을 멈추었어야 했다고 말했다. , 1950.10.02.~ 10.17. 맥아더라인이다. 다른 저서인 <On China(중국 이야기, 2011)>에서 남포~원산 주변의 북위 39도를 기점으로 휴전했으면, 중국과 완충지대가 만들어져 중국 고전인 <손자병법>을 숭상하는 모택동도 동의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니얼 퍼거슨 교수는 Colossus(2005)에서 군사적 전략가를 넘어서 미국 대통령 출마에 야심을 품은 맥아더 장군이 한국전쟁을 이용하기 위해 두만강까지 진격하고 중공이 개입하자 원폭을 사용하려고 했다고 논증한 바 있다. 한국전쟁에서 중국군의 참전에 빌미를 준 맥아더의 계속된 북진 전략은 실패작인 것이다.

1970년대의 미국, 유럽, 일본, 소련, 중국이 19세기 초의 영국, 프랑스, 프로이센, 러시아, 오스트리아의 역할을 각각 승계하고 키신저가 과거 영국의 외상 Lord Castlereagh(캐슬레이, 1769-1822)의 역할을 하고, 주은래는 과거 오스트리아의 재상이었던 메테르니히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키신저는 평생을 메테르니히를 추종하지만 그를 뛰어넘는 시대의 주도자가 되었다. 가수로서 2016년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Bob Dylan(밥 딜런, 1941~)은 키신저를 칼 마르크스와 나란히 노래 가사에 포함시킨 점은 그의 위상을 말해 주는 것이다.

살아 생전에 키신저는 “A country that demands moral perfection in its foreign policy will achieve neither perfection nor security”(외교정책에서 도덕적 완벽함을 추구하는 국가는 도덕적 완벽함이나 안보도 달성하지 못할 것이다)라면서, “America has no permanent friends or enemies, only interests”(미국은 영원한 적도, 영원한 친구도 없다. 오직 국익만이 존재할 뿐이다)라고 말했다. 외교는 서로 다른 국력의 구성요소를 효과적으로 극대화시키는 기술이며 국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다. 유대계 독일인 출신으로 미국의 국익을 위해 외교를 활용한 키신저는 위대한 현실정치의 전략가이자 외교관이었다.

 

 

A world restored( 회복된 세계, 1957)

 

1957년 키신저는 자신의 하버드대학교 국제 정치학 박사 학위 논문을 편집하여 본서를 출간했는데 1815Vienna() 회의 전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이 책은 닉슨 행정부의 1970년대 미국 외교정책의 전환에 영감을 주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Because Britain was threatened only if Europe fell under the domination of a single power, Castlereagh was primarily concerned with constructing a balance of forces. Because the balance of power only limits the scope of aggression but does not prevent it, Metternich sought to buttress the equilibrium by developing a doctrine of legitimacy and establishing himself as its custodian. --P.5

영국은 유럽이 단일한 강대국의 지배하에 들어가면 위협을 받기 때문에 캐슬레이는 세력의 균형을 구축한 데 주로 관심을 두었다. 힘의 균형은 침략의 범위를 제한할 뿐 그것을 예방하지 못하므로 메테르히는 정통성의 원칙을 개발하고 스스로를 그 수호자로 확립하여 균형상태를 강화하려고 모색했다.

 

Revolution was an assertion of will and of power, but the essence of existence was proportion, its expression was law, and its mechanism an equilibrium. For these reasons the conservative statesman was the supreme realist and his opponents the “visionaries”. “I am a man of prose,” Metternich insisted in his political testament, “ and not of poetry.” --P.10

혁명은 의지와 권력의 주장이지만 존재의 본질은 조화였고, 그 표현은 법이었으며, 그 장치는 균형상태였다. 이러한 이유로 이 보수적 정치가는 최고의 현실주의자였으며 그의 적들은 몽상가들이었다. 메테르니히는 그의 정치적 유언을 통해, “나는 산문적 인간이지 시적 인간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The memory of states is the test of truth of their policy. The more elementary the experience, the more profound its impact on a nation’s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 the light of the past. It is even possible for a nation to undergo an experience so shattering that it becomes the prisoner of its past. Such was not the case with the Britain of 1812, however. --P.29

국가의 기억은 그들 국가 정책의 진정성에 대한 시험이다. 그 경험이 기본적일수록, 과거에 비추어 국가의 현재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경험의 영향은 심대하다. 한 국가가 너무나 파괴적인 경험을 겪게 되면, 과거의 포로가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1812년의 영국이 그런 경우가 아니었다.

 

The logic of war is power, and power has no inherent limit. The logic of peace is proportion, and proportion implies limitation. The success of war is victory; the success of peace is stability. The conditions of victory are commitment, the condition of stability is self-restraint. The motivation of war is extrinsic: the fear of an enemy. The motivation of peace is intrinsic: the balance of forces and the acceptance of its legitimacy. A war without an enemy is inconceivable; a peace built on the myth of an enemy is an armistice. --P.138

전쟁의 논리는 힘이며, 힘은 본질적으로 한계가 없다. 평화의 논리는 비례이며, 비례는 제한을 의미한다. 전쟁의 성공은 승리이며, 평화의 성공은 안전이다. 승리의 조건은 헌신이고, 안정의 조건은 자제다. 전쟁의 동기는 적에 대한 두려움이라는 외부적 요소이다. 평화의 동기는 힘의 균형과 그 정통성의 수락이라는 내적인 요인이다. 적이 존재하지 않는 전쟁은 상상할 수 없으며, 적이 있다는 신화에 수립된 평화는 휴전이다.

 

There are two ways of constructing an international order: by will or by renunciation; by conquest or by legitimacy. For twenty-five years Europe had been convulsed by an effort to achieve order through power, and to contemporaries the lesson was not its failures but its near success. --P. 172

국제 질서를 수립하는 두 가지 길이 있다. 의지에 의하거나 포기에 의한 것이며, , 정복에 의하거나 정통성에 의한 길이다. 25년간 유럽이 힘을 통해 질서를 성취하려는 노력으로 혼란을 겪었고, 동시대 사람들에게 준 교훈은 그것의 실패가 아니라 거의 성공한 사실이다.

 

Metternich’s policy was thus one of status quo par excellence, and conducted, not by marshalling a superior force, but by obtaining a voluntary submission to his version of legitimacy. Its achievement was a period of peace lasting for over a generation without armament races or even the threat of a major war. --P.321

그러므로 메테르니히의 정책은 탁월한 현상 유지의 하나였고, 우세한 힘을 결집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규정하는 정통성에 대한 자발적 복종을 얻음으로써 실행했다. 그 정책의 성취는 군비경쟁이나 대규모 전쟁의 위험도 없이 한 세기 이상 지속된 평화의 시기였다.

 

For societies exist in time more than in space. At any given moment a state is but a collection of individuals, as positivist scholars have never wearied of pointing out. But it achieves identity through the consciousness of a common history. This is the only “experience” nations have, their only possibility of learning from themselves. History is the memory of states. --P. 331

사회는 공간보다 시간 속에 더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실증주의 철학자들이 지치지 않고 지적해온 것처럼, 어떤 순간에도 국가는 개인의 집합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국가는 공통의 역사에 대한 의식을 통해 정체성을 획득한다. 이것이 국민이 소유하는 유일한 경험이고, 자신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유일한 가능성이다. 역사는 국가들의 기억인 것이다.

 

 

American foreign policy(미국 외교정책, 1977)

 

본서는 1969년에 발표된 3편의 논문과 공직자로 근무하며 1973~76년까지 연설한 13편의 연설문을 담고 있다. 미국의 외교 정책의 근본적인 실체에 대한 이야기이다.

 

The international system which produced stability for a century collapsed under the impact of two world wars. The age of the superpowers, which temporarily replaced it, is nearing its end. The current international environment is in turmoil because its essential elements are all flux simultaneously. --P.52

한 세기 동안 안정을 유지했던 국제 체제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붕괴되었다. 일시적으로 이를 대신했던 초강대국의 시대가 이제 종말에 이르고 있다. 현재의 국제환경은 그 본질적 요소가 모두 동시에 유동적이기 때문에 혼란에 빠져 있다.

 

The revolutionary character of our age can be summed up in three general statements: (a)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international order has increased and their nature has altered; (b) their technical ability to affect each other has vastly grown; (c) the scope of their purposes has expanded. --P. 53

우리 시대의 혁명적 성격은 세 가지 일반적인 진술로 요약할 수 있다. (a) 국제 질서에 참여자의 수가 증가했고 그들의 성격이 바뀌었다. (b)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기술적 능력이 크게 성장했다. (c) 목적의 범위가 확장되었다.

 

The dilemma is that there can be no stability without equilibrium but, equally, equilibrium is not a purpose with which we can respond to the travail of our world. A sense of mission is clearly a legacy of American history; to most Americans, America has always stood for something other than its own grandeur. --P.94

양란(兩亂)은 균형 없이는 안정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이지만 마찬가지로 균형은 우리가 세상의 고난에 반응할 수 있는 목적이 아니라는 것이다. 사명감은 분명히 미국 역사의 유산이다. 대부분의 미국인에게 미국은 항상 자신의 위엄보다 다른 것을 표상했다.

 

Détente is a process, not a permanent achievement. The agenda is full and continuing. Obviously, the main concern must be to reduce the sources of potential conflict. This requires efforts in several interrelated areas. --P.175

데탕트(긴장완화)는 하나의 과정이지 영구적인 성취가 아니다. 의제는 가득하고 계속된다. 분명히 주요 관심사는 잠재적인 갈등의 원인을 줄이는 것이다. 이것은 여러 상호 연관된 영역에서 노력을 요청한다.

 

Our greatest foreign policy need at home is steadiness, cohesion, and a realization that in shaping foreign policy we are engaged in an enterprise beyond party and not bounded by our electoral cycles. Today Americansof whatever party or political convictioncan have confidence that their country, as always, has the substance and the strength to do its duty. --P428

미국의 가장 큰 외교정책은 국내에서 꾸준함, 결속력, 그리고 외교정책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우리가 선거 주기에 얽매이지 않고 정당을 넘어선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는 인식이다. 오늘날 미국인들은 어떤 정당이나 정치적 신념이 무엇이건 간에 언제나 그렇듯이 미국이 의무를 다할 수 있는 실체와 힘을 가지고 있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다.

 

 

Diplomacy(외교, 1994)

 

헨리 키신저 박사의 대표적인 저서인 <외교>는 본문만 31836페이지로, 18세기 이후 정치와 외교의 흐름에 대해 개괄적으로 기술한 방대한 책이다. 미국이 변화하고 있는 현 세계를 지배할 수는 없지만, 대신 안전협정과 경제협력을 통해 이루어진 힘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제정치와 외교 변화의 과정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고, 변화하는 미국의 대외정책 방향도 함께 엿볼 수 있다.

 

Thus the two approaches, the isolationist and the missionary, so contradictory on the surface, reflected a common underlying faith that the United States possessed the world’s best system of government, and that the rest of mankind could attain peace and prosperity by abandoning traditional diplomacy and adopting America’s reverence for international law and democracy. --P.18

따라서 표면적으로 서로 모순되는 고립주의와 선교사라는 두 가지 접근법은 미국이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정부 제도를 보유하고 다른 인류 전체가 전통적인 외교 방식을 포기하고 국제법과 민주주의에 대한 미국의 존경을 채택하면 평화와 번영을 획득할 수 있다는 공통된 근본적인 믿음을 반영한다.

 

The international system of the twenty-first century will be marked by a seeming contradiction: on the one hand, fragmentation; on the other, growing globalization. On the level of the relation among states, the new order will be more like the European state system of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than the rigid patterns of the Cold War. --P.23

21세기의 국제 체제는 한편으로는 파편화, 다른 한편으로는 증대하는 세계화라는 겉보기에 상호 모순으로 특징지어질 것이다. 국가 사이의 관계 수준에서 새로운 질서는 냉전의 경직된 형태보다 18세기와 19세기의 유럽체제처럼 될 것이다.

 

Woodrow Wilson was the embodiment of the tradition of American exceptionalism, and originated what would become the dominant intellectual school of American foreign policya school whose precepts Roosevelt considered at best irrelevant and at worst inimical to America’s long-range interests. In terms of all established principles of statecraft, Roosevelt had by far the better of the argument between these two of America’s greatest presidents. Nevertheless, it was Wilson who prevailed: a century later, Roosevelt is remembered for his achievement but it was Wilson who shaped American thought. --P. 44

우드로우 윌슨은 미국식 예외주의라는 전통의 화신이었으며, 미국 외교정책의 지배적인 지적 학파의 기원이 되었다. 루스벨트는 이 학파의 법칙이 최선의 경우 무의미하고 최악의 경우 미국의 장기적인 국익에 해가 된다고 간주했다. 두 명의 위대한 미국 대통령 중에서 루스벨트의 주장이 훨씬 뛰어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리한 사람은 윌슨이었다. 100년이 지난 후에 루스벨트는 업적만으로 기억되지만, 미국식 사고를 형성한 사람은 윌슨이었다.

 

Nevertheless, for 200 years after Richelieu, France was the most influential country in Europe, and has remained a major factor in international politics to this day. Few statesmen of any country can claim an equal achievement. Still, Richelieu’s greatest successes occurred when he was the only statesman to jettison the moral and religious restraints of the medieval period. --P.66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슐리외 사후 200년간 프랑스는 유럽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국가였으며, 오늘날까지도 국제정치에서 중요한 행위자로 남아 있다. 어떤 나라의 정치인도 동등한 성과를 주장할 수는 거의 없다. 아직도, 리슐리외의 가장 큰 성공은 그가 중세시대의 도덕적, 종교적 제약을 벗어던진 유일한 정치인이었을 때 일어났다.

 

By 1890, the concept of the balance of power had reached the end of its potential. It had been made necessary in the first place by the multitude of states emerging from the ashes of medieval aspirations to universal empire. In the eighteenth century, its corollary of raison d'être had led to frequent wars whose primary function was to prevent the emergence of dominant power and the resurrection of a European empire. The balance of power had preserved the liberties of states, not the peace of Europe. --P.167

1890년에 세력 균형이라는 개념은 그 잠재력이 종말에 도달했다. 세력 균형은 보편적 제국에 대한 중세시대 열망의 잿더미에서 수많은 국가들이 등장하여 처음으로 필요해진 개념이었다. 18세기에 국가이성의 필연적 결과는 지배적인 권력의 출현과 유럽 제국의 부활을 막는 게 주요한 기능인 빈번한 전쟁으로 이어졌다. 세력 균형은 유럽의 평화가 아니라 국가들의 자유를 보존했다.

 

The best decision would have been to advance to the narrow neck of the Korean peninsula, a hundred miles short of Chinese frontier. This would have been a defensible line which would have included 90 percent of the population of the peninsula as well as the capital of North Korea, Pyongyang. And it would have achieved a major political success without challenging China. Although MacArthur was a brilliant strategist, he was less perceptive as a political analyst. --P. 480

최선의 결정은 중국 국경으로부터 160Km 떨어진 한반도의 좁은 목과 같은 지역까지 전진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북한의 수도인 평양과 한반도 인구의 90%를 포함하는 방어선이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중국에 도전하지 않으면서도 중요한 정치적 성공을 달성했을 것이다. 비록 맥아더는 뛰어난 전략가였지만 정치 분석가로는 통찰력이 부족했다.

 

Nixon was the first president since Theodore Roosevelt to conduct American foreign policy largely in the name of the national interest. The drawback of this approach was its dearth of emotion resonance among the American people. --P.731

닉슨은 시어도어 루스벨트 이래로 미국의 외교정책을 전반적으로 국익이라는 이름으로 실행했던 최초의 대통령이었다. 이런 접근법의 단점은 미국인들 사이에서 감성적 반향의 결핍이었다.

 

The Cold War had begun at a time when America was expecting an era of peace. And the Cold War ended at a moment when America was girding itself for a new era of protracted conflict. The Soviet empire collapsed even more suddenly than it had erupted beyond its borders. --P.762

냉전은 미국이 평화의 시대를 기대하던 시기에 시작되었다. 그리고 냉전은 미국이 장기화된 갈등의 새로운 시대를 대비하려던 순간에 종식되었다. 소련제국은 국경 너머로 분출했던 것보다 더 갑자기 붕괴되었다.

 

Exceptionalism inspired America’s foreign policy and gave the United States the fortitude to prevail in the Cold War. But it will require far more subtle applications in the multipolar world of the twenty-first century, America will finally have to face the challenge it has been able to avoid through most of its history. --P.803

예외주의는 미국의 외교 정책를 고무시켰고 미국에게 냉전에서 승리할 수 있는 불굴의 용기를 주었다. 그러나 21세기의 다극화 세계에서 예외주의는 훨씬 더 미묘한 적용이 요구된다. 미국은 마침내 자신의 역사 대부분을 통해 회피할 수 있었던 도전을 직시해야 할 것이다.

 

American policy toward Russia should be geared to permanent interests, not to the fluctuations of Russian domestic politics. If American foreign policy makes Russian domestic politics its top priority, it will become the victim of forces essentially out of its control and lose all criteria for judgment. --P. 818

러시아에 대한 미국의 정책은 러시아의 국내정치 변동이 아니라 항구적 이익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만약 미국의 외교정책이 러시아의 국내정치를 최우선 순위로 삼는다면 본질적으로 미국이 통제할 수 없는 힘의 재물이 될 것이고 판단의 모든 기준을 상실할 것이다.

 

A policy of confrontation with China risks America’s isolation in Asia. No Asian country would want to beor could afford to besupportive of America in any political conflict with China which it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misguided United States policy. In such circumstances, the vast majority of Asian nations would dissociate from America to a greater or a lesser degree, however much they might inwardly dislike doing so. --P. 830

중국과 대립하는 정책은 아시아에서 미국의 고립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어떤 아시아 국가도 미국의 잘못된 정책의 결과라고 여겨지는 중국과의 정치적 갈등에서 미국을 지지하기를 원하거나 지지할 여유가 없을 것이다. 이런 상황이 되면 대다수 아시아 국가들이 많든 적든 어느정도는, 속으로 아무리 하고 싶지 않더라도 미국과 관계를 끊으려 할 것이다.

 

For America, any association with Realpolitik must take into account the core values of the first society in history to have been explicitly created in the name of liberty. Yet America’s survival and progress will depend as well on its ability to made choices which reflect contemporary reality. Otherwise, foreign policy will turn into self-righteous posturing. --P. 836

미국은 현실정치와 어떠한 연계도 역사상 자유라는 이름으로 명시적으로 창조된 최초 사회의 핵심 가치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미국의 생존과 발전은 동시대의 현실을 반영하는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에도 달려 있다. 그렇지 않으면 외교정책이 독선적인 가식으로 변질될 것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강경서 2023-12-13 13:08:03
잘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