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차르 푸틴①…파시즘의 나라
뉴차르 푸틴①…파시즘의 나라
  • 김위영 고전연구가
  • 승인 2023.12.26 08: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서의 향기] 권력 강화에 전쟁 이용, 언론·야당 탄압…질식사회로 변한 러시아

 

김위영 고전연구가, B2B 산업번역 크리덴셜(https://credloc.com/ko/) 대표이사

 

Vladimir Putin(블라디미르 푸틴)1952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 스피리돈 이바노비치 푸틴(1879~1965)19세기 러시아 정교회에서 괴승으로 불린 그리고리 라스푸틴(1869~1916)의 요리사였고 레닌과 스탈린을 위해 크렘린궁의 요리사로 일했다. 푸틴 아버지 스피리도노비치 푸틴(1911~1999)1942년 한쪽 팔을 잃은 상이군인이었다.

푸틴은 KGB 요원이 되었고 서른셋인 1985년 동독 드레스덴에 있는 KGB 지부로 파견나갔다. 동독이 무너지며 폭도들이 KGB 건물로 몰려들자 나홀로 맨몸으로 폭도를 물리쳤다고 한다. 1992년 소련이 해제되고 KGB에서 일자리를 잃자 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교에서 법학을 가르쳐 주었던 상트페테르부르크 시장 아나톨리 소브차크의 보좌관으로 복무하게 되었다. 소브차크가 재선에 떨어지고 부패 등의 혐의로 구속 위기에 처하자 프랑스로 출국시켜버렸다. 이러한 푸틴의 상관에 대한 충성심을 유심히 본 사람이 옐친이었고 그 후에 KGB의 후신인 연방보안국(FSB)국장으로 임명되어 승승장구하는 길을 열게 된다.

옐친에 의해 199947살의 젊은 나이에 총리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지명된 푸틴은 2000년부터 지금까지 러시아를 철권통치로 24년간 실질적으로 집권하고 있다. 내년에 5선에 도전하며 마땅한 대안자가 없기 때문에 2030년까지 집권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이후에 20306선 성공하면 2036년까지 무력 36년간 러시아 통치하게 된다.

푸틴은 운이 좋은 사람이다. 집권 초기인 2000년에 들어 본격적으로 시작된 석유와 천연가스 가격의 급등은 푸틴에게 행운을 안겨 주었다. 러시아 경제가 2001-2007년 연평균 성장률 7%를 유지했고 러시아는 빚을 청산했으며 새로운 중산층이 생겨났다. 침몰 직전의 러시아는 다시금 세계의 최강대국이 된 것이다.

푸틴은 권력을 강화하는 지렛대로 전쟁을 이용했다. 총리 시절에 군사통수권을 옐친에게서 받아 1999년 제2차 체첸 전쟁을 승리로 이끌어 혼란스러운 러시아 사회에 강력한 리더십으로 질서와 안정을 유지했다. 그루지아 침공, 시리아 내전, 크림반도 병합, 우크라이나 침공 등 꾸준히 전쟁을 일으켰으며 그는 전쟁을 서방의 침공을 방어하는 문명 전쟁으로 규정하고 있다.

민주주의는 정기적인 선거와 정권교체기 이루어지는 체제이다. 러시아는 형식적으로 정당과 선거가 존재하므로 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국가이다. 푸틴 정부는 국영기업을 75% 점유하고 있으나 시장경제를 지향하는 국가 자본주의 체제이다. 물론 국영기업을 헐값에 받아 신흥재벌로 등장한 Oligarchs(올리가르히: 과두재벌)는 푸틴과 협정을 벌여 정치에는 간섭하지 않기로 했으며 적극적으로 푸틴을 돕고 있다. 푸틴은 신유라시아주의와 민족주의를 근거로 강한 러시아를 향한 유일한 목표를 회복하기 위해 국가가 사회를 총동원한 개인화된 집단주의를 추구하고 있다. 이는 Putinism(푸티이즘/푸틴주의)라 하며 국가주의 전통을 승계한 21세기판이다.

Men make their own history, but they do not make it just as they please; they do not make it under circumstances chosen by themselves, but under circumstances directly encountered, given and transmitted from the past. The tradition of all the dead generations weighs like a nightmare on the brain of the living.--Karl Marx, The Eighteenth Brumaire of Louis Bonaparte, P9

(인간은 자기 자신의 역사를 만들지만, 자기 마음대로 만들지는 않는다. 그들은 자신들이 선택한 상황 아래서가 아니라 과거로부터 직접 조우된, 주어진, 그리고 물려받은 상황 아래서 역사를 만든다. 모든 죽은 세대의 전통은 살아있는 자들의 마음에 악몽 같은 무게를 지닌다. --칼 마르크스,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 중에서)

어느 나라보다도 러시아 역사는 전제 통치자의 의도에 따라서 왜곡되고 편집되어 왔다. 러시아는 1240년부터 240년간의 몽골 지배를 받으며 동양적인 1인 통치의 전제주의 독재 체제와 농노제의 수탈 구조를 유산으로 물려받았다. 러시아는 아직도 정상국가로 회복하지 못하고 있으며 푸틴 정권도 본질적으로 전제주의로, 독재 체제로 돌아가고 있다.

러시아는 1945년에 파시즘에 승리한 나라이며 2022년에는 파시즘이 승리한 나라로서 21세기 파시즘의 나라로 변모하고 있다. 언론의 자유는 제한되고 야당 인사는 구금되거나 암살되고 있다. 푸틴이 통치하는 현재의 러시아는 소련 시대의 KGB에 의한 감시를 받는 <속삭이는 사회>를 넘어 <질식사회>< 침묵의 탑>이 되었다.

 

 

Putinism(푸틴주의, 2015)

 

폴란드 출신으로 미국의 소련 역사학자로 러시아 전문가인 Walter Laquer(월터 라쿼, 1921~2018)는 본서를 통해 푸틴의 권위주의 정부가 러시아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점과 푸티이즘에 대해 밝히고 있다.

 

Neo-Euraianism, an important tenet of the new Russian doctrine, rests on the assumption that the origins of Russian state are founded in Asia rather than in Europe; that the encounter with Mongols, Tatars, and Asian tribes largely shaped Russia; and that, rejected by the West, Russia should look for its future in Asia. --P. 8

신유라시아주의는 새로운 러시아 노선을 구성하는 중요한 교리로서 세 가지 가설에 의존한다. 러시아 국가의 기원은 유럽보다는 오히려 아시아에서 발견되며, 주로 몽골, 타타르족, 아시아의 종족들과의 조우가 러시아를 형성했다. 서유럽에서 거부당한 러시아는 그 미래를 아시아에서 모색해야 했다.

 

Contemporary Russia is a traditionalist society, and the majority of its people are averse to change. But conservative values do not overwhelmingly shape their outlook and behavior. There are apparently no more true conservatives than liberals in contemporary Russia. The Orthodox Church plays a far larger role now than in the past, but it is not clear whether it will be able to maintain this position for long. --P. 13

현대 러시아는 전통주의 사회이고 대부분 사람들은 변화를 싫어한다. 그러나 보수적 가치들은 그들의 사고방식과 행동을 압도적으로 규정하지 못한다. 현대 러시아에는 진정한 자유주의자도 없듯이 진정한 보수주의자도 없다. 러시아 정교회는 지금 과거 수행한 역할보다 훨씬 더 큰 역할을 수행하지만 이런 지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을지 여부는 불확실하다.

 

Those ruling Russia today, the siloviki, have been described as the new nobility, selfless patriots motivated by pure idealism. --P.14

오늘날 러시아를 지배하는 <실로비키>는 신생 귀족으로 묘사되고 순수한 이상주의에 자극을 받은 헌신적인 애국자들로 묘사되어 왔다.

 

How did they amass their fortunes in such short a time? Basically through the takeover of assets belonging to the state at nominal or very reduced prices. --P. 47

올리가르히들은 그토록 짧은 기간에 많은 재산을 어떻게 축적했을까? 가장 기초적인 방법은 국유재산을 공시가격 또는 혹은 헐값으로 매입하는 것이었다.

 

Putin’s success rested(rests) mainly on two factors, above all the steeply rising demand for oil and gas and, correspondingly, a striking improvement in Russia’s finances. This caused the emergence of a small group of megarich billionaires, the oligarchs. --P.67

푸틴을 성공은 주로 두 요인에 의존했다(의존한다). 무엇보다도 석유와 천연가스 수요가 급증하면서 덩달아 러시아의 경제 상황이 급속한 개선이다. 이는 막대한 재산을 모은 소규모 억만장자집단 올리가르히의 등장을 초래했다.

 

The important component in the ideology is nationalism accompanied by anti-Westernism. The origins of this intense anti-Westernism are not entirely clear;

anti-Americanism did not exist before the Cold War to any significant degree. But from an eminently practical perspective, it has to do with the necessity of the FSB, the successor organization to the KGB, to justify its existence, budget, and policy. --P.120

러시아의 이념에서 중요한 요소는 반서구주의를 동반하는 국가주의이다. 이렇게 격심한 반서구주의 기원들은 분명하지 않다. 반민주의는 냉전 전에는 어떤 유의미한 정도로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현저히 실용적인 관점에서 반서구주의는 KGB의 후계 조직인, FSB의 존재, 예산, 정책을 정당화할 필요성에 부응한다.

 

Russia was part of Asia, but not a very important and welcome one, and the countries of Asia were not waiting with bated breath for its appearance. Russia was not welcome with great enthusiasm in Asia, it was considered essentially a European country. --P. 189

러시아는 아시아의 일부였지만, 아주 중요하지도 반기지도 않는 나라다. 아시아 국가들은 러시아의 출현을 숨죽이며 기다리지도 않았다. 러시아는 아시아에서 대단히 열광적으로 환영받지 못했으며, 러시아는 본질적으로 유럽의 국가로 간주되었다.

 

The main interest of this generation is in business and financial security rather than the political character of the regime, which there will be more or less freedom in Russia. The opposition cannot therefore expect much support from this age cohort. Political and social attitude may change, but it is too early to say what direction. --P.232

이 세대의 주요 관심사는 러시아에 자유가 있느냐 없느냐는 체제의 정치적 성격보다는 사업과 금융 안전에 있다. 그러므로 반체제세력은 이런 청년세대의 든든한 응원을 기대할 수 없다. 정치 사회적 태도들은 변할 수 있지만 어떤 방향으로 변해갈지 말하기는 너무 이르다.

 

Among the Russian weakness is the fatal belief in all kinds of conspiracy and strange ideas, such as neo-Eurasianism, neogeopolitics, confabulation, and zapadophobia, accompanied by an enduring persecution mania and the exaggerated belief in a historical mission. --P.249

러시아의 약점 중에서 모든 종류의 음모와 신유라시아주의, 신지정학, 허담증, 자파도포비아(서구 공포증)과 같은 낯선 관념들에 대한 치명적인 믿음은 끈질긴 박해광증과 역사적 사명에 대한 과장된 믿음을 동반하었다.

 

 

New Tsar (뉴차르 푸틴, 2016)

 

뉴욕타임스 모스크바 지국장을 지낸 Steven Lee Myers(스티븐 리 마이어스, 1965~ )는 본서에서 푸틴 대통령이 점차 차르 시대의 절대 권력자가 되어 가는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그는 푸틴이 소련의 통치 기술을 가미한 새로운차르가 되어가는 모습에 주목한다.

 

Putin was an uneduacted laborer, one of four sons of Spiridon Putin, a chef who once worked in the city’s famed pre-revolutionary Atoria Hotel. __p.8

푸틴의 부친 스피리도노비치 푸틴은 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은 노동자였고, 혁명전 레닌그라드의 명소였던 아스토리아 호텔에서 요리사로 일한 할아버지 스피리돈 푸틴의 네 아들 중 한 명이었다.

 

This third son, Vladimir Vladimirovich Putin, was born on October 7, 1952, in a city still scarred by the siege, still suffering from deprivation, still consumed by fear. Stalin’s megalomania, even in victory, had descended into paranoia and retribution. --P.12

세 번째 아들 블라디미르 블라디미로비치 푸틴은 1952107, 아직 포위 공격으로 상처를 입고, 여전히 궁핍에 시달리며, 두려움으로 시달리는 도시에서 태어났다. 스탈린의 피해망상은 승리에서 조차도 숙청과 보복으로 이어졌다.

 

As a college student, he continued to study rigorously and devote much of his time to judo competitions, forswearing smoking and drinking in order to stay fit. He refuged offers to join the Leningrad University judo team, remaining loyal to his coachers at Trud. --P.20

대학생으로 푸틴은 계속하여 열심히 공부하고 많은 시간을 유도 경기에 헌신하며 체력을 유지하기 위해 술과 담배를 끊었다. 레닌그란드대 유도반에 들어오라는 제안을 거절하고 트루드 클럽 코치들과 운동을 계속했다.

 

Vladimir Putin fulfilled his dream of joining the KGB in the summer of 1975, but he never became the secret agent of his childhood imagination. --P.23

푸틴은 1975년 여름에 KGB에 들어가는 꿈을 성취했지만 어린 시절에 꿈꾸었던 비밀 첩보 요원이 된 것은 아니었다

 

And when he received his assignment, it was not to West Germany, but to the East. It was not even to Berlin, a hub of Cold War espionage since the defeat of the Nazis, but rather to Dresden, the provincial capital of Saxony, near the border with Zechoslovakia. For the first time, he received a foreign passport. He was almost thirty-three and had never left the Soviet Union before. --P.36

푸틴이 임지는 서독이 아니라 동독이었으나 나치의 패배 이후로 냉전 시대의 첩보활동의 요지였던 베를린이 아니라 작센 지방의 주도(州都)로 체코의 국경 지대에 위치한 드레스덴이었다. 처음으로, 푸틴은 해외 여권을 받았다. 거의 세른 세 살까지 소련 밖으로 나가 본 적은 없었다.

 

Putin’s trust rested with those he knew best, many of them from the “power organs.” These friends would become known as siloviki, from the word for “force,” because of their background in the military or security services. In moments of crisis, these were the men who he knew would serve him selflessly. Putin distrusted almost everyone else. --P.91

푸틴의 신임은 자기가 잘 아는 사람들에 달렸는데 대부분 권력기관사람들이었다. 이런 친구들은 군이나 보안 기관에서 배경 때문에 권력이라는 단어에서 온 <실로비키>라고 알려졌다. 위기의 순간에 푸틴이 아는 사람들은 사심 없이 푸틴을 도왔다. 푸틴은 다룬 부류의 사람들은 거의 모두 믿지 않았다.

 

Too many fortunes relied on Yeltsin. They included Russia’s richest men, bankers and media moguls who the year before had acquired the state’s controlling assets in major industries in exchange for loans to keep the country’s budget afloat. -P.104

너무나 많은 부가 옐친에게 달려 있었다. 옐친을 도운 사람들에는 러시아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 금융가, 미디어 재벌들이 포함되었다. 이들은 바로 전 해에 국가 예산을 부양하기 위해 대출한 댓가로 주요 산업의 국유 통제 자산을 취득했다.

 

When Stepashin flew back to Moscow the next day, Yeltsin went ahead with his plans and fired him, nominating Putin as the next prime minister. “ I have now decided to name a person who in my opinion can bring society together,” Yeltsin said in a television speech on August 9. --P. 152

스테파신이 이튿날 모스크바로 돌아오자 옐친은 그의 계획을 진행하여 그를 경질하고 푸틴을 후임 총리로 임명했다. “내가 보기에 국민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인물을 총리로 지명키로 했습니다.” 라고 옐친은 89일 텔레비전 연설을 통해 말했다.

 

They could keep their wealth as long as they stayed out of the affairs of the state. He would not reverse the controversial privatization of the 1990s, leaving the oligarchs their prizes, as long as they ended their reckless, often bloody battles for still greater riches in defense to the Kremlin. --P.223

과두재벌인 올리가르히가 국가 업무에 관여하지 않는 한 그들의 재산은 보장할 수 있었다. 푸틴은 1990년대의 논쟁이 된 사유화 정책를 되돌리지 않을 것이고 그들의 보상을 남겨둘 것이다. 다만 올리가르히들이 크렘린을 방어하려고 더 많은 부를 위해 무모하고 피비린내 나는 싸움을 끝내야 했다.

 

Putin’s political dominance was such that there seemed to be little point in challenging him. Not even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held that March, did he face meaningful opposition. --P.245

푸틴의 정치적 지배는 푸틴에 도전하는 행위를 절대로 용납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3월로 예정된 대통령 선거에서도 푸틴은 주목할 만한 경쟁자를 만날수 없었다.

 

After more than twelve years in the public spotlight, he had become a more distant figure, as remote from the people as the general secretaries or tsars before him. --P.433

푸틴은 12년 넘게 사람들의 주목을 받으며 과거 당서기나 차르처럼 일반 사람들과는 거리가 많이 있는 인물이 되었다.

 

He found a millenarian purpose for the power that he held, one that shaped his country greater than any other leader had thus far in the twenty-first century. He had restored neither the Soviet Union nor the Tsarist empire, but a new Russia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instincts of both, with himself as secretary general and sovereign, as indispensable as the country itself was exceptional. No Putun, no Russia. --P. 480

푸틴은 자신이 보유한 권력을 위한 천년 목적을 발견했고 이것은 21세기 지금까지 다른 어떤 지도자보다 강력한 국가를 만드는 것이다. 그는 소련연방이나 차르 제국을 복원하지 않고 두 체제의 특성과 본능을 가진 새로운 러시아를 복원했으며 자신을 서기장과 주권자로 삼아 국가 자체가 예외적인 것으로 자신과 필수 불가결했다. 푸틴이 없으면, 러시아도 없다.

 

 

The Code of Putinism(푸틴주의 강령, 2018)

 

미국 Syracuse(시라큐스)대학교 러시아 정치학과 Brian Taylor(브라이언 테일러)교수는 본서에서 권위주의, 소수의 충성스러운 친구와 동료 집단에 대한 의존, 경제에 대한 국가의 지배, 독단적인 외교 정책 등 오늘날 러시아 정치의 주요 특징은 푸틴주의 코드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이 강령의 핵심 사상에는 보수주의, 반미주의, 강력한 국가의 중요성 등이 포함된다.

 

The code of Putinism is not simply the worldview of leading Russian elites but also a set of habits and emotions that guide policy and decisions-making. The dominant beliefs of the current regime are basically conservative and stress the need for a strong state to protect Russia against internal and external enemies. This core idea is reinforced by habits of control, order, and loyalty acquired in the Soviet state. --P.2

푸틴주의의 강령은 단순히 러시아 지도층의 세계관뿐만 아니라 정책과 의사결정을 인도하는 일련의 습관과 감정이다. 현 정권의 지배적인 신념은 기본적으로 보수적이며 내부 및 외부 적으로부터 러시아를 보호하기 위한 강력한 국가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 핵심 사상은 소련에서 획득한 통제, 질서, 충성의 습관에 의해 강화된다.

 

The code of Putinism has also shaped the economic system. “Putinomics” is also a hybrid system, combining the formal institutions of market capitalism with a set of informal clan networks. At the top of the Putinist economic system are Putin and his circle, who make the most important decisions and benefit from and sustain the system. State domination of the oil and gas sector is central to Putinomics, as are Putin’s personal links to the key players in this industry. --P.5

푸틴주의의 강령은 또한 경제 시스템을 형성했다. "푸티노믹스"는 또한 시장 자본주의의 공식 제도와 일련의 비공식 당여(黨與) 네트워크를 결합한 혼종 체제이다. 푸틴주의 경제 체제의 최상위에는 가장 중요한 결정을 내리고 체제에서 이익을 얻고 유지하는 푸틴과 그의 일당이 있다. 푸티노믹스의 핵심은 석유와 가스 부문에 대한 국가의 지배이며, 이 산업에서 핵심역할을 하는 사람도 푸틴의 개인적 관계에서 비롯된다.

 

Putinism does have firm roots in Russian society, and many elements of the code resonate strongly among average Russians. Something like Putinism without Putin was certainly possible at the turn of the millennium, given the collective trauma of the Soviet collapse and the difficult efforts to build a new state and a new economy in the 1990s. --P.8

푸틴주의는 러시아 사회에 확고한 뿌리를 두고 있으며, 강령의 많은 요소는 일반 러시아인 사이에서 강하게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푸틴 없는 푸틴주의와 같은 것은 새천년의 전환기에 확실히 가능하다. 1990년대 소련 붕괴의 집단적 트라우마와 새로운 국가와 새로운 경제를 건설하려는 어려운 노력을 고려할 때 그렇다,

 

This code has several key features. Members of the Putinist elite believe in both the important of a strong state and the necessity of Russia retaining its status as a great power in a dangerous and competitive international system. They value order, unity, and state power over individual freedoms or societal interests. --P.11

이 강령은 몇 가지 주요 특징이 있다. 푸틴주의 엘리트 구성원들은 강력한 국가의 중요성과 위험하고 경쟁적인 국제 체제에서 강대국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해야 할 러시아의 필요성을 모두 믿는다. 그들은 개인의 자유나 사회적 이익보다 질서, 단결, 국가 권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The inability to take any decision without Putin is a “big problem,” according to one expert, especially because Putin is reluctant to delegate. This can drag out the decision-making process, because people at lower levels in the state are hesitant to act or taking initiative. --P. 133

한 전문가에 따르면 푸틴 없이는 어떤 결정도 내릴 수 없는 무능력이 '큰 문제'이다. 특히 푸틴이 위임을 꺼리기 때문이다. 이는 의사결정 과정를 지연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하위 직급에 있는 사람들이 행동이나 주도권을 행사하는 것을 주저하기 때문입니다.

 

In Putin’s mind, and in the view of his supporters, he will be remembered as a strong leader, rebuilding the Russian state and Russia’s status as a great power, pulling it out of the deep crisis into which it had been plunged by Gorbachev and Yeltsin. He did this in traditional autocratic style, by ruling and not governing. --P. 209

푸틴 대통령의 마음과 그의 지지자들의 시각에서 푸틴은 러시아 국가와 강대국으로서의 러시아의 지위를 재건하고 고르바초프와 옐친이 휩쓴 심각한 위기에서 러시아를 끌어낸 강력한 지도자로 기억될 것이다. 그는 통치가 아닌 지배로 전통적인 전제적 형태로 이를 이룩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