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의 향기] 아랍과 중동…민주화
[원서의 향기] 아랍과 중동…민주화
  • 김위영 고전연구가
  • 승인 2023.11.21 08:02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③1950년대 아랍 통합의 꿈 무산되고…2010년대 ‘아랍의 봄’도 후퇴

 

김위영 고전연구가, B2B 산업번역 크리덴셜(https://credloc.com/ko/) 대표이사

 

아랍어를 공통어로 쓰는 아랍 민족이 제국주의 외세에 의해 갈기갈기 찢어진 땅을 통일하려는 아랍민족주의 운동을 1950년대에 일으켰다. 이집트의 자유 장교단지도자인 젊은 대령 가말 압델 나세르(Nasser, 1918 ~1970)가 군사혁명을 일으켜 군주제를 폐지하고 1953618일에 권력을 잡아 공화국을 선포하였다. 그는 1956년에 Pharaoh(파라오)를 재현하고자 Aswan Dam(아스완 댐) 건설을 추진하며 미국에 차관을 요청했다. 하지만 댐 건설로 이집트의 면화 생산이 증가할 것을 염려한 미국 남부 면화 생산지 출신 연방 하원의 반대로 미국으로부터 차관이 거부되었다.

이에 나세르는 소련에서 차관을 받았으며 체코를 통해서 소련의 미그 전투기 200대와 탱크 275대를 지원받아 중동에서 세력 균형을 극적으로 변화시켰다. 나세르는 19567월 수에즈 운하의 국유화를 선언하여 영국과 프랑스 및 이스라엘의 공격을 받아 195610월 제2차 중동전쟁이 일어났다.

미국의 개입으로 영·불은 철수하여 나세르는 군사적으로 패배했으나 정치적으로 승리하여 아랍의 영웅으로 등장했다. 나세르는 19582월에 이집트와 시리아를 통합하여 연방제의 Arab Union(아랍연합)을 만들어 아랍 통합이라는 새로운 시대를 알었고, 아랍 세계 전역에서 대대적인 대중의 지지를 받았다. 1962년 나세르가 지원한 자유 장교단쿠데타가 성공함으로써 예멘 아랍공화국이 창설되었으나 내전으로 확대되었다.

1967년 이스라엘이 일으킨 제3차 중동전쟁에서 이집트는 완패했고, 이후 나세르는 급격히 몰락의 길에 접어든다. 나세르의 승계자 사다트는 이스라엘과 1979년 평화 협정을 체결했으나 1981년 사다트가 무슬림 형제단소속의 무슬림 극단주의자 군인들에 의해 암살되어 아랍 통합은 꿈은 사라지게 되었다.

인터넷과 페이스북 및 트위터 등의 전자 혁명으로 20101217일에 아랍의 봄이 발생하여 독재자인 이집트의 무라바크, 리비아의 카다피, 예멘의 압둘라 살레가 타도되었고 시리아 내전이 발생했다. 아랍의 봄 이후에 민주주의가 도입되어 선거를 실시했으나 무슬림 형제단출신이 대부분 당선되어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오히려 이슬람 근본주의로 환원되었다. 튀니지, 쿠웨이트, 레바논에서 이슬람이 약진하는 Political Islam(정치적 이슬람) 확대되었고 아랍 민주주의에 대한 회의론이 등장하였다

이슬람 국가들이 추구하는 정치모델이 두 가지 있다. 하나는 지난 40년 동안 이란을 다스린 이슬람 법학자 통치론(Velayat-e Faqi)으로 이슬람 법학자들이 국가를 다스려야 한다는 믿음이자 정치체계이며, 이슬람 법학자가 국가의 최고지도자가 되는 신정 공화국이다. 다른 하나는 터키처럼 세속주의와 이슬람의 조화를 통한 정치이다. 그러나 어느 것도 완전한 민주주의의 구현으로 볼 수는 없다.

아랍에서 오랫동안 지속된 권위주의 통치와 독재를 타도하고 민주주의를 향한 아랍의 꿈은 실현 가능할까? 오늘날 MZ세대(1990 ~2010년 사이에 출생한 젊은이)가 돌변하여 서구의 종교개혁과 같은 이슬람 혁명이 일어나 따휘드(Principle of Oneness: 통전성, 정치와 종교가 하나다)를 벗어나 개방과 화합이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 수도 있다. 인간의 좌절하지 않고 희망을 품고 살아간다면 아랍의 민주주의에 대한 열정과 꿈이 실현된 날이 올 것이라 믿는다. 아랍은 찬란한 문화란 역사적 자산과 전통을 가진 민족이기 때문이다.

 

 

Power, Faith, and Fantasy(, 믿음, 환상, 2007)

America in the Middle East 1776 to the present (1776년부터 현재까지 중동에서의 미국)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주미 이스라엘대사를 역임한 Michael B. Oren(미첼 B. 오렌, 1958~ )은 미국 출신의 중동 역사학자이다. 저자는 본서를 통해 미국이 건립과 함께 중동에 개입했다고 밝히며 중동에서 미국의 정치적 군사적 외교적인 힘과 기독교의 신앙 그리고 영화 등 대중문화를 통한 중동의 환상을 보여 준 사실을 밝히고 있다.

 

Power refers to the pursuit of America’s interests in the Middle East through a variety of meansmilitary, diplomatic, and financial. Power describes President Madison’s decision to send warships against Algiers in 1815 and Lincoln’s efforts in 1863 to dissuade Egypt from intervening in Mexico. --P.13

권력이란 군사, 외교, 금융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중동에서 미국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권력은 1815년 알제에 군함을 보내기로 한 매디슨 대통령의 결정과 1863년 이집트가 멕시코에 개입하지 못하도록 설득하려는 링컨의 노력을 설명한다.

 

Faith, the second theme, refers to the impact of religion in the shaping of American attitudes and policies toward the Middle East. Though Catholics and Jews played an active role in determining the course of American’s relationships with the area, especially after World War , Protestant influence traditionally predominated. --P. 13

두 번째 주제인 신앙은 중동에 대한 미국의 태도와 정책을 형성하는 데 종교가 미치는 영향을 의미한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가톨릭과 유대인이 미국의 중동과 관계를 결정하는 과정에 적극적인 역할을 했지만, 전통적으로 개신교의 영향력이 지배적이었다.

 

The third theme is fantasy. The idea of the Middle East has always enchanted Americans, enthralling them with an ethereal montage of minarets and pyramids, oases, camels, and dunes. --P.13

세 번째 주제는 환상이다. 중동에 대한 생각은 천상의 뾰쪽탑과 피라미드, 오아시스, 낙타, 모래 언덕으로 미국인을 매료시켜 항상 넋을 잃게 했다.

 

The Middle East, for Jefferson and his contemporaries, was not merely the precinct of power but, more alluringly, a theater of myth. --P. 40

제퍼슨과 동시대인들에게 중동은 단순히 권력의 중심지가 아니라 더욱 매혹적인 신화의 광장이었다.

 

Nasser refused to bow to the sanctions, however, on July 23, 1956, he stunned the world by announcing Egypt’s nationalization of the Suez Canal. The move, Nasser, explained, was aimed at “the exploiters, the imperialists, and the stooges of imperialism” who had conspired to undermine Egypt by inhibiting the spread of its influence and cutting off funding for Aswan. --P. 514
그러나 나세르 대통령은 제재에 승복을 거부했으며, 1956723일 이집트의 수에즈운하 의 국유화를 선언해 세계를 놀라게 했다. 나세르는 이 조치가 이집트의 영향력 확산을 막고 아스완에 대한 자금을 차단하여 이집트를 약화시키려고 음모를 꾸민 "착취자들, 제국주의자들, 제국주의의 앞잡이들"을 겨냥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Starting in 1979, Islamic extremism superseded socialist nationalism and conservative monarchism as the Middle East’s most dynamic political force and the paramount challenger to American supremacy in the area. The Cold War coalition with Europe meanwhile continued to dissolve, leaving the United States increasingly unaided in confronting its new and implacable foe. --P. 549

1979년에 시작하여 이슬람 극단주의는 중동에서 가장 역동적인 정치 세력이자 이 지역에서 미국의 패권에 대한 가장 큰 도전자로서 사회주의 민족주의와 보수적 군주제를 대체하였다. 유럽과의 냉전 동맹은 계속하여 해체되었고 미국이 새롭고 화해할 수 없는 적을 맞서는 데 점점 더 도움을 줄 수 없게 했다.

 

While the United States had yet to renew its dialogue with the Palestinian organization, representatives of the recently elected Rabin government had been covertly negotiating with Arafat’s associates in the Norwegian capital of Oslo. Now, with the outlines of a treaty worked out, Rabin and Arafat sought to seal it with a presidential stamp. --P.575

미국은 아직 팔레스타인 조직과의 대화를 재개하지 않았지만 최근 선출된 라빈 정부의 대표들은 노르웨이 수도 오슬로에서 아라파트 측근들과 은밀하게 협상을 벌였다. 이제 조약의 개요가 완성되어 라빈과 아라파트는 조약에 대통령의 직인을 봉인하려고 했다.

 

By responsibly, wielding its strength and consistently upholding its principles, the United States might yet transform its vision of peaceful, fruitful relations with the Middle East from fantasy into reality. --P. 604

책임감 있게 힘을 발휘하고 일관되게 원칙을 유지하여 미국은 중동과 평화롭고 생산적인 관계에 대한 비전을 환상에서 현실로 바꿀 수 있다.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y Middle East(2013, 4th)

 

미국 뉴욕시립대학교 헌터 칼리지의 정치학 교수인 Jillian Schwedler(질리언 슈베들러, 1966~)교수는 본서를 중동 전문가 13명의 다양한 주제로 쓴 논문을 모아 편집했다.

 

To many in the West, the Middle East has always been exotic: a land of endless deserts, warriors wielding sabers on camel-back, and veiled women confined to harems. Touring exhibits of treasures of King Tutankhamun attract long lines and command high ticket prices and, for many, a visit to the Great Pyramid of Giza and a boat ride down the Nile would be the trip of life. --P.1

서구의 많은 사람들에게 중동은 항상 이국적이다. 끝없는 사막, 낙타 등을 타고 단검을 휘두르는 전사들, 하렘에 갇힌 베일을 쓴 여성들. 투탕카멘왕의 보물을 전시하는 관광은 긴 줄을 서서 높은 티켓 가격을 요구하며, 많은 사람들에게 기자의 대피라미드를 방문하고 나일강을 따라 보트를 타는 것은 인생의 여행이 될 것이다.

 

The term Middle East refers to those countries that are numbers of the League of Arab States, plus Israel(with its Jewish and Arab populations), and the non-Arab countries of Turkey and Iran(both of which also have small Arab population). These countries are clustered into three subregions. --P.3

중동이라는 용어는 아랍 국가 연맹에 가입한 국가와 이스라엘(유대인 및 아랍 인구 포함), 비 아랍 국가인 터키 및 이란(두 국가 모두 아랍 인구가 적음)을 의미한다. 이들 국가는 세 개의 하위 지역으로 분류된다.

 

Terrorism became the last resort of ever more desperate Arabs who sent suicide bombers into Israel to kill civilians, blew up US embassies in Kenya and Tanzania, damaged a US Navy warship in Yemen, and on September 11, 2001, hijacked four US civil airliners to attack New York’s World Trade Center and the Pentagon in Washington, DC. The group behind these attacks was al-Qaeda(the Base). --82

테러리즘은 민간인을 살해하기 위해 이스라엘에 자살 폭탄 테러범을 파견하고, 케냐와 탄자니아의 미국 대사관을 폭파하고, 예멘의 미 해군 전함을 손상시켰으며, 2001911일 미국 민간 여객기 4대를 납치해 뉴욕의 세계 무역 센터와 워싱턴 DC의 국방부를 공격하는 더욱 절망적인 아립인들의 최후의 수단이 되었다. 이러한 공격의 배후에 있는 집단이 알카에다(기지)이다.

 

Divisions exist, however, not only between Jews and non-Jews but also within the Israeli Jewish population, which comprises more than 80 percent of Israel’s overall population. Israeli Jewish society is quite heterogeneous, composed of immigrants from numerous countries and reflecting a variety of ethnic and linguistic groups: religious preferences; and cultural, historical, and political background. --P. 182

그러나 분열은 유대인과 비유대인 사이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전체 인구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이스라엘 유대인 인구 내에서도 존재한다. 이스라엘 유대인 사회는 매우 이질적이며 수많은 국가에서 온 이민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인종과 언어적 집단, 종교적 선호, 문화적, 역사적, 정치적 배경을 반영한다.

 

Oil gave a number of Middle Eastern countries the economic independence to try development strategies and forge political bonds foreclosed to poorer states. It also offered a substitute for conventional(i.e., military) attributes of power, forcing other nations to reexamine their own foreign policy in the light of long-term economic interests. --P. 282

석유는 여러 중동 국가들에게 개발 전략을 시도하고 가난한 국가들에게 실행된 정치적 유대를 형성할 수 있는 경제적 독립성을 부여했다. 또한 전통적인(, 군사적) 권력 속성에 대한 대체를 제공하여 다른 국가로 하여금 장기적인 경제적 이익에 비추어 자신의 외교 정책을 재검토하도록 강요했다.

 

Many Western observers have romanticized the role of social media in the Arab uprisings, erroneously calling the uprisings Facebook or Twitter revolutions. The vast majority of peoples in the region are not connected to these networks, and in fact most do not even have regular Internet access. --P. 441

많은 서방 관찰자들은 아랍 봉기에서 소셜 미디어의 역할을 낭만화하였다. 봉기를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혁명이라고 잘못 불렀다. 아랍 지역의 대다수 사람들은 이러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실제로 대부분은 정기적으로 인터넷 접속조차 하지 못한다.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Middle East

(중동의 국제관계, 2019)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국제관계학 교수인 Louis Fawcett(루이스 포셋, 1944~ )이 편찬한 본서는 19명의 중동 정치경제 및 사회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중동 국제관계의 역사적 배경과 갈등 상황을 시대별, 주제별로 명쾌하게 조망한 책이다.

 

The new states were insulated from foreign affairs by their colonial masters. Politics were overwhelmingly domestic, and domestic politics were dominated by the search for national independence. The struggle for independence created vested interests in the individual nation states that conflicted with popular notions of a greater Arab nation. --P.56

신생국가들은 그들의 식민 지배자에 의해 외교 관계는 절연되었다. 정치는 압도적으로 국내적이었고 국내정치는 국가 독립에 대한 탐구로 지배되었다. 독립을 위한 투쟁은 대아랍국가의 대중적 개념과 상충하는 개별 국가의 기득권을 형성하였다.

 

This, then, seems to have been one of the more tragic consequences of the Cold War. The obsession with persecuting and 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left had two results: first, maintenance in power of a series of unattractive, unrepresentative, and generally dictatorial regimes of whatever political hue; and second, the rise of the religious right. In the case of latter, we are now faced with uncontrollable forces that believe, or purport to believe, in place of more rational political programmes, that ‘Islam is the only solution’. --P.77

이는 냉전이 초래한 더 큰 비극적 결과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좌파의 영향력을 억제하고 박해하려는 집착은 두 가지 결과를 낳았다. 첫째, 일련의 매력적이지 않고, 대표성이 없으며, 정치적 특색이 없는 일반적 독재 정부가 권력을 유지하였다. 둘째, 종교적 우파의 부상이다. 후자의 경우에 보다 이성적인 정강을 대신하여 이슬람이 유일한 해결이다라고 믿거나 또는 믿는다고 주장하는 통제될 수 없는 세력을 직면하게 되었다.

 

Arabism became hegemonic owing to the 1950s rise of Nasser as pan-Arab hero in Egypt in parallel with the political mobilization of the new middle class across the region, in response to the West’s attempt to maintain the region as a sphere of influence, and amidst the chronic shared conflict with Israel. --P. 161

아랍주의는 아랍 지역을 영향권의 범위로 유지하려는 서구의 시도에 응답하고 이스라엘과 만성적인 갈등 속에서 아랍 전역에 새로운 중산층의 정치적 동원에 병행하여 1950년대 이집트의 나세르가 범아랍주의의 영웅으로 떠오르며 강력하게 되었다.

 

The Arab-Israel conflict was a direct out growth of the Palestinian question, which resulted from the inclusion of the Balfour Declaration(1917) in the mandate for Palestine. This obliged Britain to support Zionist aspiration to create a Jewish state against the wishes of the Palestinian Arab inhabitants. These two conflicts, Arab-Israeli and Palestinian-Israeli, have frequently intersected, with the Palestinian question often serving as a major factor in Arab state rivalries, as well as Arab-Israeli tensions. --P. 272

아랍-이스라엘 분쟁은 팔레스타인 문제의 가장 직접적인 부산물로 팔레스타인 위임통치에 벨푸어 선언(1917)을 포함시킨 결과였다. 이에 따라 영국은 팔레스타인 아랍 주민들의 열망에 반하여 유대 국가를 건설하겠다는 시오니스트들의 열망을 지지해야 했다. 아랍-이스라엘 분쟁과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은 자주 교차되었고, 팔레스타인 문제는 종종 아랍 국가 간 경쟁뿐만 아니라 아랍-이스라엘 긴장에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It suggests that the basic reason for the failure of Oslo to resolve the conflict is that Israel, under the leadership of the Likud, reneged on its side of the deal. By resorting to violence, the Palestinians contributed to the breakdown of trust, without which no political progress is possible. But the more fundamental cause behind the loss of the trust and the loss of momentum was the Israel policy of expanding settlement on the West Bank, which carried on under Labor as well as Likud. --P.313

오슬로협정이 분쟁을 해결하는 데 실패한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리쿠르당의 통치 하에 이스라엘이 협상의 자기 몫을 저버렸다는 것을 의미한다. 폭력에 호소하여 팔레스타인은 신뢰의 붕괴에 기여하였고 이러한 신뢰없이 정치적 발전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신뢰의 상실과 동력의 상실에 가장 기본적인 원인은 리쿠르당과 노동당 하에서 수행된 서안 지구에 정착촌을 확산한 이스라엘 정책 때문이다.

 

The Arab Spring constitutes thus far, if not a progenitor of democracy, an élan,an opening, and a space for popular empowerment. It will, for some time, be marked out by dialectics between a decaying old order and an emboldened peoplehood that has, across boundaries of geography and culture, tasteddirectly or through neighbourly exprimentsa sweet victory over challenged dictators and states. --P. 359

아랍의 봄은 지금까지 민주주의의 창시자까지는 아니더라도 민주주의의 약동, 개방, 대중적 권한 부여를 위한 공간을 구성했다. 아랍의 봄은 상당 기간 동안 역내 지리와 문화의 경계를 넘어 독재자와 독재국가에 도전하여 달콤한 승리(직접적, 또는 주변국의 경험을 바탕으로)를 맛보는 구질서의 부패와 대담한 국민 의식 간의 변증법으로 특정된다.

 

If preserving regional stability was Washington’s top priority, clearly its policies were not working. Four major Arab statesIraq, Syria, Libya, and Yemenwere falling apart. Islamist militant movements, fundamentally hostile to the United States, were in the ascendency not just in those countries but throughout the region. Iran and its allies in Iraq, Syria, Lebanon, and Yemen were challenging the dominance of America’s traditional Sunni alliesthe Gulf states, Egypt, Jordan, and Lebanon. --P. 389

만약 지역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미국의 최우선 과제였다면 미국의 외교 정책은 분명히 효과가 없었다. 주요 아랍 4개국 이라크, 시리아, 리비야, 예멘이 무너졌다. 근본적으로 미국에호전적인 무장한 이슬람주의 운동이 이들 4개국 뿐만 아니라 중동 전역에서 상승 중이다. 이란과 이라크, 시리아, 리비아 예멘에서 이란 동맹들이 미국의 전통적인 수니 동맹국 걸프국가들, 이집트, 요르단, 레바논의 지배에 도전하고 있다.

 

Moreover, when the peoples of the region look into the future, they cannot help but think that these two countries, and perhaps in this regard even most China and Russia, will only likely become more powerful and influential in the years ahead. --P.412

더욱이 중동 사람들이 미래를 고려할 때, 이들 두 나라와 아마도 이런 관점에서 대부분 중국과 러시아가 앞으로 몇 년간 더욱 강력해지고 영향력이 강화될 것이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손종옥 2023-11-21 17:59:33
이집트의 지도자(나세르,사다트,무라바크등) 변화에 따라 중동이 지각변동이 있었다는게 흥미롭고 이체롭네요.잘 읽고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