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팔 전쟁②…공존의 모색
이·팔 전쟁②…공존의 모색
  • 김위영 고전연구가
  • 승인 2023.12.05 08:42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서의 향기] 해법은 한 나라에서 두 민족이 더불어 사는 것…양극단 배제해야

 

김위영 고전연구가, B2B 산업번역 크리덴셜(https://credloc.com/ko/) 대표이사

 

1948년 이스라엘의 건국은 유대인에게는 축복과 영광의 순간일지 모르지만 1,000년 이상을 팔레스타인에서 살아온 아랍인들에게는 비극이자 대참사이고 Al-Nakba(알 나크바: 대재앙)였다. 이스라엘은 민주주의(정치), 유대주의(종교), 팔레스타인()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아랍인을 국민으로 인정하고 선거권을 준다면 인구 비율로도 취약하지만 아랍인의 높은 츨생률로 인하여 이스라엘 나라 자체가 위험에 처하게 된다. 이런 이유로 이스라엘 라빈(1922~1995) 총리는 1994년 오슬로 협정의 체결을 통해 팔레스타인()의 일부 포기하고 민주주의와 유대국가를 지키기 위해 협의했으나 극우 단체에 피살되어 그 실현이 물거품 되었다.

UN1947년에 팔레스타인을 2개 국가로 분할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나 이스라엘은 수용하고 아랍인은 국론이 분열되어 거부하여 무위로 끝났다. 팔레스타인 아랍인은 지난 60여년 간 국토를 거의 이스라엘에 빼앗기고 2017년 현재 약 534만 명을 상회하는 팔레스타인 난민들은 이웃 나라인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에 분산되어 있다. 이들도 또 다른 디아스포라(Diaspora)이기 때문에 고향으로 귀환 문제도 아주 해결하기 어려운 난제 중 하나이다. 이스라엘 점령지 내 팔레스타인의 현실은 언제나 기본권이 거부된 이등 시민’(a second-class citizen, denied basic rights)으로 살고 있다. 이들에게 자유로우며 상호 존중하는 공존의 모습은 어떤 곳에서도 없고 현실은 늘 분리와 불평등뿐이었다. 또한 이스라엘이 제네바 협정을 무시하고 점령지에 정착촌을 건설했다. 가자와 서안지구의 이스라엘 정착촌 철거도 어려운 문제이다.

미국의 중재로 이스라엘과 아랍의 맹주 사우디와의 수교를 앞두고 팔레스타인 극우 무장단체 하마스가 2023107일에 이스라엘을 선제공격하여 세계를 놀라게 하고 팔레스타인 문제의 해결을 다시 부상시켰다. 영국의 이집트 점령으로 1928년 탄생된 <무슬림 형제단(Muslims Brotherhood)>의 한 분파인 하마스는 군대가 아님에도 이번에 이스라엘을 공격하여 이스라엘의 군사력과 정보력을 파괴하여 이스라엘의 이미지와 불패의 신화와 명성에 엄청난 손해를 끼쳤다. 하마스의 이번 침략은 비리로 얼룩져 구속 위기에 처하자 자기의 정치생명의 연장을 위해 극우파와 손잡고 이스라엘 사법부의 사법 심사권을 무력화하려고 시도하여 이스라엘을 분열과 갈등에 몰아넣은 네타냐후 총리의 책임도 크다.

팔레스타인 해결방안으로 2국가 안은 오슬로 협정이 나온 지 30년이 지나 유효기간이 끝났으며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다. 팔레스타인 Fatah(파타)가 지배하는 서안지구와 하마스가 지배하는 가지 지구를 분할하는 3국 방안이 가장 좋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예루살렘은 국제기구인 UN에서 관리해 <국제적 평화 지대>를 만드는 것이다. 이스라엘에 거주하며 유대교도 믿지 않는 동유럽 이민자인 아슈케나지(Ashkenazi)와 마르크주의자 등 좌파가 주장하는 한 나라 방안이 있다. 이는 유대인과 아랍인인 서로 전멸을 통해 한 나라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두 민족이 상호 존중을 통해 공존을 모색하기 때문에 가장 좋은 방안이나 두 민족의 극단(근본)주의자들이 결코 수용하지 않아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

누구도 지상에서 함께 살아갈 사람을 선택할 권리는 없기 때문에 팔레스타인에서 이스라엘과 아랍인들이 상호 존중하며 공존하는 것이 가장 좋은 해결책이다. 이렇게 되려면 유대인 극우주의자나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이 기축시대(Axial Age)에 발생된 종교의 가르침을 깨우쳐 유일신(Monotheism)의 미망과 허상에서 깨어나는 일이 선결 조건이다. 인간에게는 지상에서 타인과 더불어 공존하며 자유롭고 평화롭게 살아가는 공동체를 만들어야 할 책무가 있기 때문이다.

 

​2국 해법 /브리태니카​
​2국 해법 /브리태니카​

 

One State, Two States(단일 국가, 두 국가, 2009)

 

이스라엘 출신의 Benny Morris(베니 모리스, 1948~ )는 이스라엘의 벤구리온 대학교 중동학 교수이다. 저자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을 해결하는 여러 방안을 본서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

 

Palestinian Arab Islamic fundamentalists, of the Hamas and Islamic Jihad varieties, have always advocated the elimination of Israel and a one statea Muslim Arab statesolution for the Israel/Palestine problem. But over the past few years, Palestinian Arab intellectuals linked to the mainstream Fatah Party and living in the West have also begun talking openly about the desirability, or at least the inevitability, of a one-state solutionone state between the Jordan River and the Mediterranean, inhabited by both Arabs and Jews. --P. 1

하마스와 이슬람 지하드 변종인 팔레스타인 아랍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은 항상 이스라엘의 제거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단일 국가--무슬림 아랍 국가의 해결책을 주장해 왔다. 그러나 지난 몇 년 동안 주류 파타당과 연결되어 있고 서안 지구에 살고 있는 팔레스타인 아랍 지식인들도 단일 국가 해결책 --아랍인과 유대인이 모두 거주하는 요르단강과 지중해 사이에 하나의 나라가 바람직하거나 적어도 불가피하다고 공개적으로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In fact, these current one-staters never really identified with the Fatah’s professed advocacy in the 1990s of a two-state solution, with a partitioned Palestine divided into two states, one Jewish, the other Arab, living side by side in peaceful coexistence. --P.2

사실, 이런 현재의 단일 국가 지지자들은 1990년대에 파타의 공언된 주장으로, 하나는 유대국가와 다른 하나는 아랍국가로 평화롭게 공존하며 살아가는 분할된 팔레스타인의 두 나라 해결책을 결코 동조하지 않았다.

 

The only other alternative was for Israel to withdraw from the territories and facilitate the emergence in the West Bank and Gaza Strip of a Palestinian Arab state, which would allow Israel to remain both(largely) Jewish and democratic. --P. 8

유일한 다른 대안은 이스라엘이 영토에서 철수하고 팔레스타인 아랍 국가의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에서 출현하는 것을 촉진하는 것이다. 이것은 이스라엘이 (대체로) 유대 국가와 민주주의 국가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In broad strokes, there are two possible futures for Israel/Palestineas one state or, partitioned, as two states. There could also be a three-way partition, with Israel and two separate Palestinians statesone in the West Bank and another in the Gaza Strip but this division, based on the current political separation of the Hamas-run Gaza Strip and the Palestine National AuthorityFatah-run core of the West bank, is unlikely to persevere because the Arab inhabitants of the two territories are one people, in every sense, and are unlikely for long to fly off in separate political trajectories. --P.22

넓은 관점에서,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의 미래에는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단일 국가와 분할된 두 국가이다. 또한 이스라엘과 두 개의 팔레스타인 국가--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3개의 분할 방식이 있다. 그러나 하마스가 지배하는 가자 지구와 팔레스타인 국가 당국 타파가 다스리는 서안 지구의 현재 정치적 분리에 기반을 두고 있는 이 분할은 두 영토의 아랍 주민들이 모든 의미에서 하나의 민족이고 오랫동안 분리된 정치적 궤적을 따라 날아갈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지속되지 않을 것이다.

 

During 19491967 the majority of Israelis and their successive, Labor-led government accepted this de facto partition. But the victory in the 1967 Six-Day War and the occupation of the territories awakened among many the desire to constitute a “Greater Israel,” encompassing the territory of pre-1967 Israel as well as the newly occupied West Bank, East Jerusalem, and the Gaza Strip(and, perhaps, the Golden Heights and parts of the Sinai Peninsula as well). --P.162

1949년부터 1967년까지 이스라엘 국민 대다수와 성공한 노동당이 주도한 정부는 사실상 이러한 분할을 수용했다. 그러나 19676일 전쟁의 승리와 영토 점령은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더 큰 이스라엘을 구성하려는 열망을 일깨웠으며, 1967년 이전 이스라엘의 영토는 물론 새로 점령된 서안지구, 동예루살렘, 가자 지구(그리고 아마도 골란 공원과 시나이 반도의 일부도 마찬가지다)를 포함한다.

 

Zionism achieved this in 1948: a Jewish-majority state. Sixty years on, Israel’s Jews overwhelmingly still want thisand refuse to share sovereignty in their state with another people, and certainly will fiercely resist any attempt to turn them into a minority in what they regard as their own land. And most Israeli Jews believe that this would be the end-result of the establishment of a binational state, given greater Arab birthrates and the potential mass return of Palestinian refugees. --P. 188

시온주의는 유대인이 다수인 국가를 1948년에 성취했다. 60년이 지난 지금도 이스라엘의 유대인들은 압도적으로 여전히 이것을 원하고 있으며 그들의 국가에서 다른 민족과 주권을 공유하는 것을 거부하며, 그들이 자신의 땅으로 간주하는 곳에서 그들을 소수로 만들려는 모든 시도에 확실히 격렬하게 저항할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이스라엘 유대인들은 아랍인 출산율이 높고 팔레스타인 난민들이 대량으로 귀환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나라 해결책이 이중 민족주의 국가 설립의 최종 결과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

 

The federal or confederal idea, of a vast Arab polity with a small Jewish political component, was in fact a nonstarter for one simple reason: the Arabs abhorred the idea of a Jewish political entity in the Middle East, however camouflaged or softened by an Arab regional framework. --P. 198

작은 유대인 정치적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광대한 아랍 정체에 대한 연방 또는 동맹의 관념은 사실 한 가지 단순한 이유 때문에 시작되지 않았다. 아랍인들은 중동에서 유대인 정치적 실체에 대한 관념을 혐오했지만 아랍 지역적 구조에 의해 위장되거나 완화되었다.

 

 

Parting ways : Jewishness and the critique of Zionism

(갈릴길: 유대성과 시온주의 비판, 2012)

 

유대계 미국인 Judith Butler(주디스 버틀러, 1951~)는 젠더 전문가이자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스트로 동성(여성) 결혼을 한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교수이다. 저서로 <Gender Trouble(젠더 트러블)>이 명저이다. 저자는 본서에서 유대인과 팔레스타인의 공존을 위해 이스라엘이 유대 국가를 포기하는 한 국가 방안(One-State Solution)과 이민족주의(Binationalism)을 해법으로 본다. 본서에서 유대인 정치 철학자 아렌트, 사이드. 레비나스, 빌터 벤야민 등의 글을 통해 유대성과 시온주의를 비판한다.

 

The opposition to Zionism requires the departure from Jewishness as an exclusionary framework for thinking both ethics and politics. --P.2

시온주의에 대한 반대는 윤리와 정치를 사유하는 배타적 구조(프라임)로서의 유대성에서 벗어날 것을 요구한다.

 

Palestinians are both within and outside the borders of the established state; the borders themselves establish an enduring relationship to the lands and peoples they exclude and monitor. The relationship is characterized by violent dispossession, surveillance, and the ultimate control by the Israeli state over Palestinian rights to mobility, land, and political self-determination. So the relationship is cemented along these lines, and it is utterly wretched. --P.7

팔레스타인인들은 수립된 국가의 국경 안과 밖에 있다. 국경 자체는 배제하고 감시하는 사람들과 그 땅에 대한 지속적인 관계를 설정한다. 이 관계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이동권, 영토권, 정치적 자결권에 대한 이스라엘 국가의 폭력적인 박탈, 감시, 극단적인 통제로 특징된다. 관계는 이런 노선에 따라 굳어지고 끔찍하게 비참해진다.

 

The idea of exile or galut within Jewish culture characterizes a population that has lost one place and not been able to return to another. The idea of “return” remains implicit to the idea of the exilic insofar as it is linked to Zion and to Zionism. Thus, within Zionist discourse, galut is considered a fallen realm, one that can only be rectified and restored through a return to the homeland. --P.15

유대 문화 내부의 추방 또는 유배의 관념은 이 장소를 잃은 채 다른 장소로 돌아갈 수 없는 인구를 특징짓는다. ‘귀환의 관념은 시온, 시온주의와 연관된 한에서는 유배라는 관념에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시온주의 담론 안에서 유배는 추락한 영역으로, 오직 모국 귀환을 통해서 교정되거나 회복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If Arendt is right, then settler colonialism was never legitimate, and neither were the expulsions of indigenous populations on the basis of their nationality or religion, or indeed the continuing confiscations and displacements of the Palestinian people. Zionism has never found justification in principles of political equality. --P.24

아렌트가 옳다면 정착민 식민주의는 전혀 적법하지 않다. 또 국적이나 종교를 근거로 토착인구를 추방하는 것 또는 팔레스타인 민족에 대한 지속적인 몰수와 강제이주도 적법하지 않다. 시온주의는 정치적 평등의 원칙에서 정당성을 결코 발견할 수 없다.

 

Binationalism is not just an ideal “to come”something we might hope to arrive in a more ideal future, but a wretched fact that is being lived out as a specific historical form of settler colonialism and the proximities and exclusions it reproduces through the daily military and regulatory practices of occupation. --P.30

이중 국가주의는 단지 도래할이상--더 이상적 미래에 도달하기를 희망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 아니다. 이중 국가주의는 정착민 식민주의의 특수한 역사적 형태와 일상적인 군사적이고 규제적 점령 행위를 통해서 재생산되는 근접성과 배제로서 살아 있는 비참한 사실이다.

 

In her view of 1943, “Palestine can be saved as the national homeland of Jews only if it is integrated into a federation” ( JW, 195). --P.138

1943년의 아렌트 견해에서, ‘팔레스타인은 오직 연방으로 통합될 때에만 유대 민족의 모국으로 보존될 수 있다.’(아렌트의 저서, 유대적 글쓰기, 195페이지)

 

She asserts that national belonging is an important value and she maintains that nationalism is a noxious and fatal political formation. In the early forties she supported the Jewish emigration from Europe to Palestine, but only on the condition that Jews also fought for recognition as a “nation” within Europe. --P.142

아렌트는 민족적 소속이 중요한 가치라고 역설하고 민족주의는 유해하고 치명적인 정치적 구성체라고 주장한다. 1940년대 초에 아렌트는 유럽에서 팔레스타인으로 유대인 이주를 지지했지만, 단 유대인들이 유럽 안에서 한 민족으로 인정받기 위해 싸워야 한다는 조건에서였다.

 

Everybody is somebody’s Jew. And today the Palestinians are the Jews of the Israelis. --P. 202

모든 사람은 누군가의 유대인이다. 그리고 오늘날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이스라엘인들의 유대인이다.

 

 

A history of modern Palestine(팔레스타인 현대사, 2022)

 

독일계 유대인으로 영국 엑시터대학교 팔레스타인 연구소장인 Ilan Pappe(일란 파페, 1954~)은 본서를 통해 이스라엘 건국 과정이 팔레스타인의 희생을 대가로 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Zionism began as a European national movement but turned into a settler colonialist one once its leaders decided to implement their vision of national revival in the land of Palestine. --P.33

시온주의는 유럽의 민족운동으로 시작되었으나 지도자들이 민족 부흥의 비전을 팔레스타인 땅에서 실현하기로 결정하자 정착민 식민주의자로 바뀌었다.

 

With their friends, these two operated in the refugee camp in Gaza, where they set up a national group for the liberation of Palestine ; the Arabic initials of its name ‘ the Movement for the Liberation of Palestine’, spelt fatah(‘victory’) when read it in reverse. --P.140

두 사람(야세르 아라파트와 카릴 알 와지르)은 친구들과 함께 가자의 난민촌에서 활동하면서 팔레스타인 해방을 위한 민족 단체를 세웠다. ‘팔레스타인해방운동이라는 뜻의 아랍어 첫 글자를 거꾸로 하면 파타(‘승리’)가 된다.

 

Israel violated almost every clause in that convention by settling Jews there, expelling Palestinians and imposing collective punishment. --P. 185

이스라엘은 점령지역에 유대인을 정착시키고 팔레스타인을 추방하고 집단처벌을 가함으로써 제네바 협약의 거의 모든 조항을 위반했다.

 

Meanwhile, the Israeli authorities kept up their dominion of every aspect of Palestinian life: border closures, abuse at checkpoints, house demolitions, the assassination of military and political activits, mass arrests and the start of the construction of a wall separating the territories of the West Bank from Israeli territory. --P.260

동시에, 이스라엘 당국은 팔레스타인의 삶의 모든 측면에 대한 지배를 유지했다. , 국경 폐쇄, 검문소에서의 학대, 가옥 파괴, 군사와 정치 활동가 암살, 대규모 체포, 요르단강 서안 지구를 이스라엘 영토와 분리하는 장벽 건설의 개시이다.

 

The tragedy of Palestine is that the next peace plan, whenever it appears, will also be based on the false assumption that peace means an Israeli withdrawal to its 1967 borders and the establishment of a Palestinian state next to it. The presence of so many Palestinians in Israel itself and the significant presence of Jewish settlers in what is supposed to be future Palestine both cast doubt on the feasibility of this idea, which failed to persuade the indigenous population of Palestine in 1947. --P. 265

팔레스타인의 비극은 향후에 평화안이 등장할 때마다 평화는 이스라엘이 1967년 국경선으로 철수하고 팔레스타인 국가가 수립되는 것이라는 그릇된 가정에 기초한 점이다. 이스라엘 자체에 수많은 팔레스타인의 존재와 이른바 미래 팔레스타인으로 추정된 지역에 유대인 정착촌의 상당한 존재는 이런 관념의 실행 가능성에 의문을 던지며, 이런 해결책은 1947년에 팔레스타인의 토착민들을 설득하지 못했다.

 

It is partly a tactical choice to highlight the originality and commitment of a given political Islamist group to the struggle against the occupation. The Hezbollah in Lebanon had demonstrated the most daring method: young people willing to destroy themselves as human bombs. Islamic Jihad was the first to regard such actions as martyrdom, and Hamas followed suit. --P.268

자살 폭탄은 점령에 맞선 투쟁에서 정치적 이슬람 집단의 독창성과 현실성을 부각시키기 위한 전술적인 선택이다. 레바논의 헤즈볼라가 가장 대담한 방식을 보여주었다. 젊은이들이 인간 폭탄으로 자신을 기꺼이 파괴했다. 이슬람 지하드는 처음으로 이런 행동을 순교로 간주했고, 하마스도 선례를 따랐다.

 

By 2000, all this had changed. With 50 percent unemployment, constant Israeli blockading of the West Bank cities, an electric fence around the Gaza Strip and no hope for a political solution, there was no longer need for preachers and ‘senders’, only a cconstant supply of explosives and grenades. --P.269

2000년에는 이 모든 것이 바뀌었다. 50 %의 실업률, 요르단강 서안 지구 도시들에 대한 이스라엘의 지속된 봉쇄, 가자 지구 주변의 전기 장벽, 정치적 해결책에 대한 희망이 전혀 없는 가운데, 더 이상 설교자나 진리의 전달자는 필요가 없고 오직 끊임없는 폭발물과 수류탄의 공급만이 필요했다.

 

The diminishing political and cultural power of the Zionist Left signals, unfortunately, that the decade of grace in the Jewish state’s history may replaced by a period of darkness; short or long one cannot tell, in which neo-Zionism, a fundamentalist uncompromising version of Zionism, will reign in place of post-Zionism. --P. 270

불행하게도, 시온주의 좌파의 정치와 문화적 힘의 쇠퇴는 유대 국가의 역사에서 은총의 10년이 어둠의 시기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알리는 신호이다. 이 기간이 짧거나 길지는 말할 수 없지만, 신시온주의, 근본주의자적 비타협 형태의 시온주의가 포스트시온주의 대신에 군림할 것이다.

 

Since this war erupted, years of relentless violence and deteriorating economic conditions have impacted on Palestinian refugees living in Syria. Of the 560,000 UNRWA, 438,000 Palestine refugees are in Syria including 254,000 who remain displaced within Syria borders. An estimated 56,000(of the 438,000) are trapped in hard-to-reach and besieged areas where humanitarian access remains a key challenge, --P.300

이 전쟁이 발발한 이후, 수년간의 끊임없는 폭력과 악화된 경제 상황은 시리아에 살고있는 팔레스타인 난민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국제연합난민구제사업국(UNRWA)560,000명 중 438,000명의 팔레스타인 난민이 시리아에 있으며, 그 중 254,000명은 시리아 국경 내에 머물고 있다. 대략 56,000(438,000명 중)이 인도주의적 접근이 여전히 주요 과제로 남아 있는 접근하기 어렵고 포위된 지역에 갇혀 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손종옥 2023-12-05 12:57:19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평화롭고 공존하는길은 서로를 인정하는 것이 선행 되어야한다.

손종옥 2023-12-05 12:54:21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서로를 인정하고 평화롭게 공조하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