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의 향기] 몽골제국과 세계화②
[원서의 향기] 몽골제국과 세계화②
  • 김위영 고전연구가
  • 승인 2023.10.24 08:55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쿠릴타이 열어 대칸 선출과 국가 중대사 결정…활발한 동서문화 교류

 

김위영 고전연구가(사진), B2B 산업번역 크리덴셜(https://credloc.com/ko/) 대표이사

 

신라의 고도 경주에서 로마의 로만글라스(Romanglass)가 출토되었는데, 이는 신라와 서역이 직접 교류했다는 근거이다. 이처럼 인류는 수렵 채취시대부터 대륙을 이동하며 생활하고 상호 간에 교류가 이루어졌다. 13세기에 몽골 제국이 건설한 유라시아 대륙을 통해서 동서의 문화, 문물, 사상, 종교 등의 교류가 이루어져 왔다. 몽골은 유목민으로 종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끝임없이 이동하며 정주인들에 대한 약탈을 주업으로 했다. 정주인들의 물품과 사치품을 갈구하던 몽골 유목민들은 끝없이 정복을 확대했다.

몽골 제국의 대칸(Kh;an, 카안)을 선출하는 쿠릴타이도 문화 교류의 현장이었다. 몽골의 풍습인 말자상속(末子相續, ultimogeniture)을 따르지 않고 쿠릴타이(Quriltai) 회의를 통해 대칸을 선출했다. <,원 제국 쿠릴타이 연구: 설배환 서울대 박사 논문, 2016>에 의하면, 쿠릴타이는 군사 원정(遠征)과 법령 반포 등 국가 중대사를 결정하였다. 쿠릴타이는 제천(祭天)과 연회(宴會)와 은사(恩賜)를 동반했고, 술과 음식은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카안의 식탁 위에는 몽골·중국·중앙아시아·서아시아·동남아시아·고려의 풍미(風味)가 가미돼 있었다. 음악·무용·연극·씨름·축구·격구(擊毬방주(放走, 달리기) 등 기예(技藝)가 진행되었다. 쿠릴타이에서 몽골인의 흥청거림과 소비는 재화의 장기(長期) 저장과 증식을 추구하는 정주 문화와는 다른 표현 방식의 정치·경제·문화였다.

 

미국의 저명한 몽골사가였던 토마스 올슨은 몽골 제국의 직물(textiles)의 교류를 밝히고 원나라와 이란의 일칸국과의 지도제작, 농업, 의학, 음식, 천문학, 인쇄술,등 물자와 기술과 문화의 교류를 탐구했다. 조선의 <강리도>가 몽골이 낳은 최초의 세계사의 시각적 문헌이자 세계지도라는 사실을 밝혔다.

미국의 몽골 전문가 모리스 로사비 교수는 칭기스의 손자인 쿠빌라이가 정복이 아니라 땅을 다스렸고, 여러 나라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정치를 펼쳤다고 한다. 그는 하나의 기준을 내세워 강요하지 않았고 유교, 불교, 기독교, 이슬람교, 도교를 모두 인정하였고, 출신 민족과 종교를 따지지 않고 고르게 인재를 등용하였다. 자신의 유능한 참모들이 죽고 나자 쿠빌라이는 무리한 일본과 자바 원정으로 크나큰 실책을 했다.

활발한 저술 활동을 하는 신진세대의 티머시 메이는 칭기스의 교환(Chinggis Exchange)를 통해 Pax Mogolica(몽골의 평화)를 이루어 세계화가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Culture and Conquest in Mongol Eurasia

( 몽골 유라시아에서의 문화와 정복, 2001)

 

미국의 탁월한 몽골사가로 손꼽히는 Thomas T. Allsen(토마스 T. 올슨, 1940-2019) 뉴저지 대학교 교수는 본서를 통해, 몽골제국이 세계화를 실현한 사실을 논증하고 있다. 원나라와 일-칸국의 관계를 넘어 중국 문명과 페르시아 문명 사이의 가교 노릇을 맡았다는 것이다.

 

When the nomads are brought into the picture their influence on the course of events in usually addressed under the two rubrics of “communication” and “destruction.” In the former, the nomads create a pax which secures and facilitates long-distance travel and commerce, encouraging representatives of sedentary civilizations, the Polos for example, to move across the various cultural zones of Eurasia and thereby take on the role of the primary agents of diffusion. In the latter, the nomads, conversely, and perversely, impede contact and destroy culture by their ferocity and military might. --P. 4

유목민은 사건의 과정에 대한 자신들의 영향을 묘사할 때 보통은 소통파괴의 두 가지 격식으로 다룬다. 전자에서 유목민은 원거리 여행과 상업을 촉진하여 평화체제를 만들어 여러 정주 문명의 대표자들이(예를 들면 마르크 폴로) 유라시아의 여러 문화권을 돌아다님으로써 전파의 촉매가 되도록 해주었다는 것이다. 후자에서 유목민은 반대로 그 잔인함과 군사력으로 접촉을 막고 문화를 파괴했다.

 

These two visions of nomadic history, as Benard Lewis points out, are not mutually exclusive alternatives: the nomads destroyed some cultural resources and at the same time created conditions in which long-distance cultural exchange flourished. There was, in fact, both a Pax Mongolica and a Tartar Yoke, inhering and coexisting in the very same polity. --P.5

미국의 중동학자 버나드 루이스가 지적한 것처럼 유목인의 역사에 대한 이런 두 가지 비전은 상호 배타적인 대안이 아니다. 유목민은 일부 문화 자원을 파괴하는 동시에 원거리 문화 교류가 번성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었다. 몽골의 평화와 타타르의 멍에는 동일한 체제에서 실제로상속되고 공존한다,

 

What is an arresting about these maps is their treatment of the West: most surpringly, Africa is depicted as a triangle and the general shape of the Mediterranean is immediately recognizable. Moreover, for Africa there are over 30 place names registered and for western Europe over 100, many of them recognizable. For German, we have A-Lu-man-ni-a. --P. 110

이 지도에서 가장 시선을 사로잡는 대목은 서방의 취급이다. 가장 놀라운 것은 아프리카가 삼각형 모양으로 묘사되어 있고 지중해의 윤곽을 즉시 알아볼 수 있다. 더구나 아프리카에 30개 이상, 서유럽에는 100개 이상의 지명이 등록되었으며 대부분 알아볼 수 있다. 이를테면 독일은 A-lu-man-ni-a(阿魯曼尼阿)로 적혀 있다.

 

Kwon Kun’s map of 1402 established a most interesting tradition in Korea; henceforth there was a widespread popularity of maps and atlases in Korea culture which from the inception always had a “global” dimension. More consequentially, as Adshead has argued,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s of the Middle Ages to the creation of the modern world system was the diffusion and “integration of geographical information,” a body of knowledge that once in existence became a “permanent” feature of the new world order. And, undeniably, the Mongolian Empire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promotion, creation, and circulation of such knowledge. --P. 113

1402년 권근(權近)의 강리도(疆理圖)는 조선에서 가장 흥미로운 전통을 수립했다. 이후로 조선의 문화에서 처음부터 지구적 차원의 지닌 지도와 지도책의 광범위한 인기를 얻었다. 미국의 중국사학자 애드쉐드가 주장하듯, 보다 결과적으로, 근대 세계체제의 형성에 있어서 중세의 가장 큰 기여의 하나는 지리 정보의 통합과 유포였다. 중세에 존재한 지식의 집체는 새로운 세계 질서의 영원한특징이 되었다. 부인할 수 없듯이, 몽골 제국이 그러한 지식의 촉진, 개발 및 확산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The consequences of these contacts and exchanges was that China, particularly in the Yuan, had a surprisingly detailed body of knowledge on the geography of Africa and Europe and the lands and sea between. In contrast, European knowledge of Africa south of the Sahara and Asia before the voyages of exploration was less detailed and poorly represented cartographically. --P. 114

몽골 제국을 통한 이러한 접촉과 교환은 중국, 특히 원 제국에서 아프리카와 유럽 그리고 그 사이의 땅과 바다에 대한 놀랄 정도로 자세한 지리지식을 낳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탐험 항해 이전에는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대한 유럽의 지식이 덜 상세하고 지도 제작상으로 열악하게 표현되었다.

 

 

Khubilai Khan : his life and times

(쿠빌라이 칸. 그의 삶과 시대, 2009)

 

모리스 로사비 교수는 쿠빌라이의 관용과 인내의 정신으로 모든 종교와 인재를 포용해 정복민에게서 땅이 아닌 마음을 얻었으며, 효율적인 통치 시스템을 설계해 제국을 완성하는 성공적인 전략을 펼쳤다고 주장한다.

 

One of his more enduring legacies was the use of foreigners as scribes, interpreters, tutors, advisers, merchants, and even soldiers a policy pursued by his successors, and particularly by Khubilai Khan. Finally, he issued the Jasagh, a set of rules often called the first Mongol law code. --P. 7

칭기즈 칸의 오래 지속된 유산 가운데 하나는 외국인들을 필경사, 통역사, 교사, 참모, 상인, 심지어 군인으로 활용이다. 이러한 정책은 그의 후손, 특히 쿠빌라이 칸에 의해 추진되었다. 끝으로 칭기스 칸은 종종 몽골 최초의 법전이라 불리는 <야사>를 제정했다.

 

In sum, by the 1240s, Khubilai had no shortage of advisers in his entourage, from a variety of philosophers and ethnic groups. Though he was not the first Mongol to seek counsel and assistance from the peoples he had subjugated, Khubilai was unique in having such a large coterie of advisers, which eventually encompassed Chinese Confucian scholars, Tibetan lams. Central Asian Muslims, and Uighur Turks. --17

요약하면, 쿠빌라이는 1240년대까지 그의 참모진에 다양한 철학자와 민족적 집단에서 온 조언자가 부족하지 않았다. 비록 그가 정복민에게서 조언과 지원을 찾은 첫 번째 몽골인은 아니었지만, 종국에는 중국인 유학자, 티베트 라마승, 중앙아시아 이슬람교도, 위구르 투르크인을 포함하는 대규모 참모진을 구성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Only in 1273 were the insurgents finally crushed on Cheju Island, off the southern coast of the mainland. Meanwhile Khubilai had cemented his relations with King Wonjong. To strengthen the bonds with the Korean monarch, he adopted a tactic that had long been used in East Asia, marital alliance. His daughter known in Chinese as Hutu-lu Chieh-li-shih was betrothed the Korean crown prince; the eventual successor to the throne would thus be Khubilai’s grandchild. --P.97

고려의 반란군은 1273년이 되어서야 육지의 남쪽 해안에서 떨어진 제주도에서 마침내 진압되었다. 그러는 동안 쿠빌라이는 고려 원종(元宗)과의 관계를 굳건히 했다. 고려 군주와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동아시아에서 오랫동안 사용해온 혼인 동맹 전술을 채택했다. 중국어로 홀도로게리미실(忽都魯揭里迷失)로 알려진 자신의 딸을 고려의 태자와 약혼시켰다. 고려 왕좌의 최종 왕위 계승자는 쿠빌라이의 손자가 될 것이다.

 

Yet the campaign had caused considerable damage. The failures shattered the Mongols’ mantle of invincibility in East Asia. Khubilai’s subjects noticed that the Mongols were vulnerable. One of the principal underpinnings of their powerthe psychological edge of terror they held over their opponentswas badly shaken, if not dislodged. Most damage of all was the tremendous expense incurred in these expeditions. --P. 212

일본원정은 엄청난 손실을 초래했다. 원정의 실패는 몽골이 동아시아에서 무적이라는 외투를 날려버렸다. 쿠빌라이의 피지배자들은 몽골이 취약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들 권력의 주요 기반 가운데 하나인, 그들의 적들에게 유지한 공포의 심리적 우월감이 제거되지는 않았지만 크게 흔들렸다. 무엇보다 가장 큰 손실은 원정에서 발생된 막대한 비용이었다.

 

Yet Khubilai had numerous accomplishments to his credit. He sought to govern, not simply exploit, the largest and most populous empire in the history of the world until that time. With a vision unique for one with a nomadic heritage, he endeavored to protect the welfare and promote the interests of his diverse subjects in a time when such consideration was rare. Through his political and economic politics, through his support and patronage of culture and commerce, and through his toleration for different religions, he attempted to unify the lands in Asia under Mongol hegemony. --P. 231

하지만 쿠빌라이는 신뢰에서 수많은 업적을 이루었다. 그는 당시까지 세계 역사상 가장 크고 가장 인구가 많은 제국을 단순히 착취가 아니라 통치하고자 했다. 유목적인 유산을 가진 자에게 독특한 비전을 지녔던 그는 타문화에 대한 배려가 거의 드물었던 시기에 다양한 신민들의 이익을 촉진하고 복지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의 정치적 및 경제적 정책을 통해, 문화와 상업에 대한 지원을 통해, 타종교에 대한 관용을 통해, 그는 아시아를 몽골의 패권 아래서 통합하고자 했다.

 

 

The Mongol conquests in world history

(몽골 정복의 세계사, 2011)

 

미국 UNG(북조지아 대학교) 중앙유라시아사 교수인 Timothy May(티머시 메이)는 몽골전문가로 최근에 가장 많은 몽골사를 저술한 학자이다. 메이 교수는 콜럼버스 교환처럼 칭기스 교환(Chinggis Exchange)를 통하여 몽골의 세계지배가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Typically, once nomadic forces reached the camp of the enemy they plundered it and rode off with their gains. The point of raids and attacks was not to decimate an enemy but rather to enrich themselves. --P. 33

전형적으로 유목민 군대는 적진에 다다르면 약탈을 하여 전리품을 말에 싣고 갔다. 침입과 공격의 목적은 적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부유하게 하는 것이었다.

 

Raids and forcing sedentary states to pay tribute helped this process and were economically profitable. Ogödei, however, embraced the idea of conquest and encouraged the belief that Heaven had decreed that Chinggis Khan and his heirs ruled the world. --P. 48

정주 국가를 습격하고 조공을 강요하는 것은 몽골인을 보호하는 과정에 도움이 되었고 경제적으로도 이익이었다. 그러나 우구데이는 정복의 이념을 포용하고 칭기스 칸과 그의 후계자들이 세계를 정복하는 것은 하늘이 정한 운명이라는 믿음을 장려했다.

 

Indeed the Ottoman Empire proved to be the longest lasting successor to the Mongols, ending in the First World War peace treaties in 1923. --P. 85

오스만 제국은 실제로 19231차 세계대전 평화조약으로 멸망할 때까지 가장 오래 지속된 몽골의 계승자였다.

 

With the death of MÖngke the Mongol world gradually split into four separate realms. Although they hypothetically remained united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Khan who ruled the greater portion of East Asia, including Mongolia, in reality the states inexorably spiralled apart. Nonetheless they remained connected as independent states in new ways. --P. 122

몽케의 사망으로 몽골 세계는 점진적으로 4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갈라졌다. 몽골리아를 포함하여 동아시아의 대부분을 지배하고 있던 칸의 지위를 인정하여 가설적으로 통일을 유지했지만 실제로 국가들은 냉혹하게 분열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별 칸국들은 새로운 방식으로 독립 국가들로서 연결되어 있었다.

 

While Chinese goods were always desirable, Chinese influence also affected the economy of other parts of the Mongol world. During the reign of Gaykhatu Khan the Ilkhanate switched to paper money. While today we accept scraps of decorated paper as money, the medieval Persian world was not ready for such a radical idea. --P.128

중국산 상품은 항상 매력적이었으며 몽골 세계의 다른 지역 경제에도 영향을 끼쳤다. 가이하투 칸(재위 1291- 95)의 통치 시기에 일 칸국은 지폐로 전환했다. 오늘날 우리는 장식된 종이조각을 돈으로 받아들이지만, 중세 페르시아 세계는 종이 지폐와 같은 급진적 사상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The plague was perhaps the most deadly result of the Mongol Empire and the Chinggis Exchange. Although the Mongols did not cause it directly, it is difficult to imagine how it could have spread so rapidly without the aid of the Mongol Empire; in return, it hastened the end of the empire. Just as ideas, goods and travellers benefited from the Pax Mongolica and the trade routes established and protected by the Mongol Empire, so could disease. --P. 199

흑사병은 아마도 몽골 제국과 칭기스의 교환이 불러온 가장 치명적인 결과였다. 몽골이 직접 일으킨 것은 아니지만. 몽골 제국의 도움이 없었다면 이렇게 빠르게 퍼져 나가는 일은 상상하기 어렵다. 그 반작용으로 흑사병은 제국의 종말을 재촉했다. 몽골의 평화와 몽골 제국이 만들고 보호했던 교역로의 혜택을 입은 사상, 상품, 여행자들처럼 질병도 그렇게 널리 퍼져 나갈 수 있었다.

 

The use of massacre must be seen not as wanton blood lust but as a calculated tacit that served several purposes. It discouraged revolts behind Mongols lines and also as helped spread propaganda and mis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ir armies. They used rumors of their ferocity to maximal effect through spies and survivors, causing other populations to become intimidated and choose to surrender rather than risk the alternative. --P.132

대학살의 사용은 무자비한 피의 욕망이 아니라 여러 목적에 지닌 계산된 전술로 보아야 한다. 대학살은 몽골 대오의 후방에서 반란이 일어나지 못하게 했고, 몽골 군대의 규모에 대한 선전과 오해가 퍼져 나가는 데에도 도움을 주었다. 몽골족은 스파이와 생존자를 통해 자신들이 잔인성에 대한 소문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사용했고, 다른 지역 사람들은 겁을 먹게 되어 대안을 감수하기 보다는 항복을 선택하도록 했다.

 

The Chinggis Exchange did more than facilitate trade and the spread of religions. It also led to the exchange of ideas and technology on a global scale. Technology included more tha gunpower and other military technology. --P. 232

칭기스의 교환은 무역과 종교의 확산을 촉진시키는 것 이상의 일을 했다. 지구적 규모에 걸쳐 사상, 기술적 교환을 야기했다. 기술에는 화력과 다른 군사적 기술을 넘어서는 것들이 포함되었다.

 

In 1313 the Yuan revived the civil service exams using the Neo-Confucianism of Zhu Xi as their interpretation in an effort to aid them in managing an increasingly Chinesestyle state. While scholars in the Song Empire first developed Neo-Confucianism, the Yuan expanded its influence. In the cosmopolitan Yuan Empire Korean scholars and officials encountered Neo-Confucianism and brought it with them to the peninsula. --P. 240

1313년 원 제국은 점점 중국식이 된 국가를 경영하는데 돕기 위한 노력으로 주희(朱熹)의 신유학을 해석으로 사용하여 과거제도를 부활시켰다. 송 제국의 학자들이 처음으로 신유학을 발전시켰지만, 원 제국이 그 영향력을 확대한 것이다. 세계제국이었던 원에서 고려의 학자들과 관료들은 신유학을 접했고 이를 한반도로 가져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손종옥 2023-10-24 23:09:02
동서양을 아우르는 몽골제국은 세계사적으로도 커다란 족적을 남겼네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있었던 것도 자명하고요.
우리에게도 선진 문물과 법제도등을 도입했던 긍정적인 모습도 있지만,고려말기에 조공과 온갖 핍박과 조혼등 악습이 있었던 것도 간과해서는 안될 역사적 교훈이라고 사료됩니다.

수고하셨습니다.